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유래34

[일거수일투족]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일거수일투족]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일거수일투족 한자 일(一): 한 일 거(擧): 들 거 수(手): 손 수 일(一): 한 일 투(投): 던질 투 족(足): 발 족 일거수일투족 뜻 손을 한 번 들고, 발을 한 번 옮기다. 일거수일투족 풀이 사소한 하나하나의 동작이나 행동 일거수일투족 유래 중국 당나라 시대, 한유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공부를 열심히 하여 문장에 뛰어난 재능이 있었지만 당나라는 문벌귀족들이 관직을 독점하던 시대로 이렇다 할 가문이나 배경이 없던 그가 과거시험을 통과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래서 그는 뛰어난 문장 실력에도 불구하고 과거시험에서 매번 낙방하곤 했다. 그러자 한유는 시험을 관장하는 관리에게 자신의 재능을 알아봐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 2020. 3. 16.
[양두구육]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두구육]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양두구육 뜻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 양두구육 풀이 ①겉은 그럴 듯 하나, 속은 그렇지 않음 ②언행일치가 되지 않음 양두구육(羊頭狗肉) 한자 양(羊): 양 양 두(頭): 머리 두 구(狗): 개 구 육(肉): 고기 육 양두구육 유래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 영공(靈公)은 애첩인 융자(戎子)가 남장하는 것을 좋아했다. 그러자 제나라 여인들이 따라서 남장을 하기 시작했고, 결국 제나라에 유행하여 널리 퍼지게 되었다. 이에 영공은 관리를 시켜 이를 금지하도록 하였다. "남장을 한 여자는 옷을 찢고 허리띠를 잘라버리시오." 그러나 옷을 찢고, 허리띠를 잘라버려도 여자들의 남장은 그치질 않았다. 그러자 영공은 안자(晏子)에게 그 이유를 물었다. "과인이 남.. 2020. 3. 9.
낙불사촉(樂不思蜀)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불사촉(樂不思蜀)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불사촉(樂不思蜀)이란? 뜻과 해석, 한자 낙불사촉 한자 낙(樂): 즐길 락 불(不): 아니 불 사(思): 생각할 사 촉(蜀): 나라 이름 촉 낙불사촉 뜻 즐거움에 빠져 촉나라를 생각하지 않는다. 낙불사촉 해석 쾌락에 빠져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낙불사촉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후주전(後主傳) 낙불사촉 유래 낙불사촉은 삼국지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1대 황제였던 선주(先主) 유비(劉備)가 죽자, 후주(後主) 유선이 그의 뒤를 이었다. 그러나 결국 유선은 위(魏)나라에게 항복하여 촉(蜀)나라는 멸망한다. 그러던 어느 날, 유선은 위나라의 최고 권력자인 사마소(司馬昭)와 함께 술.. 2019. 5. 16.
과유불급(過猶不及)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과유불급(過猶不及)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뜻과 해석, 한자 과유불급 한자 과(過): 지날 과 유(猶): 오히려 유 불(不): 아니 불 급(及): 미칠 급 과유불급 뜻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과유불급 해석 지나친 것은 부족함과 다를 바가 없다는 뜻으로 지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즉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과유불급 출전 논어(論語) 제십일편(第十一篇) 선진(先進) 과유불급 유래 자장(子張)과 자하(子夏)중에 누가 더 나은 지를 묻는 자공(子貢)의 질문에 대한 공자(孔子)의 답변 속에 들어있는 내용이다. 과유불급 원문 논어(論語) 선진(先進) 중에서 子貢問(자공문) 자공(子貢)이 묻기를, 師與商也孰賢(사여상야숙현) 사(師)와 商(상.. 2019. 4. 25.
당랑거철(螳蜋車軼)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당랑거철(螳蜋車軼)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당랑거철(螳蜋車軼)이란? 뜻과 해석, 한자 당랑거철 한자 당(螳): 사마귀 당 랑(螂): 사마귀 랑 거(拒): 막을 거 철(轍): 바퀴자국 철 당랑거철 뜻 사마귀가 수레를 막다. 당랑거철 해석 사마귀가 수레를 막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주로 자신의 힘을 과신하거나 자신의 능력을 헤아리지 못하고 강한 사람이나 사물에게 무모하게 덤빈다는 의미로 쓰인다. 당랑거철 출전 장자(莊子) 천지편(天地篇)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 한시외전(韓詩外傳) 문선(文選) 등 당랑거철 유래 책마다 내용, 설명하는 방식, 도출한 결론 등이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결국 사마귀가 수레에 맞서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상대가 되지도 않는 존재가 강한 존재에게 대적하는 .. 2019. 4. 24.
자가당착(自家撞着)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자가당착(自家撞着)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자가당착(自家撞着)이란? 뜻과 해석, 한자 자가당착 한자 자(自): 스스로 자 가(家): 집 가 당(撞): 칠 당 착(着): 붙을 착 자가당착 뜻 자기 스스로 맞부딪치다. 자가당착 해석 자가당착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 등이 앞뒤가 맞지 않고 모순되어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자가당착 출전 선림유취(禪林類聚) 간경문(看經門) 자가당착 유래 중국 송나라 때의 승려인 남당원정(南堂元靜)가 지은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자가당착 원문 선림유취(禪林類聚) 중에서 南堂靜云(남당정운) 남당원정(南堂元靜)이 말하기를, 須彌山高不見巔(수미산고불견령) 수미산(須彌山)은 높고 산봉우리가 보이지 않으며 大海水深不見底(대해수심불견저) 넓은 바다의 물은 깊.. 2019. 4. 22.
토사구팽(兎死狗烹)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토사구팽(兎死狗烹)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토사구팽(兎死狗烹)이란? 뜻과 해석, 한자 토사구팽 한자 토(兎): 토끼 토 사(死): 죽을 사 구(狗): 개 구 팽(烹): 삶을 팽 토사구팽 뜻 토끼가 죽으면 개를 삶아 먹는다.(=兔死狗烹) 토사구팽 해석 토끼 사냥이 끝나면 토끼를 사냥할 때 필요했던 사냥개가 쓸모가 없으니 잡아먹는다는 의미이다. 필요할 땐 요긴하게 쓰고 필요가 없어지면 가혹하게 버려진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토사구팽 출전 사머천(司馬遷)의 사기(史記) 권41. 월왕구천세가(越王句踐世家) 토사구팽 유래 범려(范蠡)와 문종(文種)은 중국 춘추시대의 인물로 월(越)나라 왕 구천(句踐)을 보좌하여 오(吳)나라를 멸망시키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들이다. 그러나 오나라를 멸망시킨 후, .. 2019. 4. 21.
역린(逆鱗)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역린(逆鱗)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역린(逆鱗)이란? 뜻과 해석, 한자 역린 한자 역(逆): 거스를 역 린(鱗): 비늘 린 역린 뜻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나 있는 비늘 역린 해석 역린은 왕(군주)의 분노 또는 왕의 치부나 약점을 언급하여 심기를 건드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역린 출전 한비자(韓非子)의 제12편 세난편(說難篇) ※한비자: 중국 전국시대 한비(韓非) 등이 저술한 책으로 법가사상을 집대성하였으며 총 55편으로 이루어져있다. 역린 유래 역린은 용의 목 아래에 거꾸로 나있는 비늘을 가리키는데, 이곳은 용의 급소이다. 따라서 이곳을 건드리면 용은 크게 분노하여 역린을 건드린 자를 물어 죽인다고 한다. 용처럼 막강한 힘(권력)을 가지고 있는 왕에게도 역린처럼 건드리지 말아야.. 2019. 4. 19.
오월동주(吳越同舟)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오월동주(吳越同舟)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오월동주(吳越同舟)란? 뜻과 해석, 한자 오월동주 한자 오(吳): 오나라 오 월(越): 월나라 월 동(同): 한가지 동 주(舟): 배 주 오월동주 뜻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다. 오월동주 해석 오나라와 월나라는 춘추시대에 서로 격렬하게 대립했던 나라들로서 아무리 서로 미워하는 적대적인 관계라고 할지라도 필요한 상황이나 어려운 상황이 되면 함께 돕고 협력해야 된다는 의미이다.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되는 상황 또는 서로 협력해야할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오월동주 출전 손무(孫武)의 손자(孫子) 구지(九地)편 ※ 구지(九地): 9가지 종류의 전장 지형과 그와 관련하여 공격과 방어에 대해 이야기한 내용이 주.. 2019. 4. 14.
형설지공(螢雪之功)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형설지공(螢雪之功)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형설지공(螢雪之功)이란? 형설지공 뜻과 해석, 한자 형설지공 한자 형(螢): 개똥벌레 형 설(雪): 눈 설 지(之): 갈 지 공(功): 공 공 형설지공 뜻 반딧불이와 눈으로 이룬 성공 형설지공 해석 가난 속에서 글을 읽으며 힘들게 공부하여 이룬 성공 형설지공 출전 이한(李瀚) 몽구(蒙求) 진서(晉書) 차윤전(車胤傳) 형설지공 유래 차윤과 손강은 모두 집이 가난하였으나 차윤은 반딧불이의 빛으로 공부하여 어사대부라는 벼슬까지 올랐고, 손강은 눈의 빛으로 공부하여 이부상서라는 벼슬까지 올랐다. 가난한 집안 사정 속에서도 어렵게 공부하여 성공했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이다. 형설지공 원문 몽구(蒙求) 孫康映雪 車胤聚蛍(손강영설 차윤취형) 손강(孫康)은 눈을 비치.. 2019.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