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유래34

면목(面目) 유래, 면목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면목(面目)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면목(面目)이란? 뜻과 해석, 한자 면목 한자 면(面): 낯(얼굴) 면 목(目): 눈 목 면목 뜻 얼굴과 눈 면목 해석 체면(體面)이나 염치(廉恥)와 같은 뜻, 남을 대할만한 체면 면목 출전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記) 면목 유래, 배경 초나라 항우는 천하의 패권을 두고 한나라 유방과 오랫동안 수많은 전투를 벌였다. 해하(垓下)라는 곳에 이르러 초나라는 군사도 적고 양식도 떨어져 한나라 연합군에게 겹겹이 포위되고 사면초가(四面楚歌)의 상황에 몰리게 되고 항우는 패배를 직감하게 된다. 병사가 얼마 남지 않는 상황에서 누군가가 항우에게 배를 타고 강을 건너 훗날을 기약하라고 하는데 항우가 웃으며 대답하는 말에 담겨있는 고사성어가 면목(面目.. 2019. 4. 6.
권토중래(捲土重來)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권토중래(捲土重來)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권토중래(捲土重來)란? 권토중래 뜻과 해석, 한자 권토중래 한자 권(捲): 말 권 토(土): 흙 토 중(重): 무거울 중(거듭 중) 래(來): 올 래 권토중래 뜻 흙먼지를 말아 일으키며 다시 온다. 권토중래 해석 한번 실패에도 굴하지 않고 다시 세력을 회복해서 도전한다는 뜻으로 전투에서 패했다가 세력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온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넓은 의미로 어떤 일에 실패했다가 실력을 키워 다시 도전해 온다는 뜻이다. 권토중래 출전 두목(杜牧)의 제오강정(題烏江亭) ※ 두목(杜牧): 당나라 말기의 시인 권토중래 유래 초나라 항우는 한나라 유방과의 치열한 싸움 끝에 해하(垓下)에서 사면초가의 수세에 몰렸고, 결국 30기도 남지 않은 기마병을.. 2019. 4. 6.
환골탈태(換骨奪胎)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환골탈태(換骨奪胎)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환골탈태(換骨奪胎)란? 뜻과 해석, 한자 환골탈태 한자 환(換): 바꿀 환 골(骨): 뼈 골 탈(奪): 빼앗을 탈 태(胎): 아이밸 태 환골탈태 뜻 뼈를 바꾸고 태를 빼앗는다. 환골탈태 해석 원래는 옛 사람의 시나 문장에 새로운 뜻을 부여하여 자신의 시에 가져다 써서 자신의 작품인 것처럼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요즘에는 사람의 용모나 됨됨이가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변하였다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환골탈태 출전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惠洪)의 냉재야화(冷齋夜話) 환골탈태 유래 원래 환골탈태는 도가(道家)에서 나오는 개념으로 수련에 의해 새로운 경지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관해 북송의 시인 황정견(黃庭堅)이 환골법(換骨法)과 탈태법.. 2019. 4. 4.
부화뇌동(附和雷同)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부화뇌동(附和雷同)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부화뇌동(附和雷同)이란? 뜻과 해석, 한자 부화뇌동 한자 부(附): 붙을 부 화(和): 화할 화 뇌(雷): 우레 뇌 동(同): 한가지 동 부화뇌동 뜻 우레 소리에 맞추어 함께 하다. 부화뇌동 해석 자신의 주관이나 소신 없이 남의 의견이나 지시에 따르다. 줏대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서 움직이다. 아무 생각 없이 남의 의견에 찬동하다. 아무런 비판 없이 남의 말에 따르다. 부화뇌동 출전 예기(禮記) 곡례편(曲禮篇) 상(上) 논어(論語) 자로편(子路篇) 부화뇌동 유래, 부화뇌동 원문 예기(禮記) 곡례편(曲禮篇) 상(上) 正爾容 聽必恭(정이용 청필공) 너의 용모를 바르게 하고 말씀을 들을 때는 반드시 공손히 하라. 毋勦說 毋雷同(무초설 무뇌동) 다른 사람의.. 2019.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