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3

[~지교 사자성어] 『지교(之交)』로 끝나는 단어 [~지교 사자성어] 『지교(之交)』로 끝나는 단어 사자성어 중에는『□□지교』와 같이 '~지교(之交)'로 끝나는 사자성어를 많이 볼 수 있다. '지교'가 포함된 단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관포지교(管鮑之交) 관(管): 대롱 관 포(鮑): 절인물고기 포 지(之): 갈 지 교(交): 사귈 교 관포지교 뜻: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 관포지교 풀이: 우정이 매우 돈독한 친구 관계 관포지교 유래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의 관중과 포숙아는 어려서부터 둘도 없는 친구 사이였다. 그러나 둘은 장성하여 서로 적대관계에 있는 주인을 섬기게 되면서 적이 되었고, 결국 포숙아가 섬기던 소백(훗날의 환공)이 승리하면서 관중은 감옥에 갇혔다. 그러자 포숙아는 관중을 적극적으로 천거하였고, 관중은 제나라의 대부가 되었다. 이후, 관중.. 2019. 10. 30.
문경지교(刎頸之交)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문경지교(刎頸之交)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문경지교(刎頸之交)란? 뜻과 해석, 한자 문경지교 한자 문(刎): 목벨 문 경(頸): 목 경 지(之): 갈 지 교(交): 사귈 교 문경지교 뜻 목을 베어 줄 수 있는 사귐 문경지교 해석 생사를 함께 할 수 있을 만큼 절친한 사이 문경지교 출전 사기(史記) 염파인상여열전(廉頗藺相如列傳) 문경지교 유래 문경지교는 사기의 염파인상여열전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에 인상여(藺相如)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무현(繆賢)이란 신하의 식객이었는데, 진(秦)나라와의 외교에서 몇 번의 큰 활약을 하며 상경(上卿)이라는 높은 벼슬에 올랐다. 한편, 조나라의 염파장군은 전장을 누비며 큰 공을 세웠던 자신보다 인상여가 높은 자리에 오르자 이를 .. 2019. 10. 28.
관포지교(管鮑之交)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관포지교(管鮑之交)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관포지교(管鮑之交)란? 뜻과 해석, 한자 관포지교 한자 관(管): 대롱 관 포(鮑): 절인물고기 포 지(之): 갈 지 교(交): 사귈 교 관포지교 뜻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 관포지교 해석 친구 사이의 두터운 우정 관포지교 출전 사기(史記) 관안열전(管晏列傳) 관포지교 유래 관포지교는 사기(史記) 관안열전(管晏列傳)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춘추시대,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라는 사람이 있었다. 이 둘은 어려서부터 친구였는데, 포숙아는 관중이 현명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나중에 둘은 벼슬길에 올라 관중은 공자 규(糾)를 섬기고, 포숙아는 규의 아우 소백(小白)을 섬겼다. 그런데 규와 소백이 왕위를 두고 대립하게 되었고, 결국 소백이 왕위에 .. 2019. 10. 21.
[사자성어]『지탄』으로 끝나는 단어 [사자성어]『지탄』으로 끝나는 단어 다음은『□□지탄』의 형태를 취하는, '~지탄' 으로 끝나는 사자성어이다. ~지탄이 포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고분지탄(鼓盆之歎) 고(鼓): 북 고 분(盆): 동이 분 지(之): 갈 지 탄(歎): 탄식할 탄 고분지탄 뜻: 동이를 두드리며 탄식하다. 고분지탄 풀이: 아내가 죽은 슬픔 고분지탄 유래 혜자가 장자의 부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조문을 가니 장자가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혜자가 이유를 묻자 장자가 말했다. "아내가 죽어 슬프지만 아내가 죽은 뒤 천지 사이에 편히 쉴 것이니 통곡하면 천명에 통하지 못하므로 울음을 그치고 동이를 두드리는 것이오." 만시지탄(晩時之歎) 만(晩): 늦을 만 시(時): 때 시 지(之): 갈 지 탄(歎): 탄.. 2019. 10. 19.
비육지탄(髀肉之嘆)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비육지탄(髀肉之嘆)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비육지탄(髀肉之嘆)이란? 뜻, 한자, 해석 비육지탄 한자 비(髀): 넓적다리 비 육(肉): 고기 육 지(之): 갈 지 탄(嘆): 탄식할 탄 비육지탄 뜻 넓적다리 살을 한탄하다. → 허벅지에 살이 찐 것을 한탄하다. 비육지탄 해석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고 헛되이 세월만 보내다.(보람있는 일을 하지 못하고 허송세월하다.) 비육지탄 출전 삼국지(三國誌) 촉지(蜀志) 선주전(先主傳) 구주춘추(九州春秋)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비육지탄 유래 조조의 공격을 받은 유비는 형주의 유표에게 몸의 의탁했고 그 사이 조조는 원소를 격파하고 하북지방을 평정했다. 몇 년이 지난 후, 어느 날 유표는 유비를 불러 술자리를 함께 했다. 유비는 화장실에 갔다가 자신의 허벅지에 .. 2019. 10. 14.
어부지리(漁夫之利)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어부지리(漁夫之利)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어부지리(漁夫之利)란? 뜻과 해석, 한자 어부지리 한자 어(漁): 고기잡을 어 부(夫): 지아비 부 지(之): 갈 지 리(利): 이로울 리 어부지리 뜻 어부의 이익 어부지리 해석 두 사람이 이해관계에 얽혀서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엉뚱한 제3자가 이익을 가로챈다는 의미이다. 어부지리 출전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어부지리 유래 어부지리는 전국책(戰國策)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가 연(燕)나라를 공격하려고 하자 연나라 소양왕(昭襄王)은 소대(蘇代)에게 조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을 설득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소대는 조나라에 가서 혜문왕을 설득하기 위해 이야기 하나를 들려 주었다. 소대는 조나라에 오는 길에 조개와 도요새가.. 2019. 10. 7.
어불성설(語不成說) 뜻, 동의어, 영어로, 예문(cf. 언어도단) 어불성설(語不成說) 뜻, 동의어, 영어로, 예문(cf. 언어도단) 어불성설 한자 어(語): 말씀 어 불(不): 아니 불 성(成): 이룰 성 설(說): 말씀 설 어불성설 뜻 뜻: 말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않는다. 직역: 말이 말을 이루지 못하다.(말이 안 된다.) 어불성설이 쓰이는 경우 → 어불성설은 일반적으로 말의 앞뒤가 맞지 않을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로, 대상의 말이 논리적으로 부족하여 허점이 있다는 것을 지적할 때, 흔히 사용하는 표현이다. 특히, 정치권에서 상대 진영의 논리를 깎아 내리는 부정적 표현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어불성설 영어로 『not hold water』 뜻: 어불성설이다.(이치에 맞지 않는다.) ※참고. hold water《이치에 맞다, 타당하다.》 설명 .. 2019. 10. 2.
칠종칠금(七縱七擒)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칠종칠금(七縱七擒)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칠종칠금(七縱七擒)이란? 뜻, 한자, 해석 칠종칠금 한자 칠(七): 일곱 칠 종(縱): 놓아줄 종 칠(七): 일곱 칠 금(擒): 사로잡을 금 칠종칠금 뜻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다.(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풀어주다.) 칠종칠금 해석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거나 상대방을 쥐락펴락한다는 의미이다. 칠종칠금 출전 자치통감(資治通鑑) 한진춘추(漢晉春秋) 화양국지(華陽國志)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 제갈량전(諸葛亮) ※제갈량전의 경우, 한진춘추를 인용한 배송지의 주석에 등장한다. 칠종칠금 유래 칠종칠금은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유명한 고사성어이다. 중국 삼국시대, 촉의 황제 유비가 죽고 유선이 황제에 오르자 각지에서 반란이 일.. 2019. 9. 30.
언어도단(言語道斷)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언어도단(言語道斷)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언어도단(言語道斷)이란? 뜻, 한자, 해석 언어도단 한자 언(言): 말씀 언 어(語): 말씀 어 도(道): 길 도 단(斷): 끊을 단 언어도단 뜻 말할 길이 끊어지다. 언어도단 해석 어이가 없거나 기가 막혀서, 혹은 너무 엄청나서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 ‘할 말을 잃었다’, ‘말도 안 된다’ 등과 비슷한 뜻으로 볼 수 있다. 언어도단 출전 영락경(瓔珞經) 유마경(維摩經) 인왕경(仁王經) 대지도론(大智度論)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등 다수의 불교 경전에 등장한다. 언어도단 유래 언어도단(言語斷道)이란, 불교에서 등장하는 용어로, 보살영락경(菩薩纓珞經) 하(下)를 비롯한 불교와 관련한 여러 서적에서 등장한다. 원래 의미는 깊은 깨.. 2019. 9. 23.
지록위마(指鹿爲馬)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지록위마(指鹿爲馬)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지록위마(指鹿爲馬)란? 뜻과 해석, 한자 지록위마 한자 지(指): 가리킬 지 록(鹿): 사슴 록 위(爲): 할 위 마(馬): 말 마 지록위마 뜻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하다. 지록위마 해석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휘두르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지록위마 출전 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지록위마 유래 진나라의 시황제(始皇帝), 즉 진시황(秦始皇)은 천하를 통일한 후, 50세라는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러자 환관 조고(趙高)는 당시 승상이었던 이사(李斯)와 짜고 유서를 조작하여 태자 부소(扶蘇)를 죽게 만들고, 어리고 다루기 쉬웠던 열여덟째 아들 호해(胡亥)를 황제로 옹립하니, 그가 이세황제(二世皇帝)이다. 조고는 권력을 .. 2019.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