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4

[사족(蛇足)] 유래, 뜻 – 화사첨족(畫蛇添足)이란? [사족] 유래, 뜻 – 화사첨족(畫蛇添足)이란? ★사족(蛇足)은 화사첨족(畫蛇添足)의 줄임말로 둘은 같은 뜻의 고사성어이다. 화사첨족(畫蛇添足)이란? 뜻과 해석, 한자 화사첨족 한자 화(畫): 그림 화 사(蛇): 뱀 사 첨(添): 더할 첨 족(足): 발 족 사족, 화사첨족 뜻 뱀을 그리고 발을 더하다. 사족, 화사첨족 풀이 필요 이상으로 쓸데 없는 일을 해서 오히려 일을 망치다. 사족, 화사첨족 출전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사기(史記) 초세가(楚世家) 사족, 화사첨족 유래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의 최고 관직인 영윤 벼슬에 있던 소양(昭陽)이 위(魏)나라 군대를 쳐부수고 장군을 죽이며 8개의 성을 빼앗은 후, 다시 군대를 돌려 제(齊)나라를 공격했다. 그러자 제나라의 진진(陳軫)은 전쟁을 막기 위해 .. 2020. 1. 13.
화룡점정(畵龍點睛)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화룡점정(畵龍點睛)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화룡점정(畵龍點睛)이란? 뜻, 한자, 해석 화룡점정 한자 화(畵): 그림 화 룡(龍): 용 룡 점(點): 점찍을 점 정(睛): 눈동자 정 화룡점정 뜻 용을 그리고 마지막에 눈동자를 그려 넣다. 화룡점정 해석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하여 일을 완벽하게 마무리하다. 화룡점정 출전 수형기(水衡記) 화룡점정 유래 중국 남북조시대, 양나라에 장승요라는 화가가 있었다. 중국 육조시대의 3대 화가로 명성을 날렸던 그는 붓 하나로 모든 사물을 실물과 똑같이 그려 내는 치밀하고 사실적인 묘사를 잘하는 화가로 유명했다. 특히 그는 도교와 불교의 인물화에 뛰어나 주로 사원의 벽화를 많이 그렸다. 어느 날, 장승요는 금릉에 있는 안락사라는 절의 주지스님에서 용을 그려달.. 2020. 1. 6.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마부작침(磨斧作針)이란? 뜻, 한자, 해석 마부작침 한자 마(磨): 갈 마 부(斧): 도끼 부 작(作): 지을 작 침(針): 바늘 침 마부작침 뜻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다. 마부작침 풀이 어떤 힘든 일도 열심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 마부작침 출전 방여승람(方輿勝覽) 마침계(磨鍼溪)편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 마부작침 유래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인 이백(李白)의 젊은 시절 때의 일이다. 그는 공부를 위해 미주(眉州)라는 곳에 있는 상이산(또는 상의산)에 들어갔으나 공부에 싫증이 나서 학업을 그만두고 산에서 내려오다가, 한 할머니가 냇가에서 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이백은 할머니에게 물었다. - 할머니, 지.. 2019. 12. 31.
제갈량의 공성계(空城計)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제갈량의 공성계(空城計)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공성계 한자 공(空): 빌 공 성(城): 재 성 계(計): 셀 계 공성계 뜻 성을 비우는 계책 공성계 설명 공성계는 중국의 병법서 삽십육계(三十六計) 중, 32번째에 해당하는 계책이다. 일반적으로 적의 병력이 강하고, 아군의 병력이 열세일 때, 마치 방어하지 않는 것처럼 꾸며 적을 혼란에 빠뜨리게 하는 계책이다. 공성계는 수세에 몰린 싸움에서 기사회생하는 패전계(敗戰計)에 해당한다. 공성계 유래 공성계와 관련한 여러가지 기록들이 있으나, 가장 유명한 것은 제갈량의 공성계이다. 여기에서는 제갈량의 공성계를 소개하도록 한다. 공성계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 제갈량전(諸葛亮傳) 곽충오사(郭沖五事)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제갈량 공성계 ※제갈량의 공성계.. 2019. 12. 27.
[꿈 사자성어] 『몽』으로 끝나는 단어 [꿈 사자성어] 『몽』으로 끝나는 단어 다음은 꿈에 관한 사자성어로, 모두『~몽(夢)』으로 끝나는 사자성어이다. 몽이 들어가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사자성어의 뜻과, 고사성어인 경우 유래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 나부지몽 》羅浮之夢 나(羅): 비단 나 부(浮): 뜰 부 지(之): 갈 지 몽(夢): 꿈 몽 뜻: 나부산에서의 꿈 풀이: 한바탕 덧없는 꿈 유래 중국 수나라의 '조사웅'이라는 사람이 나부산을 유람하다가 숲에서 노숙을 하게 되었다. 그 날, 꿈에 '나부소녀'라는 미인을 만나 함께 즐거운 시간을 가졌는데, 푸른 옷을 입은 동자가 나와 흥을 돋구었다. 다음날, 꿈에서 깨니 매화가지에서 푸른 새가 지저귀고 있었다. 결국, 나부소녀는 매화의 정령이었고, 동자는 푸른 새였다. 《 남가일몽 》.. 2019. 12. 11.
남가일몽(南柯一夢) 유래, 뜻 – 고사성어 이야기 남가일몽(南柯一夢) 유래, 뜻 – 고사성어 이야기 남가일몽(南柯一夢)이란? 뜻과 해석, 한자 남가일몽 한자 남(南): 남녘 남 가(柯): 가지 가 일(一): 한 일 몽(夢): 꿈 몽 남가일몽 뜻 남쪽 나뭇가지에서의 한 꿈 남가일몽 해석 꿈과 같이 헛된 한 때의 부귀영화. 한낱 허황된 꿈 남가일몽 출전 이공좌(李公佐)의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남가일몽 유래 남가일몽은 이공좌(李公佐)가 쓴 소설,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당(唐)나라 때, 순우분(淳于棼)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무예가 뛰어나 무관에 임명되었으나, 술에 취해 죄를 지어 파면되었다. 그 후, 그는 집 주변에 있는 커다란 느티나무 아래에서 여러 사람들과 함께 매일 술을 마시며 방탕한 생활을 했다. 어느 날, 순우분.. 2019. 12. 9.
조강지처(糟糠之妻)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조강지처(糟糠之妻)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조강지처(糟糠之妻)란? 뜻과 해석, 한자 조강지처 한자 조(糟): 지게미 조 강(糠): 겨 강 지(之): 갈 지 처(妻): 아내 처 조강지처 뜻 술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함께 고생한 아내 (※술지게미 뜻: 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 조강지처 해석 어려울 때 함께 고생한 아내를 이르는 말로, 일반적으로 본처를 뜻한다. 조강지처 출전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 조강지처 유래 조강지처는 후한서 송홍전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후한시대, 광무제는 누나인 호양공주가 과부가 되자, 누구를 마음에 두고 있는지 넌지시 공주의 의중을 떠보았다. 그 결과, 공주가 신하인 송홍에게 마음이 있다는 것을 알았으나, 송홍에게는 이미 아내가 있었다. 이에 광무제는 .. 2019. 12. 2.
농단 유래와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농단(壟斷)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농단(壟斷)이란? 뜻, 한자, 해석 농단 한자 농(壟): 언덕 농 단(斷): 끊을 단 농단 뜻 깎아 세운 듯한 높은 언덕 (높이 우뚝 솟은 언덕) 농단 해석(풀이) 이익과 권력을 독차지하다. ※.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농단 유래 참조 농단 출전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하(下) 농단 유래 농단(壟斷)은 맹자 공손추 하편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전국시대, 맹자(孟子)는 제(齊)나라의 신하로 있으면서, 제나라 선왕(宣王)에게 여러 의견을 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했다. 그러자, 왕은 시자(時子)라는 사람을 보내 그를 설득하려 했다. "나라 한복판에 그대를 위해 집을 마련해주고, 또 많은 녹봉을 내려줄 터이니, 거기서 제자를 양성.. 2019. 11. 25.
파경(破鏡)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파경(破鏡)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파경(破鏡)이란? 뜻, 한자, 해석 파경 한자 파(破): 깨뜨릴 파 경(鏡): 거울 경 파경 뜻과 해석 깨진 거울 → 부부가 서로 헤어지다. 파경 출전 본사시(本事詩) 정감(情感) 태평광기(太平廣記) 양소(楊素) 파경 유래 파경은 본사시 정감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의 마지막 왕조인 진나라에 서덕언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아내는 진나라 마지막 황제의 누이, 낙창공주였다. 그런데 수나라가 점점 강해져 나라 안팎의 상황이 혼란해지자 서덕언은 진나라가 망하면 아내가 권력자의 집으로 보내져 이별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거울을 반으로 깨뜨려 반쪽은 자신이 가지고 나머지 반쪽은 아내에게 건내주며 말했다. "정월 보름날에 시장에서 .. 2019. 11. 18.
백발백중(百發百中)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백발백중(百發百中)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백발백중(百發百中)이란? 뜻과 해석, 한자 백발백중 한자 백(百): 일백 백 발(發): 쏠 발 백(百): 일백 백 중(中): 가운데 중 백발백중 뜻 백 번 쏘아 백 번 맞추다. 백발백중 해석 모든 일이 계획대로 전부 들어맞다. 백발백중 출전 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 백발백중 유래 백발백중은 사기의 주본기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주나라 난왕 때, 진나라 장군 백기가 한나라와 조나라 등을 격파하고 양나라 공격을 앞두고 있었다. 주나라의 소려는 양나라가 진나라에게 패배하면 주나라도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고 판단하고, 주나라 난왕에게 백기를 설득하라고 주장하며 한 말 중에 등장하는 고사성어가 백발백중이다. "초나라에 양유기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 2019.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