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4

지록위마(指鹿爲馬)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지록위마(指鹿爲馬)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지록위마(指鹿爲馬)란? 뜻과 해석, 한자 지록위마 한자 지(指): 가리킬 지 록(鹿): 사슴 록 위(爲): 할 위 마(馬): 말 마 지록위마 뜻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하다. 지록위마 해석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휘두르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지록위마 출전 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지록위마 유래 진나라의 시황제(始皇帝), 즉 진시황(秦始皇)은 천하를 통일한 후, 50세라는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러자 환관 조고(趙高)는 당시 승상이었던 이사(李斯)와 짜고 유서를 조작하여 태자 부소(扶蘇)를 죽게 만들고, 어리고 다루기 쉬웠던 열여덟째 아들 호해(胡亥)를 황제로 옹립하니, 그가 이세황제(二世皇帝)이다. 조고는 권력을 .. 2019. 9. 16.
천고마비(天高馬肥)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천고마비(天高馬肥)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천고마비(天高馬肥)란? 뜻과 해석, 한자 천고마비 한자 천(天): 하늘 천 고(高): 높을 고 마(馬): 말 마 비(肥): 살찔 비 천고마비 뜻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 천고마비 해석 가을은 좋은 계절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천고마비 출전 - 전당시(全唐詩) 증소미도(贈蘇味道) - 사기(史記) 흉노열전(匈奴列傳) - 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 천고마비 유래 오늘날의 천고마비는 풍요롭고 아름다운 가을의 정취를 표현한 사자성어로 사용되지만, 원래의 어원은 다른 의미가 있다. 천고마비는 원래 추고새마비(秋高塞馬肥) 또는 추심새마비(秋深塞馬肥), 추고마비(秋高馬肥) 에서 유래된 말이다. 참고로, 추고(秋高)는 음력 8월, 추심(秋深)은 음력 9월.. 2019. 9. 9.
결초보은(結草報恩)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결초보은(結草報恩)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결초보은(結草報恩)이란? 뜻, 한자, 해석 결초보은 한자 결(結): 맺을 결 초(草): 풀 초 보(報): 갚을 보 은(恩): 은혜 은 결초보은 뜻 풀을 묶어서 은혜를 갚다. 결초보은 해석 죽어서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반드시 갚는다는 뜻이다. 결초보은 출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결초보은 유래 결초보은이란 춘추좌씨전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춘추시대 진(晋)나라의 위무자(魏武子)는 병이 들자, 자신의 아들 위과(魏顆)에게 자신이 죽고나면 자신의 애첩을 개가시키라는 당부를 한다. 그러나 나중에 병세가 악화되자 말을 바꿔 위과에게 자신이 죽으면 순장(산채로 함께 묻는 것)을 하라고 한다. 얼마 후, 위무자가 죽자, 위과는 아버지의 병세가 위중했을 때.. 2019. 9. 2.
수주대토(守株待兎)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수주대토(守株待兎)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수주대토(守株待兎)란? 뜻과 해석, 한자 수주대토 한자 수(守): 지킬 수 주(株): 그루터기 주 대(待): 기다릴 대 토(兎): 토끼 토 수주대토 뜻 수주대토란,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 수주대토 해석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이 요행만 바라며 되지도 않을 일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낡은 관습만을 고집하고 새로운 흐름에 적응하거나 순응하지 못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수주대토 출전 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 ※오두편(五蠹篇) 오두(五蠹)는 나라를 혼란하게 하는 다섯 종류의 좀벌레를 뜻하며, 이들을 제거하지 않는 경우에 나라가 파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주대토 유래 수주대토는 한비자(韓非子)의 오두편(五蠹篇)에 .. 2019. 8. 26.
복룡봉추(伏龍鳳雛)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복룡봉추(伏龍鳳雛)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복룡봉추(伏龍鳳雛)란? 뜻, 한자, 해석 복룡봉추 한자 복(伏): 엎드릴 복 룡(龍): 용 룡 봉(鳳): 봉황새 봉 추(雛): 병아리 추 복룡봉추 뜻 엎드려 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 복룡봉추 풀이 아직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사람으로 초야에 숨어 지내는 재주가 뛰어난 훌륭한 인재를 이르는 말이다. 복룡봉추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志) 제갈량전(諸葛亮傳)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복룡봉추 유래 복룡봉추(伏龍鳳雛)는 삼국지에 등장하는 고사성어로 정사(촉지 제갈량전)와 연의 모두 등장하는 내용이다. 흔히 와룡봉추(臥龍鳳雛)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둘은 같은 의미이다. 삼국지 촉지 제갈량전에서 유비가 사마휘에게 세상일에 대해 물으니 사마휘는 자신은 평범한 사.. 2019. 8. 19.
간뇌도지(肝腦塗地)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간뇌도지(肝腦塗地)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간뇌도지(肝腦塗地)란? 뜻과 해석, 한자 간뇌도지 한자 간(肝): 간 간 뇌(腦): 뇌수 뇌 도(塗): 칠할 도 지(地): 땅 지 간뇌도지 뜻 간과 뇌수가 땅에 쏟아지다. 간뇌도지 해석 간뇌도지란, 간과 뇌수가 땅에 쏟아지는 것처럼 비참하고 끔찍하고 참혹하게 죽은 모습을 이르는 말로, 이는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돌보지 않고 힘을 다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간뇌도지 출전 사기(史記) 유경숙손통열전(劉敬叔孫通列傳)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간뇌도지 유래 한(漢)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천하를 평정한 후, 낙양(洛陽)을 도읍으로 결정하려고 하고 있었다. 한 고조 5년, 누경(婁敬)이라는 사람이 황제 알현을 청한다. 그는 낙양을 도읍.. 2019. 8. 12.
와신상담(臥薪嘗膽)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와신상담(臥薪嘗膽)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와신상담(臥薪嘗膽)이란? 뜻과 해석, 한자 와신상담 한자 와(臥): 누울 와 신(薪): 섶 신 상(嘗): 맛볼 상 담(膽): 쓸개 담 와신상담 뜻 섶에 눕고 쓸개를 맛보다. 와신상담 해석 복수를 하거나 원수를 갚는 것과 같이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디며 심신을 단련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와신상담 출전 사기(史記) 월세가(越世家) 십팔사략(十八史略) 와신상담 유래 와신상담(臥薪嘗膽)은 와신(臥薪)과 상담(嘗膽)이 합쳐진 고사성어이다. 와신은 오나라 왕 부차가 섶나무 위에서 누워 자던 것을 말하며, 상담은 월나라 왕 구천이 쓸개를 맛보던 것을 말한다. 중국 춘추시대 오(吳)나라 왕 합려(闔閭)는 월(越)나라 왕 구.. 2019. 8. 5.
내우외환(內憂外患)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내우외환(內憂外患)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내우외환(內憂外患)이란? 뜻, 한자, 해석 내우외환 한자 내(內): 안 내 우(憂): 근심 우 외(外): 바깥 외 환(患): 근심 환 내우외환 뜻 안의 근심과 밖의 근심(환란) 또는 나라 안의 근심과 나라 밖의 근심 내우외환 해석 나라 안팎으로 여러 가지 걱정거리가 가득함을 이르는 말로, 사방에 근심이 가득하다는 말, 또는 항상 근심 속에서 살고 있다는 의미이다. 내우외환 출전 국어(國語) 진어(晉語) ※국어(國語)란? 중국 주나라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저자로 알려져 있는 좌구명(左丘明)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역사책이다. 국어에는 춘추좌씨전에 누락되어 있는 춘추시대의 8개 나라에 대한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춘추외전(春秋外傳)이라고 부르기.. 2019. 7. 29.
괄목상대(刮目相對)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괄목상대(刮目相對)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괄목상대(刮目相對)란? 뜻, 한자, 해석 괄목상대 한자 괄(刮): 비빌 괄 목(目): 눈 목 상(相): 서로 상 대(對): 대할 대 괄목상대 뜻 눈을 비비고 상대방을 대하다. 괄목상대 해석(풀이) 상대방의 학식이나 재주가 몰라볼 정도로 나아졌음을 뜻하는 말이다. 괄목상대 출전 삼국지(三國志) 오지(吳志) 여몽전(呂蒙傳) 괄목상대 유래 괄목상대(刮目相對)란 삼국지 고사성어로 삼국지(三國志) 여몽전(呂蒙傳)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있는데, 주석을 붙인 배송지(裴松之)가 강표전(江表傳)의 내용을 인용한데서 등장한다. ※강표전(江表傳) -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삼국지의 배송지 주석에 많이 인용되어 있다. 이 이야기 속에서는 괄목상대(刮目相對) 뿐 아니.. 2019. 7. 22.
계륵(鷄肋)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계륵(鷄肋)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계륵(鷄肋)이란? 뜻과 해석, 한자 계륵 한자 계(鷄): 닭 계 륵(肋): 갈비 륵 계륵 뜻 닭의 갈비 계륵 해석(풀이) 먹으려고 하니 먹을 것이 없고, 버리려고 하니 아까운 닭의 갈비처럼 취하기에는 별다른 이익이 없고 버리기에는 아까운 물건 또는 그런 경우를 뜻한다. 계륵 고사성어 출전 후한서(後漢書) 양수전(楊脩傳)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무제기(武帝紀)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등 ※무제기(武帝紀): 여기서 무제(武帝)는 조조(曹操)를 뜻한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도 계륵(鷄肋)과 관련된 내용이 등장하며, ‘계륵’의 뜻을 알아챈 양수가 죽임을 당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실제 정사에서는 양수는 한중에서 돌아온 후, 나중에 다른 일로 참수된다. .. 2019.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