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

결초보은(結草報恩)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by 아기뼝아리 2019. 9. 2.

결초보은(結草報恩)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결초보은
결초보은 뜻과 유래

결초보은(結草報恩)이란? 뜻, 한자, 해석

결초보은 한자

결(結): 맺을 결

초(草): 풀 초

보(報): 갚을 보

은(恩): 은혜 은

 

결초보은 뜻

풀을 묶어서 은혜를 갚다.

 

결초보은 해석

죽어서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반드시 갚는다는 뜻이다.

 

결초보은 출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결초보은 유래

결초보은이란 춘추좌씨전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춘추시대 진(晋)나라의 위무자(魏武子)는 병이 들자, 자신의 아들 위과(魏顆)에게 자신이 죽고나면 자신의 애첩을 개가시키라는 당부를 한다. 그러나 나중에 병세가 악화되자 말을 바꿔 위과에게 자신이 죽으면 순장(산채로 함께 묻는 것)을 하라고 한다.

 

얼마 후, 위무자가 죽자, 위과는 아버지의 병세가 위중했을 때의 말을 따르지 않고, 처음에 자신에게 당부했던 것처럼 자신의 서모(庶母)를 개가시킨다.

※ 서모(庶母): 아버지의 첩

 

그리고 나중에 진(秦)나라 장수 두회(杜回)와 싸우게 되었을 때, 서모의 아버지의 망령이 나타나 전장에 있는 풀을 묶어 두어, 결국 두회는 그 풀에 걸려 넘어지게 되어 사로잡혀서 포로가 된다는 고사성어이다.

※ 진(晉)나라와 진(秦)나라는 서로 다른 나라임


결초보은 원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에서

 

秋七月(추칠월)

가을, 음력 칠월에

 

秦桓公伐晉(진환공벌진)

진(秦)나라 환공(桓公)은 진(晉)나라를 공격하여

 

次於輔氏(차어보씨)

보씨(輔氏) 지역에 주둔했다.

 

壬午(임오)

임오일에,

 

晉侯治兵于稷(진후치병우직)

진후(晉侯)는 직(稷)에서 군사를 훈련하여

 

以略狄土(이략적토)

북방 오랑캐 땅을 약탈하고

 

立黎侯而還(입여후이환)

거기에 여후(黎侯)를 세우고 돌아왔다.

 

及雒(급낙)

낙수에 이르러

 

魏顆敗秦師于輔氏(위과패진사우보씨)

위과(魏顆)가 보씨에서 진나라 군사를 쳐부수고

 

獲杜回(획두회)

두회(杜回)를 포획했는데,

 

 

秦之力人也(진지력인야)

(두회는) 진에서 힘이 센 사람이었다.

 

初魏武子有嬖妾無子(초위무자유폐첩무자)

예전에 위무자(魏武子)에게는 사랑하는 첩(妾)이 있었는데 자식이 없었다.

※ 魏武子(위무자): 위과의 아버지

 

武子疾(무자질)

위무자가 병이 들자

 

命顆曰(명과왈)

(위과에게) 분부하며 말했다.

 

必嫁是(필가시)

반드시 이 사람을 재가시키도록 하거라.

 

疾病則曰(질병즉왈)

(그러나) 병이 심해지자 이렇게 말했다.

 

必以爲殉(필이위순)

반드시 순장시키도록 하거라.

※殉(순): 따라죽을 순

 

及卒(급졸)

(위무자가) 죽음에 이르자

 

顆嫁之曰(과가지왈)

위과는 그 첩을 재가시키며 말했다.

 

疾病則亂(질병즉란)

병이 심해지면 (정신이) 혼란해지니

 

吾從其治也(오종기치야)

저는 정신이 맑은 때의 명을 따른 것입니다.

 

及輔氏之役(급보씨지역)

보씨 지역의 전투에서

 

顆見老人(과견노인)

위과는 한 노인을 보았는데

 

結草以亢杜回(결초이항두회)

(그 노인은) 두회를 막기 위해 풀을 묶었고,

 

杜回躓而顛(두회지이전)

두회는 부딪혀 넘어져서

 

故獲之(고획지)

그리하여 그를 사로 잡았다.

 

夜夢之曰(야몽지왈)

(그 노인이) 밤에 꿈에 이렇게 말했다.

 

余而所嫁婦人之父也(여이소가부부인지부야)

나는 재가시킨 부인의 아비되는 사람이요.

 

爾用先人之治命(이용선인지치명)

그대는 부친 정신이 맑을 때의 명을 따랐소.

 

余是以報(여시이보)

이 때문에 내가 (은혜를) 갚는 것이오.

※是以(시이): 이로 인해, 이 때문에


결초보은과 비슷한 사자성어(동의어, 유의어)

결초(結草)

= 결초보은(結草報恩)

결초함환(結草啣環)

결초함환 한자

結(맺을 결), 草(풀 초), 啣(재갈머금을 함), 環(고리 환)

= 결초보은(結草報恩)

 

각골난망(刻骨難忘)

각골난망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難(어려울 난), 忘(잊을 망)

각골난망 뜻: 뼈에 새겨 잊기 어렵다.

각골난망 풀이: 입은 은혜가 고맙고 커서 잊을 수 없다는 뜻이다.

 

백골난망(白骨難忘)

백골난망 한자

白(흰 백), 骨(뼈 골), 難(어려울 난), 忘(잊을 망)

백골난망 뜻: 흰 뼈가 되어도 잊기 어렵다.

백골난망 풀이: 죽어서 몸이 썩고 흰 가루만 남아도 잊을 수 없는 은혜

 

난망지은(難忘之恩)

난망지은 한자

難(어려울 난), 忘(잊을 망), 之(갈 지), 恩(은혜 은)

난망지은 뜻: 잊기 어려운 은혜(잊을 수 없는 은혜)

 

난망지택(難忘之澤)

난망지택 한자

難(어려울 난), 忘(잊을 망), 之(갈 지), 澤(가릴 택)

= 난망지은(難忘之恩)

 

불망지은(不忘之恩)

불망지은 한자

不(아니 불), 忘(잊을 망), 之(갈 지), 恩(은혜 은)

= 난망지은(難忘之恩)

 

명심불망(銘心不忘)

명심불망 한자

銘(새길 명), 心(마음 심), 不(아니 불), 忘(잊을 망)

명심불망 뜻: 마음에 새겨 잊지 않는다.

 

 

참고. 결초보은과 함께 보면 좋은 사자성어

결자해지(結者解之)

결자해지 한자

結(맺을 결), 者(놈 자), 解(풀 해), 之(갈 지)

결자해지 뜻: 매듭을 묶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

결자해지 풀이: 일을 저지른 당사자가 그 일을 해결해야 한다.

 

배은망덕(背恩忘德)

배은망덕 한자

背(배반할 배), 恩(은혜 은), 忘(잊을 망), 德(큰 덕)

배은망덕 뜻: 입은 은덕을 저버리고 배신한다.

 

원입골수(怨入骨髓)

원입골수 한자

怨(원망할 원), 入(들 입), 骨(뼈 골), 髓(뼛골 수)

원입골수 뜻: 원한이 골수에 사무치다.

 

보원이덕(報怨以德)

보원이덕 한자

報(갚을 보), 怨(원망할 원), 以(써 이), 德(큰 덕)

보원이덕 뜻: 원한이 있는 자에게 은덕으로 갚는다.

보원이덕 풀이: 앙갚음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