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4

반골(反骨)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반골(反骨)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반골(反骨)이란? 뜻과 해석, 한자 반골 한자 반(反): 되돌릴 반 골(骨): 뼈 골 반골 뜻 뼈가 거꾸로 솟아 있다. 반골 해석 권세나 권력에 순응하거나 굽히지 않고 저항하는 기질이나 그러한 기골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로 반골기질, 반골의 상 등으로 사용한다. 반골 출전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반골의 유래 반골이라는 말은 삼국지연의에 등장한다. 흔히, 반골, 반골의 상, 또는 반골기질 등의 표현을 쓴다. 반골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적벽대전이 끝난 후, 유비는 형주 남부의 영릉을 평정한 후, 조운이 계양을, 장비가 무릉을 각각 평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사를 평정하기 위해 관우가 500명의 군사를 이끌고 출병한다. 관우는 노장 황충과의 일전을 벌인.. 2019. 5. 24.
마이동풍(馬耳東風)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마이동풍(馬耳東風)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마이동풍(馬耳東風)이란? 뜻, 해석, 한자 마이동풍 한자 마(馬): 말 마 이(耳): 귀 이 동(東): 동녘 동 풍(風): 바람 풍 마이동풍 뜻 말의 귀에 동풍(東風). 말 귀에 봄바람이 스치다. 마이동풍 해석 남의 말이나 의견을 귀담아서 듣지 않고 흘려버리는 것을 이르는 거나 전혀 관심이 없음을 뜻한다. 마이동풍 출전 이백(李白)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 마이동풍 유래 당(唐)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은 친구인 왕십이(王十二)에게 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라는 시를 한 수 받는다. 그리고 이백은 그에 대한 답으로 시를 보내는데 그것이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이다. 그 시의 내용에 유여동풍사마이(有如東風射馬耳)라는 구절.. 2019. 5. 22.
다다익선(多多益善)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다다익선(多多益善)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다다익선(多多益善)이란? 뜻, 한자 다다익선 한자 다(多): 많을 다 다(多): 많을 다 익(益): 더할 익 선(善): 좋을 선 다다익선 뜻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 다다익선 출전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 다다익선 유래 한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천하제패를 달성한 후, 공신들을 하나씩 숙청하였다. 천하통일에 큰 공을 세운 초왕(楚王) 한신(韓信)도 예외일 수 없었다. 한 고조는 한신을 초왕에서 회음후(淮陰侯)로 강등시킨다. 그러던 어느 날, 한 고조 유방은 회음후 한신과 함께 장군들의 능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면서 유방과 한신의 능력에 대해서도 서로 평가를 하는데, 여기서 다다익선(多多益善)이라는 고사성어가 등장한다. 다다익선 .. 2019. 5. 18.
낙불사촉(樂不思蜀)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불사촉(樂不思蜀)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불사촉(樂不思蜀)이란? 뜻과 해석, 한자 낙불사촉 한자 낙(樂): 즐길 락 불(不): 아니 불 사(思): 생각할 사 촉(蜀): 나라 이름 촉 낙불사촉 뜻 즐거움에 빠져 촉나라를 생각하지 않는다. 낙불사촉 해석 쾌락에 빠져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낙불사촉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후주전(後主傳) 낙불사촉 유래 낙불사촉은 삼국지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1대 황제였던 선주(先主) 유비(劉備)가 죽자, 후주(後主) 유선이 그의 뒤를 이었다. 그러나 결국 유선은 위(魏)나라에게 항복하여 촉(蜀)나라는 멸망한다. 그러던 어느 날, 유선은 위나라의 최고 권력자인 사마소(司馬昭)와 함께 술.. 2019. 5. 16.
가렴주구(苛斂誅求)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가렴주구(苛斂誅求)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가렴주구(苛斂誅求)란? 뜻과 해석, 한자 가렴주구 한자 가(苛): 가혹할 가 렴(斂): 거둘 렴 주(誅): 책망할 주 구(求): 구할 구 가렴주구 뜻 가혹하게 거두고 강제로 빼앗는다. 가렴주구 해석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고 재물을 강제로 빼앗는 관리 또는 그러한 정치적 상황으로 백성들이 살아가기 힘들다는 의미로 쓰인다. 가렴주구 출전 구당서(舊唐書) 목종기(穆宗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양공(襄公) 삼십일년(三十一年) 가렴주구 유래 가렴주구(苛斂誅求)는 원래 가렴(苛斂)과 주구(誅求)가 합해진 말이다. 가렴은 구당서(舊唐書) 목종기(穆宗紀)에 등장하며, 주구는 춘추좌씨전 양공 삼십일년에 등장한다. 두 개의 단어가 합쳐져서 조세나 공물을 가혹하게 거둬.. 2019. 5. 13.
우공이산(愚公移山)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우공이산(愚公移山)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뜻과 해석, 한자 우공이산 한자 우(愚): 어리석을 우 공(公): 공평할 공 이(移): 옮길 이 산(山): 메 산 우공이산 뜻 우공(愚公: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기다. 우공이산 해석 남들이 보기에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일지라도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결국 큰 일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우공이산 출전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 우공이산 유래 우공(愚公)은 큰 산 두 개가 있어서 돌아다녀야하는 불편함을 덜기 위해 산을 옮기기로 결정하고 자식들과 산을 옮기기 시작한다. 이를 본 지수(智叟)라는 사람이 그를 비웃으며 이를 말렸으나 우공은 이 일을 자손대대로 하다보면 언젠가는 산을 옮길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이 .. 2019. 5. 11.
단도직입(單刀直入)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단도직입(單刀直入)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단도직입(單刀直入)이란? 뜻과 해석, 한자 단도직입 한자 단(單): 홑 단 도(刀): 칼 도 직(直): 곧을 직 입(入): 들 입 단도직입 뜻 한 자루의 칼을 들고 곧장 들어간다. 단도직입 해석 주로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빙 돌리지 않고 쓸데없는 내용을 배제하여 바로 요점만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불교에서는 생각과 분별과 말에 거리끼지 않고 진경계(眞境界)로 바로 들어가는 것을 뜻한다. 단도직입 출전 석도원(釋道原)의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단도직입 유래, 원문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중에서 廬州澄心院旻德和尙(여주징심원민덕화상) 여주징심원(廬州澄心院)의 민덕화상(旻德和尙)이 ※화상(和尙): 불교에서 가르침을 내.. 2019. 5. 8.
조삼모사(朝三暮四)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조삼모사(朝三暮四)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조삼모사(朝三暮四)란? 뜻과 해석, 한자 조삼모사 한자 조(朝): 아침 조 삼(三): 석 삼 모(暮): 저물 모 사(四): 넉 사 조삼모사 뜻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조삼모사 해석 당장 자신의 눈 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국 그 결과는 같다는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비유하거나 간사한 꾀로 남을 농락하거나 속이는 행위를 이르는 말 조삼모사 출전 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 장자(莊子) 제물론편(齊物論篇) 조삼모사 유래 도토리를 아침에 3개 주고 저녁에 4개를 주는 것이나 아침에 4개를 주고 저녁에 3개를 주는 것이나 결론적으로 7개로 같은데도 눈 앞의 이익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이르거나 이처럼 남을 농락하여 속이는 것을 .. 2019. 5. 7.
살신성인(殺身成仁)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살신성인(殺身成仁)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살신성인(殺身成仁)이란? 뜻과 해석, 한자 살신성인 한자 살(殺): 죽일 살 신(身): 몸 신 성(成): 이룰 성 인(仁): 어질 인 살신성인 뜻 몸을 죽여 인(仁)을 이루다. 살신성인 해석 자신의 몸을 죽여서 인의(仁義)를 이룬다는 것은 희생을 감수해서라도 옳은 일을 행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살신성인 출전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 위령공(衛靈公): 논어의 제 15편으로 위령공이라는 말은 위(衛)나라 영공(靈公)을 뜻함 살신성인 유래 인(仁)은 공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덕목으로, 뜻 있는 사람과 어진 사람은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인을 이룬다는 말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살신성인 원문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 중에서 子曰(자왈) 공자.. 2019. 5. 5.
청천벽력(靑天霹靂)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청천벽력(靑天霹靂)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청천벽력(靑天霹靂)이란? 뜻과 해석, 한자 청천벽력 한자 청(靑): 푸를 청 천(天): 하늘 천 벽(霹): 벼락 벽 력(靂): 벼락 력 청천벽력 뜻 푸른 하늘에 벼락(마른 하늘에 날벼락) 청천벽력 해석 평화로운 상황에서 발생한 뜻밖의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일어난 큰 사건, 사고, 이변을 가리킨다. 원래의 뜻은 필세(筆勢)의 강하고 힘 있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청천벽력 출전 육유(陸游)의 검남시고(劍南詩稿) 구월사일계미명기작(九月四日鷄未鳴起作) ※육유: 남송의 시인 청천벽력 유래 육유는 자신을 스스로 용(龍)에 비유하여 어느 날 자신이 병상에서 일어나서 글을 쓰는 기세가 마치 용이 잠잠히 엎드려 있다가 하늘로 .. 2019.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