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동풍(馬耳東風)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마이동풍(馬耳東風)이란? 뜻, 해석, 한자
마이동풍 한자
마(馬): 말 마
이(耳): 귀 이
동(東): 동녘 동
풍(風): 바람 풍
마이동풍 뜻
말의 귀에 동풍(東風). 말 귀에 봄바람이 스치다.
마이동풍 해석
남의 말이나 의견을 귀담아서 듣지 않고 흘려버리는 것을 이르는 거나 전혀 관심이 없음을 뜻한다.
마이동풍 출전
이백(李白)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
마이동풍 유래
당(唐)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은 친구인 왕십이(王十二)에게 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라는 시를 한 수 받는다. 그리고 이백은 그에 대한 답으로 시를 보내는데 그것이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이다. 그 시의 내용에 유여동풍사마이(有如東風射馬耳)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자신과 같은 시인들이 아무리 좋은 작품을 써도 세상 사람들은 관심이 없다는 것을 말의 귀에 봄바람이 스치는 것으로 비유했다.
※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
추운 밤에 홀로 술잔을 기울이다 생각이 나서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
왕십이(王十二)의 한야독작유희(寒夜獨酌有懷)에 대해 답하여 쓴 시
마이동풍 원문
답왕십이한야독작유회(答王十二寒夜獨酌有懷)
昨夜吳中雪(작야오중설)
어제 밤, 오중(吳中)에 눈이 오니
子猷佳興發(자유가흥발)
자유(子猷)가 좋아하며 흥을 돋웠네.
※자유(子猷): 왕휘지(王徽之)의 자(字)
※왕휘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
萬里浮雲卷碧山(만리부운권벽산)
하염없이 뜬 구름은 푸른 산을 둘러싸고
青天中道流孤月(청천중도류고월)
푸른 하늘 가운데 외로운 달이 떠돈다네.
孤月滄浪河漢清(고월창랑하한청)
외로운 달과 푸른 물결의 은하수는 맑은데
※하한(河漢): 은하수
北斗錯落長庚明(북두착락장경명)
북두칠성은 어지럽게 떨어지고 샛별은 밝구나.
※장경(長庚): 서쪽 하늘에 보이는 샛별
懷余對酒夜霜白(회여대주야상백)
나는 술잔을 마주하고 하얀 밤 서리를 생각해보니
玉牀金井冰崢嶸(옥상금정빙쟁영)
우물 옥 난간에 얼음이 꽁꽁 얼어붙었었지.
人生飄忽百年內(인생표홀백년내)
인생(人生)은 홀연히 나타났다 빠르게 사라지는 것이 백년이 되지 못하니
且須酣暢萬古情(차수감창만고정)
또 술에 취하여 끝없는 옛 생각을 떨쳐버리세.
君不能狸膏金距學鬬雞(군불능리고금거학투계)
그대는 살쾡이 기름과 쇠 발톱으로 투계를 배워
※이고(狸膏): 닭이 무서워하게 하려고 살쾡이 기름을 바름
※금거(金距): 닭싸움을 위해 닭의 발에 쇠로 된 발톱을 채움
※당나라 현종은 투계(鬬雞)를 좋아했음.
坐令鼻息吹虹霓(좌령비식취홍예)
앉아서 콧김으로 무지개를 만들 수 없다네.
君不能學哥舒(군불능학가서)
그대는 가서한(哥舒翰)이 한 것처럼
※가서한(哥舒翰): 중국 당(唐)나라의 무장
橫行青海夜帶刀(횡행청해야대도)
칼을 차고 청해(青海) 밤바다를 건너서
西屠石堡取紫袍(서도석보취자포)
서쪽으로 가서 석보성(石堡城)을 무찔러 자줏빛 도포를 취할 수 없네.
※자포(紫袍): 당나라 시대에는 3품 이상의 관원의 옷이 자줏빛 도포였음
吟詩作賦北牕裏(음시작부북창리)
북쪽 창문 안에서 시(詩)를 읊고 부(賦)를 지어도
※부(賦): 한문 문체의 하나
萬言不直一杯水(만언부직일배수)
수많은 글들이 한 잔 술만도 못하다네.
世人聞此皆掉頭(세인문차개도두)
세상 사람들이 이 말을 듣고 모두 고개를 저으니
有如東風射馬耳(유여동풍사마이)
마치 봄바람이 말의 귀를 스치는 것과 같다네.
※유여(有如): 마치 ~ 같다.
※동풍(東風): 동쪽에서 부는 봄바람, 샛바람
마이동풍과 비슷한 사자성어(동의어, 유의어)
대우탄금(對牛彈琴)
대우탄금 한자
對(대할 대), 牛(소 우), 彈(탈 탄), 琴(거문고 금)
대우탄금 뜻: 소를 마주하고 거문고를 타다.
대우탄금 해석: 어리석은 사람에게 참된 도리를 말해도 전혀 알아듣지 못한다.
우이독경(牛耳讀經)
우이독경 한자
牛(소 우), 耳(귀 이), 讀(읽을 독), 經(글 경)
우이독경 뜻: 쇠귀에 경 읽기
우이독경 해석: 우둔한 사람을 아무리 가르치려고 해도 이해하지 못한다.
※속담: 소귀에 경 읽기(쇠귀에 경 읽기)
우이송경(牛耳誦經)
우이송경 한자
牛(소 우), 耳(귀 이), 誦(외울 송), 經(글 경)
우이송경 뜻: 쇠귀에 경 읽기
= 우이독경(牛耳讀經)
여풍과이(如風過耳)
여풍과이 한자
如(같을 여), 風(바람 풍), 過(지날 과), 耳(귀 이)
여풍과이 뜻: 바람이 귀를 통과하는 것처럼 여기다.
여풍과이 해석: 아무런 관심이나 흥미가 없어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다.
오불관언(吾不關焉)
오불관언 한자
吾(나 오), 不(아니 불), 關(관계할 관), 焉(어찌 언)
오불관언 뜻: 나는 그 일에 상관하지 않는다.
오불관언 해석: 어떤 일에 간섭하지 않고 그대로 두거나 모른 척 한다.
수수방관(袖手傍觀)
수수방관 한자
袖(소매 수), 手(손 수), 傍(곁 방), 觀(볼 관)
수수방관 뜻: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
수수방관 해석: 어떤 일에 관여하지 않고 그대로 내버려 둔다.
풍과이(風過耳)
풍과이 한자
風(바람 풍), 過(지날 과), 耳(귀 이)
풍과이 뜻: 귀를 스쳐가는 바람
풍과이 해석: 개의치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고. 마이동풍과 함께 보면 좋은 사자성어
어로불변(魚魯不辨)
어로불변 한자
魚(고기 어), 魯(나라이름 로), 不(아니 불), 辨(분별할 변)
어로불변 뜻: 어(魚)와 노(魯)를 분별하지 못한다.
어로불변 해석: 비슷하지만 다른 글자를 분별하지 못할 만큼 매우 무식함을 이르는 말이다.
주마간산(走馬看山)
주마간산 한자
走(달릴 주), 馬(말 마), 看(볼 간), 山(메 산)
주마간산 뜻: 말을 타고 달리면서 산을 본다.
주마간산 해석: 바빠서 자세히 살펴보지 않고 대충 훑어보고 지나친다.
'알쓸신잡 > 고사성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면초가(四面楚歌) 유래, 뜻 - 초한지 고사성어 원문 (0) | 2019.05.31 |
---|---|
반골(反骨)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0) | 2019.05.24 |
다다익선(多多益善)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19.05.18 |
낙불사촉(樂不思蜀)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0) | 2019.05.16 |
가렴주구(苛斂誅求)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19.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