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지리(漁夫之利)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어부지리(漁夫之利)란? 뜻과 해석, 한자
어부지리 한자
어(漁): 고기잡을 어
부(夫): 지아비 부
지(之): 갈 지
리(利): 이로울 리
어부지리 뜻
어부의 이익
어부지리 해석
두 사람이 이해관계에 얽혀서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엉뚱한 제3자가 이익을 가로챈다는 의미이다.
어부지리 출전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어부지리 유래
어부지리는 전국책(戰國策)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가 연(燕)나라를 공격하려고 하자 연나라 소양왕(昭襄王)은 소대(蘇代)에게 조나라의 혜문왕(惠文王)을 설득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소대는 조나라에 가서 혜문왕을 설득하기 위해 이야기 하나를 들려 주었다.
소대는 조나라에 오는 길에 조개와 도요새가 서로 싸우는 것을 보았다고 말하면서, 결국 둘이 싸웠지만, 이득을 챙긴 것은 조개도, 도요새도 아닌 이를 지켜보던 어부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나라와 연나라가 싸워서 서로 국력을 소모하게 되면 결국 이득을 보는 나라는 조나라도, 연나라도 아닌 강대국인 진(秦)나라라고 주장했다.
이 말을 들은 혜문왕은 소대의 말이 옳다고 판단하고 연나라를 치려고 하던 계획을 중지했다.
어부지리 원문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중에서
趙且伐燕(조차벌연)
조(趙)나라가 연(燕)나라를 치려고 하자
蘇代爲燕謂惠王曰(소대위연위혜왕왈)
소대(蘇代)가 연나라를 위해 혜문왕(惠文王)에게 말했다.
※蘇代(소대): 전국시대의 웅변가
※惠文王(혜문왕): 전국시대 조나라의 7대 군주
今者臣來過易水(금자신내과역수)
이번에 신이 (이곳에 오면서) 역수(易水)를 건너오게 되었습니다.
※今者(금자): 지금, 요사이
※易水(역수): 중국 하북성에 있는 강
蚌方出曝(방방출폭)
조개가 물가에 나와 입을 벌려 햇볕을 쬐고 있는데
而鷸啄其肉(이휼탁기육)
도요새가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고 하자
蚌合而拑其喙(방합이겸기훼)
조개는 입을 다물어 도요새의 부리를 물었습니다.
鷸曰(휼왈)
도요새가 말하기를,
今日不雨明日不雨(금일불우명일불우)
오늘도 내일도 비가 내리지 않으면
※今日(금일): 오늘
※明日(명일): 내일
卽有死蚌(즉유사방)
(너는) 곧 바짝 말라 죽고 말 것이다.
蚌亦謂鷸曰(방역위휼왈)
조개도 도요새에게 말하기를
今日不出明日不出(금일불출명일불출)
오늘도 내일도 입을 벌려주지 않으면
卽有死鷸(즉유사휼)
(너는) 곧 굶어 죽고 말것이다.
兩者不肯相舍(양자불긍상사)
둘은 상대방의 말을 듣지 않고 서로 포기하지 않다가
漁者得而幷禽之(어자득이병금지)
지나가던 어부가 이를 보고 조개와 도요새를 모두 잡아버렸습니다.
今趙且伐燕(금조차벌연)
지금 조나라가 연나라를 치려고 하는데,
燕趙久相支(연조구상지)
연나라와 조나라가 오랫동안 서로 버티어
以弊大衆(이폐대중)
백성들이 지치게 되면
臣恐强秦之爲漁父也(신공강진지위어부야)
신은 강한 진나라가 어부가 될 것이 두렵습니다.
故願王之熟計之也(고원왕지숙계지야)
그러므로 왕께서 이 점을 깊이 헤아려 주시기를 바랍니다.
※熟計(숙계): 깊이 생각해서 계획을 세움
惠王曰(혜왕왈)
혜문왕이 말했다.
善(선)
좋소
乃止(내지)
이에 (연나라를 공격할 계획을) 그만두었다.
어부지리와 비슷한 사자성어(동의어, 유의어)
어부지리(漁父之利)
어부지리 한자
漁(고기잡을 어), 父(아비 부), 之(갈 지), 利(이로울 리)
= 어부지리(漁夫之利)
어옹지리(漁翁之利)
어옹지리 한자
漁(고기잡을 어), 翁(늙은이 옹), 之(갈 지), 利(이로울 리)
어옹지리 뜻: 고기 잡는 늙은이의 이익
어인지리(漁人之利)
어인지리 한자
漁(고기잡을 어), 人(사람 인), 之(갈 지), 利(이로울 리)
어인지리 뜻: 고기 잡는 사람의 이익
어인지공(漁人之功)
어인지공 한자
漁(고기잡을 어), 人(사람 인), 之(갈 지), 功(공 공)
어인지공 뜻: 고기 잡는 사람의 횡재
어인득리(漁人得利)
어인득리 한자
漁(고기잡을 어), 人(사람 인), 得(얻을 득), 利(이로울 리)
어인득리 뜻: 고기 잡는 사람이 이익을 얻다.
방휼지쟁(蚌鷸之爭)
방휼지쟁 한자
蚌(장합 방), 鷸(도요새 휼), 之(갈 지), 爭(다툴 쟁)
방휼지쟁 뜻: 조개와 도요새의 다툼
방휼지쟁 풀이: 둘이 싸우다가 제3자가 이익을 얻는다.
견토지쟁(犬兔之爭)
견토지쟁 한자
犬(개 견), 兔(토끼 토), 之(갈 지), 爭(다툴 쟁)
견토지쟁 뜻: 개와 토끼의 다툼
견토지쟁 풀이: 둘이 싸우다가 제3자가 이익을 얻는다.
견토지쟁(犬兎之爭)
견토지쟁 한자
犬(개 견), 兎(토끼 토), 之(갈 지), 爭(다툴 쟁)
= 犬兔之爭(견토지쟁)
전부지공(田夫之功)
전부지공 한자
田(밭 전), 夫(지아비 부), 之(갈 지), 功(공 공)
전부지공 뜻: 농부의 횡재
전부지공 풀이: 중국에 한자로(韓子盧) 라는 빠른 개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빠른 토끼를 뒤쫓다가 결국 둘 다 지쳐 죽었는데, 이를 본 전부(田夫)가 둘다 얻었다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참고. 어부지리와 함께 보면 좋은 고사성어
어부지용(漁夫之勇)
어부지용 한자
漁(고기잡을 어), 夫(지아비 부), 之(갈 지), 勇(날랠 용)
어부지용 뜻: 어부의 용기
어부지용 풀이: 어부가 물 속에서 무서워하지 않는 것처럼 오랜 체험을 통해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이다.
어부지리 예문
- 너무 오랫동안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이 정쟁으로 싸우다보니 어부지리격으로 중도세력이 강해지고 있다.
- 한국과 일본이 서로 수출규제를 하게 되면서 결국에는 중국이 어부지리로 이득을 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금메달리스트와 은메달리스트가 금지된 약물 복용 사실이 드러나면서 동메달리스트가 어부지리로 1위에 올랐다.
어부지리 비슷한 속담
- 죽 쑤어 개준다.(죽 쒀서 개준다)
-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주인, 왕서방)이 받는다.
'알쓸신잡 > 고사성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지탄』으로 끝나는 단어 (0) | 2019.10.19 |
---|---|
비육지탄(髀肉之嘆)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0) | 2019.10.14 |
어불성설(語不成說) 뜻, 동의어, 영어로, 예문(cf. 언어도단) (0) | 2019.10.02 |
칠종칠금(七縱七擒)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0) | 2019.09.30 |
언어도단(言語道斷)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19.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