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의 종류, 꿀의 효능 부작용
꿀의 종류, 꿀의 효능 오늘은 꿀의 종류를 알아보고, 꿀의 효능과 부작용을 짚어보려고 합니다. 꿀의 종류 유채꿀 풀냄새가 곁들여져 있는 유채꿀은 유백색의 꿀로, 생산 후 일주일이 지나면 하얗게 굳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굳어진 꿀은 중탕을 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아카시아꿀 당도가 높고 향기로운 아카시아꿀은 백황색의 꿀로, 시간이 지나도 유채꿀처럼 굳어지지는 않지만, 결정이 생길 수는 있습니다. 밤꿀 향과 색깔이 진한 밤꿀은, 흙갈색을 띄며, 오래 지나도 굳지 않습니다. 약간 쓴 맛이 있기 때문에 약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밤꿀은 천식을 가라 앉히고, 소화를 도우며, 해독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잡화꿀 꿀벌이 이꽃 저꽃을 돌아다니며 여러가지 종류의 꽃에서 꿀을 얻어 만들어낸 꿀을 잡..
2019. 8. 20.
[국가 코드] 나라별 영어 약자(2자리, 3자리, IOC, FIFA)
[국가 코드] 나라별 영어 약자(2자리, 3자리, IOC, FIFA) 세계의 모든 국가들은 각각 고유한 국가 코드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 ISO 3166-1, IOC 국가코드, FIFA 국가코드이다.(나라 이름 가나다순 정렬) ※ ISO 3166-1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3166-1 코드 데이터 처리와 통신 시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2글자로 된 alpha-2와 3글자로 된 alpha-3이 있으며 alpha-2의 경우, 인터넷 도메인에 사용하기도 한다. ※ FIFA 코드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코드 피파(FIFA)가 발급한 3자리의 고유 코드..
2019. 8. 18.
[과일동사 뜻 33개] 과일, 채소 동사/형용사 모음(~하다)
[과일동사 33개] 과일, 채소 동사/형용사 모음(~하다) 과일동사 과일동사란 과일이나 채소 이름 뒤에 '□□하다'를 붙였을 때, 원래의 과일이나 채소의 뜻과 다른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비록, 『과일동사』라는 말 자체는 국어사전에 있는 정식 단어가 아니지만, 어떤 과일동사들은 국어사전에도 버젓이 존재하며, 마치 동사와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수박하다, 포도하다, 망고하다, 오이하다, 고추하다 등과 같은 흥미로운 과일동사(과일형용사)와 채소동사(채소형용사) 30여 가지의 뜻을 알아보았다. (참고. 과일 이름을 붙인다고 해서 무조건 해당 동사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두하다' 이런 단어는 없다.) 그러면, 과일동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지하다 1. ..
2019. 8. 17.
[올바른 당구 용어] 일본식 당구 용어 순화
[올바른 당구 용어] 일본식 당구 용어 순화 ■ ㉠ ■ 가락(가라꾸, 가락꾸) → 빈쿠션치기, 뱅크샷 당구대의 쿠션을 먼저 맞춘 후, 제1, 2적구를 맞추는 것 가야시(가오시, 세리, 쎄리다마) → 모아치기 주로 4구 경기에서 제1, 2적구를 치기 편한 포지션으로 모이게 하면서 치는 것 갬빼이(겐뻬이, 편다이) → 편가르기, 복식 두 팀으로 나눠서 시합을 하는 것 겐세이 → 견제, 수비, 디펜스 플레이 상대방이 득점하지 못하도록 견제, 수비를 하는 모든 행위 기리까시(기레까시, 짱꼴라) → 비껴치기 수구로 제1적구를 비스듬하게 깎아 치는 것 기리오시 → 짧게 밀어치기 기리히끼 → 짧게 끌어치기 갸꾸(가꾸, 까꾸, 까꾸히네리) → 역회전 수구의 진행방향에 반대의 회전을 주는 것 ■ ㉡ ■ 나미(나메, 칼다..
2019.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