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4

모순(矛盾)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모순(矛盾)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모순(矛盾)이란? 뜻, 한자, 해석 모순 한자 모(矛): 창 모 순(盾): 방패 순 모순 뜻 창과 방패 모순 해석 모순이란 무엇이든지 뚫을 수 있는 창과 무엇으로도 뚫을 수 없는 방패, 즉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을 뜻한다. 모순 출전 한비자(韓非子) 난일편(難一篇), 난세편(難勢篇) 모순 유래 한비자(韓非子)에 나오는 내용이다. 모순은 일반적으로 무엇이든 뚫을 수 있는 창과 무엇이든 막을 수 있는 방패로 많이 알려져 있다. 창과 방패의 이야기는 한비자가 아래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비유적인 예를 든 것이다. 먼저, 난일편(難一篇)에서 한비자(韓非子)는 중국을 덕으로 다스려서 태평성대를 일구었다고 알려져 있는 요임금과 순임금의 예를 든다. 법치주.. 2019. 7. 8.
유비무환(有備無患)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유비무환(有備無患)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유비무환(有備無患)이란? 뜻, 한자, 해석 유비무환 한자 유(有): 있을 유 비(備): 갖출 비 무(無): 없을 무 환(患): 근심 환 유비무환 뜻 준비가 있으면 근심이 없다. 유비무환 해석 평소에 미리 준비가 철저하게 돼있으면 환란을 당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유비무환 출전 서경(書經) 열명(說命)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열명(說命) 열명은 서경(書經)의 상서(商書)에 있는 편으로, 상나라 고종(高宗)이 성을 쌓고 있던 노예였던 부열(傅說)을 재상으로 삼은 이유와 과정, 그리고 고종과 부열이 주고받은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춘추좌씨전은 공자가 썼다고 알려져 있는 역사서 춘추(春秋)의 주석서로, 삼국지의 관우가 평생 가지고.. 2019. 7. 1.
대기만성(大器晩成)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대기만성(大器晩成)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대기만성(大器晩成)이란? 뜻, 한자, 해석 대기만성 한자 대(大): 큰 대 기(器): 그릇 기 만(晩): 늦을 만 성(成): 이룰 성 대기만성 뜻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대기만성 해석 그릇의 크기가 클수록 만드는데 오랜 시간 필요한 것처럼, 큰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또는 이로 인해 나이가 들어서 성공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참고. 대기만성형 대기만성형이란 나이들어서 성공한 사람을 분류할 때 자주 쓰는 말이다.(e.g. 그는 대기만성형이다.) 대기만성 출전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삼국지(三國志) 최염전(崔琰傳) 후한서(後漢書) 마원전(馬援傳) ※도덕경(道德經): 노자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 2019. 6. 27.
각주구검(刻舟求劍)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각주구검(刻舟求劍)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각주구검(刻舟求劍)이란? 뜻, 한자, 해석 각주구검 한자 각(刻): 새길 각 주(舟): 배 주 구(求): 구할 구 검(劍): 칼 검 각주구검 뜻 배에 표시를 새겨 칼을 찾는다. 각주구검 해석 어리석고 미련하여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각주구검 출전 여씨춘추(呂氏春秋) 찰금편(察今篇) ※여씨춘추(呂氏春秋): 중국 전국시대 때 진나라 재상 여불위가 빈객 3천 명을 모아 만든 책으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볼 수 있다. 여씨춘추를 여람(呂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각주구검 유래 여씨춘추(呂氏春秋) 찰금편(察今篇)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그가 가지고 있던 칼을 강물에 빠뜨린다. 그는 즉시 칼을 떨어뜨린 곳을 확인.. 2019. 6. 20.
삼국지 고사성어 -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유래, 원문 삼국지 고사성어 -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유래, 원문 난형난제(難兄難弟)란? 뜻, 한자, 해석 난형난제 한자 난(難): 어려울 난 형(兄): 형 형 난(難): 어려울 난 제(弟): 아우 제 난형난제 뜻 형이라 하는 것도 아우라고 하는 것도 어렵다. 난형난제 해석 둘의 재능이나 실력이 비슷하여 누구 나은지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난형난제 출전 유의경(劉義慶)의 세설신어(世說新語) 덕행(德行)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송나라의 유의경이 지은 책으로 여러 명사들의 덕행이나 언어, 문학 등과 관련한 일화를 수록한 책이다. 난형난제 유래 난형난제란 삼국지 고사성어로 세설신어(世說新語) 덕행(德行)에 등장한다. 진식과 그의 아들인 진기와 진심은 명성이 높아 이 세 명은 삼군(三君)으로 불렸다. 하루는 진기의.. 2019. 6. 19.
풍수지탄(風樹之嘆)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풍수지탄(風樹之嘆)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풍수지탄(風樹之嘆)이란? 뜻, 한자, 해석 풍수지탄 한자 풍(風): 바람 풍 수(樹): 나무 수 지(之): 갈 지 탄(嘆): 탄식할 탄 풍수지탄 뜻 바람과 나무의 탄식 풍수지탄 해석 효도를 하려고 마음먹었을 때에는 이미 때가 늦어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다. 부모에게 효도를 하려고 하지만 이미 부모님이 돌아가셨음. 풍수지탄 출전 한영(韓孀)의 한시외전(韓詩外傳) ※한시외전(韓詩外傳): 시경(詩經)의 해설서(解說書) 풍수지탄 유래 한시외전의 제 9권에 등장하는 내용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공자(孔子)는 유랑하다가 몹시 슬피 울고 있던 고어(皋魚)라는 사람을 만난다. 고어는 자신이 살면서 세 가지 잘못을 저질렀다고 하면서 그 중의 하나.. 2019. 6. 14.
자포자기(自暴自棄)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자포자기(自暴自棄)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자포자기(自暴自棄)란? 뜻, 한자, 해석 자포자기 한자 자(自): 스스로 자 포(暴): 해칠 포 자(自): 스스로 자 기(棄): 버릴 기 자포자기 뜻 자기 스스로를 학대하고 돌보지 않는다. 자포자기 해석 원래는 맹자가 인(仁)과 의(義)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이었으나 현재는 절망 또는 체념하여 자신을 돌보지 않고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자포자기 출전 맹자(孟子) 이루상편(離婁上篇) (※이루(離婁)는 상편 28장, 하편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포자기 유래 맹자(孟子)의 이루상편(離婁上篇)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여기서 맹자는 자포자(自暴者)와 자기자(自棄者)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들과는 함께 도(道)를 말하거나 행하.. 2019. 6. 6.
청출어람(靑出於藍)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청출어람(靑出於藍)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청출어람(靑出於藍)이란? 뜻, 한자, 해석 청출어람 한자 청(靑): 푸를 청 출(出): 날 출 어(於): 어조사 어 람(藍): 쪽 람 청출어람 뜻 푸른색은 쪽(藍)에서 나온다.(푸른색은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 청출어람 해석 푸른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푸른색이 쪽보다 더 푸른 것처럼,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낫다는 뜻을 담고 있는 고사성어이다. ※남색을 쪽빛이라고 하는 이유? 남색과 쪽빛은 같은 말이다. 청출어람의 ‘람(藍)’은 ‘쪽 람(남)’으로 우리가 흔히 쓰는 남색(藍色)에서 쓰는 한자이기도 하다. 원래 쪽은 한해살이풀로서 중국이 원산지이다. 쪽의 잎은 평범한 녹색이지만, 여러 과정을 거쳐 남색 염료를 만들 수 있다. 청출어람 출전 순자(.. 2019. 6. 5.
읍참마속(泣斬馬謖)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읍참마속(泣斬馬謖)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읍참마속(泣斬馬謖)이란? 뜻과 해석, 한자 읍참마속 한자 읍(泣): 울 읍 참(斬): 벨 참 마(馬): 말 마 속(謖): 일어날 속 읍참마속 뜻 울면서 마속을 베다. =휘루참마속(揮淚斬馬謖): 눈물을 뿌리며 마속을 베다. 읍참마속 해석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법을 지켜 기강을 바로 세운다.(대의를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 또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 자신이 아끼는 사람을 버린다. 읍참마속 출전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읍참마속 유래 촉(蜀)나라의 승상, 제갈량(諸葛亮)은 재주가 뛰어났던 마속(馬謖)을 아꼈으나 유비(劉備)는 백제성(白帝城)에서 죽기 전에 마속이 실제 자신의 재주보다 과대평가된 인물이라고 하며 크게 사용하면 안 된다고 한다. .. 2019. 6. 1.
사면초가(四面楚歌) 유래, 뜻 - 초한지 고사성어 원문 사면초가(四面楚歌) 유래, 뜻 - 초한지 고사성어 원문 사면초가(四面楚歌)란? 뜻, 해석, 한자 사면초가 한자 사(四): 넉 사 면(面): 얼굴 면 초(楚): 초나라 초 가(歌): 노래 가 사면초가 뜻 사방에서 들리는 초나라의 노랫소리 사면초가 해석 적에게 둘러싸여 고립된 상태를 말하며 어려운 일에 봉착하여 극복할 방법이 없이 궁지에 빠진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사면초가 출전 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 사면초가 유래 사면초가(四面楚歌)는 초한지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초(楚)나라의 항우(項羽)와 한(漢)나라의 유방(劉邦)은 천하의 패권을 두고 다투었고 양측은 일진일퇴를 거듭하다가 홍구(鴻溝)라는 지역을 경계로, 서쪽은 한나라 땅, 동쪽은 초나라 땅으로 천하를 양분하기로 하고 휴전을 한다. 이후,.. 2019.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