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절기 - 부림절, 월삭, 안식일, 부활절
성경 절기 - 부림절, 월삭, 안식일, 부활절 오늘은 성경에 등장하는 절기, 부림절, 월삭, 안식일, 부활절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부림절 부림절은 페르시아 제국의 권세자였던 하만이 유대인 학살의 음모를 꾸몄으나, 모르드개와 그의 사촌동생이자 페르시아 왕후였던 에스더가 이를 막고 유대인의 적을 물리친 것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그 당시에 왕비는 왕이 부르지 않으면 왕을 찾아갈 수 없었는데, 왕후 에스더는 유대인들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왕이 부르지 않았음에도 왕을 찾아가서 결국 유대인들을 구할 수 있었죠. 그러나 하만이 유대인 학살의 날을 정하고 페르시아 왕에게 조서를 받았기 때문에, 그 명령 자체를 취소하는 것은 왕도 할 수 없어서, 왕은 새로운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 그것은 유대인들은 각기 칼..
2024. 2. 15.
성경 절기 - 나팔절, 대속죄일, 희년, 봉헌절
성경 절기 - 나팔절, 대속죄일, 희년, 봉헌절 오늘은 성경에 나오는 절기, 나팔절, 대속죄일, 희년, 봉헌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나팔절 나팔절은 옛 이스라엘 달력으로 7월 1일이며, 10일 뒤에 있을 대속죄일을 준비하며 나팔을 불어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일곱째 달 곧 그 달 첫 날은 너희에게 쉬는 날이 될지니 이는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라 -레위기 23장 24절- 대속죄일 대속죄일은 옛 이스라엘 달력으로 7월 10일이며, 모든 죄를 용서받는 날입니다. 대속죄일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사람들이 모세가 십계명을 받으러 간 사이 금송아지 신상을 세우는 죄를 지은 후, 다시 용서받고 다시 십계명을 받은 날에서 유래합니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일곱째..
2024. 2. 11.
성경 절기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아빕월, 니산월
성경 절기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아빕월, 니산월 오늘은 성경에 등장하는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아빕월, 니산월의 뜻과 유래를 살펴 보려고 합니다. 유월절 유월절은 이스라엘 달력으로 1월 14일입니다. 하나님이 10가지 재앙을 이집트에 내렸을 때 마지막 재앙은 이집트의 모든 사람과 짐승의 모든 장자를 죽이는 것이었죠. 그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양의 피를 문 인방과 좌우 설주에 발라, 재앙이 그 집을 넘어갔습니다. 유월절은 이렇게 재앙이 뛰어 넘어 갔음을 기념하는 절기 입니다. 첫째 달 열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요 -레위기 23장 5절- 무교절 무교절은 이스라엘 달력으로 1월 15일부터 21일까지 지속됩니다. 이스라엘이 출애굽할 당시, 급하게 나오느라 누룩 없는 반죽을 ..
2024. 2. 3.
코람데오, 아도나이, 달리다굼, 샬롬, 솔라피데,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뜻
코람데오, 아도나이, 달리다굼, 샬롬, 솔라피데,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뜻 오늘은 성경에 등장하는 코람데오, 아도나이, 달리다굼, 샬롬, 솔라피데,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의 뜻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코람데오 (Coram Deo) 코람데오는 라틴어로 '하나님 앞에서'라는 뜻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나타내고, 사람 앞이 아닌 하나님 앞에서 살아간다는 의미입니다. 창세기 39장 6~10절 6. 주인이 그의 소유를 다 요셉의 손에 위탁하고 자기가 먹는 음식 외에는 간섭하지 아니하였더라 요셉은 용모가 빼어나고 아름다웠더라 7. 그 후에 그의 주인의 아내가 요셉에게 눈짓하다가 동침하기를 청하니 8. 요셉이 거절하며 자기 주인의 아내에게 이르되 내 주인이 집안의 모든 소유를 간섭하지 아니하고 다 내 손에 위탁하였..
2023. 11. 4.
셀라, 쉐마, 파이디온, 에클레시아, 디아스포라, 아가페의 뜻
셀라, 쉐마, 파이디온, 에클레시아, 디아스포라, 아가페의 뜻 오늘은 성경에 나오는 용어 셀라, 쉐마, 파이디온, 에클레시아, 디아스포라, 아가페의 뜻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셀라 셀라는 시편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로 두 가지 정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소리를 높여라'라는 뜻으로 그 부분을 강조하여 크게 소리를 내거나 음을 높이라는 뜻입니다. 또한 '멈춰서 들어라'의 뜻으로 볼 수 있는데, 앞에 나온 구절을 잠시 멈춰서 묵상하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어느 것이 되었든 시편이 원래 곡조 있는 노래이기에 둘 다 음악 용어로 사용되며, 또한 셀라 앞에 나오는 부분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셀라를 읽어야 하나? 그래서 시편은 노래 가사이고, 셀라는 노래 가사가 아닌 악보에 쓰..
2023.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