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3

[양(羊) 한자성어] 양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7가지 [양(羊) 한자성어] 양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7가지 양(羊)에 관한 사자성어 1. 견양지질(犬羊之質) 한자: 犬(개 견), 羊(양 양), 之(갈 지), 質(바탕 질) 뜻: 개나 양과 같은 소질 ▶ 재능이 없이 태어난 바탕 2. 견우미견양(見牛未見羊) 한자: 見(볼 견), 牛(소 우), 未(아닐 미), 見(볼 견), 羊(양 양) 뜻: 소는 보고 양을 보지 않았다 ▶ 무엇이든지 보지 않은 것보다는 자기가 직접 본 것에 대해 좀 더 생각하게 된다 → 제나라 선왕이 소가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것을 보고는 소를 놓아주고 대신 양을 데려가라고 했다. 둘다 끌려가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소는 직접 보았으니 가엾게 여겼고, 양은 보지 않았으니 가엾게 여기지 않은 것이다. 3. 고삭희양(告朔餼羊) 한자: 告(알릴 고),.. 2021. 6. 1.
[ㅎ]으로 시작하는 사이시옷 단어 [ㅎ]으로 시작하는 사이시옷 단어 [ㅎ] 사이시옷 단어 [하루 + ㅅ] 하룻강아지, 하룻길, 하룻날, 하룻낮, 하룻망아지, 하룻밤, 하룻볕, 하룻비둘기, 하룻저녁 [하지 + ㅅ] 하짓날, 하짓머리 [한데 + ㅅ] 한뎃가마, 한뎃금점, 한뎃뒤주, 한뎃뒷간, 한뎃마루, 한뎃부뚜막, 한뎃부엌, 한뎃솥, 한뎃잠, 한뎃장사 [해 + ㅅ] 햇귀, 햇기, 햇덧, 햇덩어리, 햇덩이, 햇무리, 햇물, 햇발, 햇볕, 햇빛, 햇살, 햇수 [허드레 + ㅅ] 허드렛물, 허드렛소리, 허드렛일 [허리 + ㅅ] 허릿간, 허릿간마디, 허릿단, 허릿달, 허릿매, 허릿물, 허릿심 [혀 + ㅅ] 혓몸, 혓밑, 혓바늘, 혓바닥, 혓바닥소리, 혓소리, 혓줄, 혓줄때기 [혼사 + ㅅ] 혼삿길, 혼삿날, 혼삿말 [혼자 + ㅅ] 혼잣말, 혼잣소리,.. 2021. 5. 24.
안중지정(眼中之釘) 뜻과 유래 - 《눈엣가시》 안중지정(眼中之釘) 뜻과 유래 - 《눈엣가시》 안중지정이란? 뜻: 눈 속의 못 풀이: 몹시 밉거나 눈에 거슬리는 사람 ※안중지정 비슷한말 = 안중정(眼中釘) = 눈엣가시 안중지정 유래 중국 5대 10국시대, 후당에 《조재례》라는 탐관오리가 있었다. 그는 주로 지방에서 절도사를 역임하며 재임하는 지역의 백성들을 착취하며 수많은 재물을 모았다. 조재례가 송주의 절도사로 있던 때의 일이다. 그가 조정의 명을 받고 영흥 절도사로 가게 되자 오랜 폭정에 시달리던 송주 백성들은 매우 기뻐하며 이렇게 말했다. - 조재례가 이곳을 떠난다니 마치 『눈 속의 못』 → '안중지정(眼中之釘)'이 빠진 것처럼 기분이 좋구나! 그러나 조재례는 이 말을 듣고 크게 노하여 송주에서 1년만 더 머물게 해달라고 조정에 요청했고, 조정은.. 2021. 5. 22.
[원숭이 한자성어] 원숭이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14가지 [원숭이 한자성어] 원숭이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14가지 원숭이(猶/猿/狙/猴) 사자성어 1. 견원지간(犬猿之間) 한자: 犬(개 견), 猿(원숭이 원), 之(갈 지), 間(사이 간) 뜻: 개와 원숭이의 사이 ▶ 둘의 사이가 매우 나쁜 관계 = 견묘지간(犬猫之間): 개와 고양이의 사이 = 견원(犬猿): 개와 원숭이 = 불공대천지원수(不共戴天之怨讐): 함께 하늘을 이지 못하는 원수 = 불구대천지원수(不俱戴天之怨讐): 함께 하늘을 이지 못하는 원수 = 빙탄불상병(氷炭不想竝): 얼음과 숯은 함게 어울릴 수 없다 =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얼음과 숯은 서로 용납하지 못한다 = 빙탄지간(氷炭之間): 얼음과 숯의 사이 =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 물과 불은 서로 용납하지 못한다 = 유여수화(有如水火): 마치 물과 .. 2021. 5. 20.
[스승(師) 한자성어] 스승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49가지 [스승(師) 한자성어] 스승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49가지 스승 사자성어 01. 거각(擧覺) 한자: 擧(들 거), 覺(깨달을 각) 뜻: 스승이 들어 보이고 학인(學人)이 깨닫다 ▶ 스승과 학인이 깨달음으로 만나는 일 02. 교학상장(敎學相長) 한자: 敎(가르칠 교), 學(배울 학), 相(서로 상), 長(길 장) 뜻: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 성장한다 ▶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스승과 제자가 함께 성장한다 = 효학반(斅學半): 가르치는 것이 학업의 반이다 = 효학상장(斅學相長):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 성장한다 03.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 한자: 君(임금 군), 師(스승 사), 父(아비 부), 一(한 일), 體(몸 체) 뜻: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다 04. 능지능행총시사공(能知能行摠是師功) 한.. 2021. 5. 15.
[도외시(度外視)] 뜻과 유래 - 『도외시하다』 [도외시(度外視)] 뜻과 유래 - 『도외시하다』 '도외시'란? 뜻: 법도 밖으로 간주하다 → 안중에 두지 않고 무시하다 도외시 유래 중국 후한시대, 광무제 《유수》는 전한을 무너뜨리고 신나라를 세운 《왕망》을 멸하고 한나라를 재건했다. 그러나 여전히 각지에서 수많은 군웅들이 세력을 형성하고 있어서 천하는 혼란한 상황이었다. 이에 광무제는 후한을 세운 후 천하를 통일하기 위해 힘썼고, 그 결과 관동지역을 모두 장악하며 대부분의 반란세력을 토벌했다. 여러 대신들은 남은 세력인 《공손술》과 《외효》까지 모두 토벌하자고 했다. 그러나 그들이 있는 농땅과 촉땅은 멀고 병사들은 오랜 전쟁으로 지쳐있는 상황이었다. 광무제가 말했다. - 이미 중원이 평정되었으니 이제 그들을 문제시할 것 없소. → 『도외시(度外視)』 .. 2021. 5. 14.
[효도(孝) 한자성어] 효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1가지 [효도(孝) 한자성어] 효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1가지 효도에 관한 사자성어 01. 가빈친로(家貧親老) 한자: 家(집 가), 貧(가난할 빈), 親(어버이 친), 老(늙을 로) 뜻: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다 ▶ 집이 가난하고 부모가 늙으면 마음에 들지 않는 벼슬자리라도 얻어서 부모를 봉양해야 한다 02. 견마지양(犬馬之養) 한자: 犬(개 견), 馬(말 마), 之(갈 지), 養(기를 양) 뜻: 개나 말의 봉양 ▶ 부모를 봉양만 할 뿐, 공경하는 마음이 없다 03. 구이경지(久而敬之) 한자: 久(오랠 구), 而(말이을 이), 敬(공경 경), 之(갈 지) 뜻: 오래도록 공경하다 04. 난익지은(卵翼之恩) 한자: 卵(알 난), 翼(날개 익), 之(갈 지), 恩(은혜 은) 뜻: 알을 낳아 날개로 품어 길러준 .. 2021. 5. 12.
당랑포선(螳螂捕蟬) 뜻과 유래 당랑포선(螳螂捕蟬) 뜻과 유래 '당랑포선'이란? 뜻: 사마귀가 매미를 잡는다. 풀이: 눈 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하다. ※비슷한말 · 당랑규선(螳螂窺蟬): 사마귀가 매미를 엿보다. · 당랑박선(螳螂搏蟬): 사마귀가 매미를 잡다. · 당랑재후(螳螂在後): 사마귀가 뒤에 있다. 당랑포선 유래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왕은 형나라를 공격하기로 마음 먹고, 전쟁을 반대하는 자는 누구든지 사형에 처할 거라고 엄포했다. 대부분의 신하들은 오나라가 전쟁을 벌이면 그 틈을 타서 다른 나라가 공격해 올 수도 있다고 생각했으나 죽음이 두려워 함부로 왕의 계획에 반대하지 못했다. 그때 왕의 어린 시종 하나가 한 가지 꾀를 냈다. 그 시종은 매일 아침마다 궁궐의 후원에서 이슬에 옷을 적셔 가면서 새총을 .. 2021. 5. 7.
석고대죄(席藁待罪) 뜻과 유래 석고대죄(席藁待罪) 뜻과 유래 '석고대죄'란? 뜻: 거적을 깔고 엎드려 처벌을 기다리다. 풀이: 판결이나 처분이 내려지기 전에 스스로 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윗사람의 처벌을 기다리다. 석고대죄 유래 중국 전국시대, 진나라의 승상 《범수》는 예전에 자신이 위기에 처했을 때 도움을 주었던 《정안평》을 추천하여 조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그러나 정안평은 조나라에게 포위당해 상황이 위급해지자 병사 2만 명과 함께 조나라에 항복해버렸다. 그러자 범수는 『거적을 깔고 엎드려 처벌을 기다렸다. → 석고대죄(席藁待罪)』 당시, 진나라 법에 따르면 추천한 사람이 죄를 지으면 그를 추천한 사람도 동일한 벌을 받게 되어 있었다. 평소에 범수를 아끼던 진나라 《소양왕》은 오히려 범수의 마음이 다칠 것을 염려하며 정안평의 일을 .. 2021. 4. 30.
[어머니(母) 사자성어] 어머니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53가지 [어머니(母) 사자성어] 어머니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53가지 어머니 사자성어 01. 막등고수부모우지(莫登高樹父母憂之) 한자: 莫(없을 막), 登(오를 등), 高(높을 고), 樹(나무 수), 父(아버지 부), 母(어머니 모), 憂(근심 우), 之(갈 지) 뜻: 높은 나무에 올라가지 않는다, 부모님이 걱정하신다 02. 맹모단기(孟母斷機) 한자: 孟(맏 맹), 母(어머니 모), 斷(끊을 단), 機(틀 기) 뜻: 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의 실을 끊다 ▶ 학문을 도중에 그만두면 아무 쓸모가 없다 = 맹모단기지교(孟母斷機之敎), 단기지교(斷機之敎), 단기지계(斷機之戒) → 맹자가 공부를 하다가 집으로 돌아오자 맹자의 어머니가 물었다. "공부를 얼마나 했느냐?" 맹자가 말했다. "아직 마치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맹자의.. 2021.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