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3

[증삼살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증삼살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증삼살인(曾參殺人)이란? 뜻: 증삼이 사람을 죽이다 → 사실이 아닌 말도 여러 사람이 왜곡해서 전달하면 사실처럼 받아들여진다 증삼살인 유래 《증삼》이 비라는 곳에 살고 있을 때, 그와 이름이 같은 사람이 살인을 했다. 이 소식을 들은 이웃사람이 달려와 증삼의 어머니에게 말했다. "증삼이 사람을 죽였대요!" ※증삼(曾參): 공자의 제자 증자(曾子)의 이름 그러나 증삼의 어머니는 태연하게 베를 짜며 말했다. "우리 아들은 사람을 죽이지 않소." 얼마 후, 또 한 사람이 뛰어와서 말했다. "증삼이 사람을 죽였대요!" 그러나 증삼의 어머니는 태연하게 계속 베를 짰다. 또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어떤 사람이 와서 말했다. "증삼이 사람을 죽였대요!" 그러자 증삼의.. 2021. 3. 18.
[토끼(兔) 한자성어] 토끼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6가지 [토끼(兔) 한자성어] 토끼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6가지 토끼에 관한 사자성어 1. 견분장방획토(見奔獐放獲兔) 한자: 見(볼 견), 奔(달릴 분), 獐(노루 장), 放(놓을 방), 獲(얻을 획), 兔(토끼 토) 뜻: 달아나는 노루를 보다가 잡은 토끼를 놓치다 ▶ 큰 것에 욕심을 내다가 오히려 가진 것까지 잃는다 2. 견토방구(見兔放狗) 뜻: 見(볼 견), 兔(토끼 토), 放(놓을 방), 狗(개 구) 한자: 토끼를 보고 개를 풀어놓다 ▶ 일이 일어난 후에 응해도 늦지 않다 3. 견토지쟁(犬兔之爭) 한자: 犬(개 견), 兔(토끼 토), 之(갈 지), 爭(다툴 쟁) 뜻: 개와 토끼의 다툼 ▶ 두 사람이 싸우다가 다른 제삼자가 이득을 보다 유래 한자로라는 빠른 개가 동곽준이라는 빠른 토끼를 뒤쫓았다. 그렇게 .. 2021. 3. 17.
[계명구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이야기 [계명구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이야기 계명구도란? 뜻: 닭 울음소리를 내고 개처럼 도둑질하다. 풀이: ①천한 재주로 남을 속이다. ②보잘 것 없는 재주도 필요할 때가 있다. = 계명구도지도(鷄鳴狗盜之徒) = 계명지객(鷄鳴之客) = 함곡계명(函谷鷄鳴) 계명구도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맹상군》은 진나라 《소양왕》의 초청으로 진나라에 왔다가 감금되어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맹상군이 왕의 애첩에게 도움을 요청하니, 그 애첩은 살려주는 대가로 맹상군이 소왕에게 선물로 바친 '호백구'라는 가죽옷을 요구했다. 그 때, 맹상군의 식객 중에 『개 흉내를 잘내서 도둑질을 잘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개 흉내를 내면서 진나라 궁궐 창고에 잠입하여 호백구를 훔쳐서 애첩에게 건네주었고, 애첩은 약속대로 소왕에게.. 2021. 3. 12.
표사유피(호사유피) 인사유명 뜻과 유래 표사유피인사유명(호사유피인사유명) 뜻과 유래 표사유피인사유명이란? 뜻: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풀이: 사람은 죽어서 명예(이름)를 남겨야 한다 → 흔히 '호사유피인사유명'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표범(豹)과 호랑이(虎)라는 차이점만 있을 뿐 의미는 동일하다. = 호사유피인사유명(虎死留皮人死留名) = 인재명호재피(人在名虎在皮) 표사유피인사유명 유래 중국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왕언장》은 백근이 넘는 쇠창을 들고 적장을 누벼 '왕철창'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천하에 명성을 날리던 용장이었다. 그러나 이존욱(장종)이 후당을 세우고 황제가 되어 후량에 쳐들어오자, 군사를 이끌고 맞서다가 결국 부상을 입고 사로잡히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후당의 황제는 왕언장의 무용을 아끼며 자신.. 2021. 3. 5.
[달(月) 한자성어] 달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4가지 [달(月) 한자성어] 달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4가지 달(月)에 관한 사자성어 01. 간운보월(看雲步月) 한자: 看(볼 간), 雲(구름 운), 步(걸음 보), 月(달 월) 뜻: 구름을 바라보고 달빛 아래를 거닐다 ▶ 객지에서 고향을 생각하다 02. 강구연월(康衢煙月) 한자: 康(편안 강), 衢(네거리 구), 煙(연기 연), 月(달 월) 뜻: 번화한 거리에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다 ▶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03. 강산풍월(江山風月) 한자: 江(강 강), 山(뫼 산), 風(바람 풍), 月(달 월) 뜻: 강과 산과 바람과 달 ▶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04. 경화수월(鏡花水月) 한자: 鏡(겨울 경), 花(꽃 화), 水(물 수), 月(달 월) 뜻: 거울에 비친 꽃과 물에 비친 달 ▶ 눈.. 2021. 3. 4.
[수적천석]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이야기 [수적천석]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이야기 수적천석이란? 뜻: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 풀이: 아무리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계속하면 큰일을 이룰 수 있다. = 수적석천(水滴石穿) 수적천석 유래 중국 북송시대, 《장괴애》가 숭양현의 현령으로 재직할 때의 일이다. 하루는 창고에서 황급히 뛰쳐 나오는 관리 하나와 마주쳐서 그를 조사해 보니 창고에서 동전 한 닢을 훔친 것이 드러났다. 장괴애가 그를 곤장으로 다스리려고 하니 그 관리가 발끈하며 말했다. - 어찌하여 겨우 동전 한 닢으로 저를 벌하시는 것입니까? 허나 저를 때릴 수는 있어도 저를 죽이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러자 장괴애가 붓을 들어 판결문을 썼다. - 하루에 한 닢이면 천일이면 천 닢이다. 먹줄에 쓸려 나무가 베이고 물방울이 돌을 뚫는다. 그리고는 .. 2021. 2. 26.
[벌레(蟲) 사자성어] 곤충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벌레(蟲) 사자성어] 곤충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벌레에 관한 한자성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개미(蟻), 나방(蛾), 나비(蝶), 달팽이(蝸), 모기(蚊), 반딧불이(螢), 벌(蜂), 사마귀(螳, 螂), 이(虱), 지렁이(蚓), 파리(蠅) 등의 벌레나 곤충이 들어가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벌레 ▶ 충(蟲) 》 동충하초(冬蟲夏草) 한자: 冬(겨울 동), 蟲(벌레 충), 夏(여름 하), 草(풀 초) 뜻: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 ▶ 동충하초과에 속한 버섯을 통칭하는 말 물부충생(物腐蟲生) 한자: 物(물건 물), 腐(썩을 부), 蟲(벌레 충), 生(날 생) 뜻: 생물이 썩은 다음에 벌레가 생긴다 ▶ 남을 먼저 의심하고 난 뒤에 그에 대한 비방을 듣는 것 백족지충(百足之蟲) .. 2021. 2. 24.
가족의 죽음에 대한 슬픔과 고통을 표현하는 한자성어 가족 죽음에 대한 슬픔과 고통을 표현하는 한자성어 가족의 죽음은 매우 큰 슬픔을 동반하며 그 마음을 한 단어로 표현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이러한 극한의 슬픔과 고통을 뜻하는 한자성어 단어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분지통(鼓盆之痛) 한자: 鼓(북 고), 盆(동이 분), 之(갈 지), 痛(아플 통) 뜻: 물동이를 두드리는 아픔 풀이: 아내가 죽은 슬픔 유래 《장자》의 아내가 죽어서 친구인 《혜자》가 조문을 가니 장자가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혜자가 장자의 행동이 지나치다며 다그치자 장자가 말했다. "아내가 죽었는데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허나 태어나기 전에는 생명도 없었고 형태도 없었고, 기(氣)도 없었다네. 그러다가 그것이 생명을 갖추었다가 죽음으로 바뀐 것이니, 마치 봄 여름 가을 겨울이.. 2021. 2. 20.
[단장(斷腸) 뜻과 유래] 단장의 미아리 고개 [단장(斷腸) 뜻과 유래] 단장의 미아리고개 '단장'이란? 뜻: 창자가 끊어지다 풀이: 매우 깊은 슬픔을 이르는 말 = 단장지애(斷腸之哀) 단장 유래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진나라 《환온》이 촉땅을 정벌하기 위해 삼협이라는 협곡을 지나고 있을 때의 일이다. 환온의 병사 하나가 새끼 원숭이 한 마리를 잡아서 자신의 배에 태웠다. 그러자 그 원숭이의 어미가 슬피 울면서 그 배를 따라왔다. 어미는 백여 리를 따라오다가 결국 배에 올라탔으나 힘을 다하여 죽고 말았다.병사들이 어미 원숭이의 배를 갈라 보니, 『창자가 토막토막 끊어져 있었다. ▶ 《단장(斷腸)》』 어미 원숭이는 자식을 잃은 슬픔이 너무 커서 창자가 끊어진 것이다. 나중에 이 일을 알게 된 환온은 크게 노하여 그 병사를 내쫓아 버렸다. 참고로, 유명한.. 2021. 2. 18.
[부부(夫婦) 사자성어] 남편/아내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73가지 [부부(夫婦) 사자성어] 남편/아내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73가지 부부(남편, 아내)에 관한 사자성어 01. 가빈즉사양처(家貧則思良妻) 한자: 家(집 가), 貧(가난할 빈), 則(곧 즉), 思(생각할 사), 良(어질 양), 妻(아내 처) 뜻: 집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 02. 거안제미(擧案齊眉) 한자: 擧(들 거), 案(책상 안), 齊(가지런할 제), 眉(눈썹 미) 뜻: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들어 남편에게 가져가다 ▶ 남편을 공경하다 03. 결발부부(結髮夫婦) 한자: 結(맺을 결), 髮(터럭 발), 夫(남편 부), 婦(아내 부) 뜻: 머리털을 묶은 남편과 아내 ▶ 총각과 처녀가 혼인한 부부 = 결발부처(結髮夫妻) 04. 경전서후(耕前鋤後) 한자: 耕(밭갈 경), 前(앞 전), 鋤(.. 2021.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