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과 속이 다르다] 이중성에 관한 한자 사자성어 40가지
[겉과 속이 다르다] 이중성에 관한 한자 사자성어 40가지 '겉 다르고 속 다르다'는 말이 있다. 사람의 이중성에 대한 한자단어,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01. 경원시(敬遠視) 한자: 敬(공경할 경), 遠(멀 원), 視(볼 시) 뜻: 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멀리하다 02. 경이원지(敬而遠之) 한자: 敬(공경할 경), 而(말이을 이), 遠(멀 원), 之(갈 지) 뜻: 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멀리하다 03. 구밀복검(口蜜腹劍) 한자: 口(입 구), 蜜(꿀 밀), 腹(배 복), 劍(칼 검) 뜻: 입에는 꿀이 있고 뱃속에는 칼이 있다 ▶ 말로는 친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다 04. 구유밀복유검(口有蜜腹有劒) 한자: 口(입 구), 有(있을 유), 蜜(꿀 밀), 腹(배 복)..
2021. 10. 23.
[밤(夜)/낮(晝) 한자성어] 밤과 낮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4가지
[밤(夜)/낮(晝) 한자성어] 밤과 낮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4가지 01. 금의야행(錦衣夜行) 한자: 錦(비단 금), 衣(옷 의), 夜(밤 야), 行(다닐 행) 뜻: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다 ▶ 아무 보람이 없다 02. 망야도주(罔夜逃走) 한자: 罔(그물 망),夜(밤 야), 逃(도망할 도), 走(달릴 주) 뜻: 밤을 새워 달아나다 03. 모야무지(暮夜無知) 한자: 暮(저물 모), 夜(밤 야), 無(없을 무), 知(알 지) 뜻: 어두운 밤이라서 알지 못한다 ▶ 몰래 뇌물을 주다 04. 무명장야(無明長夜) 한자: 無(없을 무), 明(밝을 명), 長(길 장), 夜(밤 야) 뜻: 어두운 긴 밤 ▶ 번뇌에 싸여서 진리를 깨닫지 못하다 05. 백귀야행(百鬼夜行) 한자: 百(일백 백), 鬼(귀신 귀), 夜(밤 야..
2021. 10. 21.
[원수 사자성어] 원한과 복수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38가지
[원수 사자성어] 원한과 복수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38가지 원수/앙숙에 관한 사자성어 01. 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한자: 家(집 가), 狗(개 구), 向(향할 향), 裏(속 리), 吠(짖을 폐) 뜻: 짚에서 기르는 개가 집안을 향해 짖다 ▶ 은혜를 원수로 갚다 02. 각골통한(刻骨痛恨)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痛(아플 통), 恨(한 한) 뜻: 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하고 한스럽다 = 각골지통(刻骨之痛): 뼈를 깎는 고통 = 각골분한(刻骨憤恨): 뼈에 사무칠 만큼 분하고 한스럽다 03. 견묘지간(犬猫之間) 한자: 犬(개 견), 猫(고양이 묘), 之(갈 지), 間(사이 간) 뜻:개와 고양이의 사이 ▶ 서로 좋지 않은 관계 04. 견원지간(犬猿之間) 한자: 犬(개 견), 猿(원숭이 원), 之(..
2021. 9. 28.
[고양이(猫) 사자성어] 고양이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25가지
[고양이(猫) 사자성어] 고양이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25가지 고양이에 관한 사자성어 01. 가유휵모서불자행(家有畜猫鼠不恣行) 한자: 家(집 가), 有(있을 유), 畜(기를 휵), 猫(고양이 묘), 鼠(쥐 서), 不(아니 불), 恣(마음대로 자), 行(다닐 행) 뜻: 집에 고양이를 기르면 쥐가 마음대로 다니지 못한다 ▶ 무서운 사람 앞에서 설설 기는 모양(→ 고양이 앞에 쥐걸음) 02. 견묘득활(見猫得活) 한자: 見(볼 견), 猫(고양이 묘), 得(얻을 득), 活(살 활) 뜻: 고양이를 보고 목숨을 보전하다 ▶ 운 좋게 죽을 위기를 넘기다(→ 조선시대 연산군이 장순손을 귀양 보낸 후에 금부도사에게 그를 죽이라는 명을 내렸다. 한편 장순손은 귀양가던 길에 만난 고양이를 뒤따라가다가 금부도사와 길이 어긋나게..
2021. 9. 21.
[독서 사자성어] 책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53가지
[독서 사자성어] 책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53가지 독서와 책에 대한 사자성어 01. 개권유익(開卷有益) 한자: 開(열 개), 卷(책 권), 有(있을 유), 益(더할 익) 뜻: 책을 펼쳐 놓기만해도 이익이 있다 ▶ 독서를 권장하는 말 02. 경사백자(經史百子) 한자: 經(경서 경), 史(역사 사), 百(일백 백), 子(아들 자) 뜻: 경서와 사서와 제자백가의 서 ▶ 많은 책 03. 고궁독서(固窮讀書) 한자: 固(굳을 고), 窮(다할 궁), 讀(읽을 독), 書(글 서) 뜻: 어려움 속에서도 글을 읽다 04. 과목성송(過目成誦) 한자: 過(지날 과), 目(눈 목), 成(이룰 성), 誦(외울 송) 뜻: 어떤 책이든 한 번 보면 다 외운다 ▶ 기억력이 매우 좋다 05. 권독종일(券讀終日) 한자: 券(책 권), ..
2021.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