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6

[겉과 속이 다르다] 이중성에 관한 한자 사자성어 40가지 [겉과 속이 다르다] 이중성에 관한 한자 사자성어 40가지 '겉 다르고 속 다르다'는 말이 있다. 사람의 이중성에 대한 한자단어,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01. 경원시(敬遠視) 한자: 敬(공경할 경), 遠(멀 원), 視(볼 시) 뜻: 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멀리하다 02. 경이원지(敬而遠之) 한자: 敬(공경할 경), 而(말이을 이), 遠(멀 원), 之(갈 지) 뜻: 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멀리하다 03. 구밀복검(口蜜腹劍) 한자: 口(입 구), 蜜(꿀 밀), 腹(배 복), 劍(칼 검) 뜻: 입에는 꿀이 있고 뱃속에는 칼이 있다 ▶ 말로는 친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다 04. 구유밀복유검(口有蜜腹有劒) 한자: 口(입 구), 有(있을 유), 蜜(꿀 밀), 腹(배 복).. 2021. 10. 23.
[밤(夜)/낮(晝) 한자성어] 밤과 낮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4가지 [밤(夜)/낮(晝) 한자성어] 밤과 낮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4가지 01. 금의야행(錦衣夜行) 한자: 錦(비단 금), 衣(옷 의), 夜(밤 야), 行(다닐 행) 뜻: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다 ▶ 아무 보람이 없다 02. 망야도주(罔夜逃走) 한자: 罔(그물 망),夜(밤 야), 逃(도망할 도), 走(달릴 주) 뜻: 밤을 새워 달아나다 03. 모야무지(暮夜無知) 한자: 暮(저물 모), 夜(밤 야), 無(없을 무), 知(알 지) 뜻: 어두운 밤이라서 알지 못한다 ▶ 몰래 뇌물을 주다 04. 무명장야(無明長夜) 한자: 無(없을 무), 明(밝을 명), 長(길 장), 夜(밤 야) 뜻: 어두운 긴 밤 ▶ 번뇌에 싸여서 진리를 깨닫지 못하다 05. 백귀야행(百鬼夜行) 한자: 百(일백 백), 鬼(귀신 귀), 夜(밤 야.. 2021. 10. 21.
['선견지명'이란?] 선견지명(先見之明) 뜻과 유래 ['선견지명'이란?] 선견지명(先見之明) 뜻과 유래 선견지명이란? 뜻: 미리 내다보는 밝은 지혜 → 현재 상황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여 대처하는 지혜 선견지명 유래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양수》는 재주가 뛰어났으나 《조조》의 심기를 거슬러 죽임을 당하고 말았다했다. 나중에 조조가 양수의 부친인 《양표》를 만나서 눈에 띄게 수척해진 모습에 놀라며 그 이유를 물었다. - 【조조】 ▶ 공께서는 어찌 그토록 야윈 것이오? - 【양표】 ▶ 저는 한무제의 충신인 《김일제》와 같은 『앞을 미리 내다보는 현명함 → 선견지명(先見之明)』이 없고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는 것과 같은 사랑하는 마음만 있을 뿐입니다. 그러자 이 말을 들은 조조의 안색이 바뀌었다. ※김일제(金日磾) 그는 흉노족의 태자로, 한나라와 끝까지 싸우.. 2021. 10. 14.
[물(水) 한자성어] 물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102가지 [물(水) 한자성어] 물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102가지 01. 간목수생(乾木水生) 뜻: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 ▶ 아무 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하다 = 강목수생(剛木水生), 건목생수(乾木生水), 건목수생(乾木水生) 02. 갈불음도천수(渴不飮盜泉水) 뜻: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 않는다 ▶ 아무리 상황이 어려워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 03. 거수마룡(車水馬龍) 뜻: 수레는 흐르는 물과 같고 말은 승천하는 용과 같다 ▶ 많은 수레와 말들이 왕래하며 매우 떠들썩하다 04. 경산조수(耕山釣水) 뜻: 산에서는 밭을 갈고 물에서는 물고기를 잡는다 ▶ 자연을 벗 삼아서 사는 소박한 생활 05. 경화수월(鏡花水月) 뜻: 거울 속의 꽃과 물에 비친 달 ▶ ①눈으로 볼 수는 있으나 .. 2021. 10. 10.
['상사병'이란?] '상사병(相思病)' 뜻과 유래 ['상사병'이란?] '상사병(相思病)' 뜻과 유래 상사병이란? 뜻: 서로 그리워하다가 생기는 병 → 남자나 여자가 마음에 둔 사람을 몹시 그리워해서 생기는 병 상사병 유래 중국 전국시대, 송나라 《강왕》은 술과 여자를 좋아했던 폭군이었다. 강왕의 신하 중에 《한빙》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아내인 《하씨》는 절세미인으로 유명했다. 우연한 기회에 하씨를 보게 된 강왕은 그녀를 빼앗아 후궁으로 삼고 한빙을 변방으로 멀리 귀양보냈다. 얼마 후, 한빙이 스스로 목숨을 끊자 그의 아내도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남편과 함께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강왕은 크게 노하여 그 유언을 들어주지 않았고 오히려 둘의 무덤을 서로 떨어뜨려 놓은 후 두 무덤이 서로 마주보게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 너희들이 서로 사.. 2021. 10. 5.
['독서백편의자현'이란?] 독서백편의자현 뜻과 유래 ['독서백편의자현'이란?] 독서백편의자현 뜻과 유래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뜻: 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 → 학문을 열심히 탐구하면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다 독서백편의자현 유래 중국 후한 말기, 《동우》라는 학문이 뛰어난 학자가 있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제자가 되려고 그를 찾아왔으나 그 때마다 그는 이렇게 말하곤 했다. - 『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 ▶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 먹고 살기 힘들어서 책 읽을 겨를이 없습니다. - '세 가지 여가'만 있으면 충분하다. '겨울'은 한 해의 여가 이고, '밤'은 하루의 여가이고 '비 오는 시간'은 한 때의 여가이다. 이 세 가지를 적절하게 이용한다면 누구나 책을 읽을 수 있다. ※참고. 독서삼여(.. 2021. 9. 30.
[원수 사자성어] 원한과 복수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38가지 [원수 사자성어] 원한과 복수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38가지 원수/앙숙에 관한 사자성어 01. 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한자: 家(집 가), 狗(개 구), 向(향할 향), 裏(속 리), 吠(짖을 폐) 뜻: 짚에서 기르는 개가 집안을 향해 짖다 ▶ 은혜를 원수로 갚다 02. 각골통한(刻骨痛恨)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痛(아플 통), 恨(한 한) 뜻: 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하고 한스럽다 = 각골지통(刻骨之痛): 뼈를 깎는 고통 = 각골분한(刻骨憤恨): 뼈에 사무칠 만큼 분하고 한스럽다 03. 견묘지간(犬猫之間) 한자: 犬(개 견), 猫(고양이 묘), 之(갈 지), 間(사이 간) 뜻:개와 고양이의 사이 ▶ 서로 좋지 않은 관계 04. 견원지간(犬猿之間) 한자: 犬(개 견), 猿(원숭이 원), 之(.. 2021. 9. 28.
['과전이하(瓜田李下)'란?]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뜻과 유래 ['과전이하(瓜田李下)'란?]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뜻과 유래 과전이하란? 뜻: 외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밑에서는 갓을 고쳐 쓰지 말라. · 과전(瓜田): 외밭(→ 오이나 참외를 심는 밭) · 이하(李下): 오얏나무(→ 자두나무) 밑 속뜻: 남에게 의심받을 만한 행동은 피해야 한다. → 과전이하(瓜田李下)는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와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가 합쳐진 말이다.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유래 악부시집 중에서 군자는 미연에 방지하여 혐의받을만한 곳에 있지 않아야 한다. 외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않고 자두나무 아래에선 갓을 고쳐 쓰지 않아야 한다. 열녀전 중에서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위왕 때 주파호라는 간신이 권력을 마구 휘두르면서 나라가 혼란에 빠졌다. 그러자 후궁 우희가 위왕.. 2021. 9. 23.
[고양이(猫) 사자성어] 고양이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25가지 [고양이(猫) 사자성어] 고양이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25가지 고양이에 관한 사자성어 01. 가유휵모서불자행(家有畜猫鼠不恣行) 한자: 家(집 가), 有(있을 유), 畜(기를 휵), 猫(고양이 묘), 鼠(쥐 서), 不(아니 불), 恣(마음대로 자), 行(다닐 행) 뜻: 집에 고양이를 기르면 쥐가 마음대로 다니지 못한다 ▶ 무서운 사람 앞에서 설설 기는 모양(→ 고양이 앞에 쥐걸음) 02. 견묘득활(見猫得活) 한자: 見(볼 견), 猫(고양이 묘), 得(얻을 득), 活(살 활) 뜻: 고양이를 보고 목숨을 보전하다 ▶ 운 좋게 죽을 위기를 넘기다(→ 조선시대 연산군이 장순손을 귀양 보낸 후에 금부도사에게 그를 죽이라는 명을 내렸다. 한편 장순손은 귀양가던 길에 만난 고양이를 뒤따라가다가 금부도사와 길이 어긋나게.. 2021. 9. 21.
[독서 사자성어] 책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53가지 [독서 사자성어] 책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53가지 독서와 책에 대한 사자성어 01. 개권유익(開卷有益) 한자: 開(열 개), 卷(책 권), 有(있을 유), 益(더할 익) 뜻: 책을 펼쳐 놓기만해도 이익이 있다 ▶ 독서를 권장하는 말 02. 경사백자(經史百子) 한자: 經(경서 경), 史(역사 사), 百(일백 백), 子(아들 자) 뜻: 경서와 사서와 제자백가의 서 ▶ 많은 책 03. 고궁독서(固窮讀書) 한자: 固(굳을 고), 窮(다할 궁), 讀(읽을 독), 書(글 서) 뜻: 어려움 속에서도 글을 읽다 04. 과목성송(過目成誦) 한자: 過(지날 과), 目(눈 목), 成(이룰 성), 誦(외울 송) 뜻: 어떤 책이든 한 번 보면 다 외운다 ▶ 기억력이 매우 좋다 05. 권독종일(券讀終日) 한자: 券(책 권), .. 2021.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