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흥미로운 지식411

삼국지 인물 속담(여포, 유비, 장비, 제갈량, 조운, 조조) 삼국지 인물 속담(여포, 유비, 장비, 제갈량, 조운, 조조) 삼국지가 중국의 역사 또는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 속담에 삼국지의 인물들이 들어가는 것들이 있다. 그만큼 삼국지(또는 삼국지연의)의 영향이 지대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삼국지 인물이 포함된 삼국지 속담에 대해 알아보았다. 삼국지(三國志) 속담 여포(呂布) · 여포 창날 같다 ▶ 매우 날카롭다 유비(劉備) · 유비냐 울기도 잘한다 ▶ 잘 우는 사람을 이르는 말 · 유비가 한중(漢中) 믿듯 ▶ 모든 일을 굳게 믿으며 의심하지 않는다 장비(張飛) · 장비가 싸움을 마대 ▶ 자기가 즐기는 것을 남이 권했을 때 사양하지 않고 흔쾌히 응하다 (→ 호전적인 장비가 싸움을 마다할 리 없다) · 장비 군령이라 ▶ ①갑자기 일을 당하다 ②몹시 급하게 서두.. 2021. 2. 9.
역대 탄핵소추안이 발의된 인물과 탄핵사유 역대 탄핵소추안이 발의된 역대 인물과 탄핵사유 유태흥 직책: 대법원장 사유: 불공정한 인사조치 발의: 신한민주당 날짜: 1985년 10월 18일 결과: 부결 (재적:275, 재석:247, 찬성:247, 반대:146, 기권:5, 무효:1) 김도언 직책: 검찰총장 사유: 12·12쿠데타 관련자들에 대한 기소유예 처분 발의: 민주당 날짜: 1994년 12월 16일 결과: 부결 (재적:299, 재석:249, 찬성:88, 반대:158, 기권:1, 무효:2) 김태정 직책: 검찰총장 사유: 불공정한 선거수사, 이신행의원 피의사실 공표 발의: 한나라당 날짜: 1998년 05월 26일 결과: 폐기 김태정 직책: 검찰총장 사유: 검찰의 중립성 훼손 발의: 한나라당 날짜: 1999년 2월 4일 결과: 부결 (재적:297, .. 2021. 2. 7.
[골뱅이표 기호 이름] @(앳) - 뜻과 유래, 나라별 호칭 [골뱅이표 기호 이름] @(앳) - 뜻과 유래, 나라별 호칭 골뱅이【@】 뜻 '@',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골뱅이'라고 부르고 있는 이 기호는, 영어로는 'at sign'【앳 사인】이라고 하며 'at'【앳】이라고 발음한다. 컴퓨터키보드에서 'Shift' + '2'를 누르면 '@'가 입력된다. 골뱅이【@】 유래 '@'는 라틴어 전치사 'ad'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은 지금의 'at'에 해당하는 단어로, '@'는 'a'를 쓰고, d를 그 위에 겹쳐서 쓴 것이라고 한다. 오래 전, 양피지가 귀하던 시절에 아껴 쓰려고 줄여서 쓴 것이 지금의 모양이 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지금은 전자우편(이메일)에서 쓰이는 기호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메일로 쓰이기 전에는 어떤 물건의 가격을 표시하는 기호로 쓰.. 2021. 2. 6.
[비(雨) 속담]비에 관한 속담모음과 뜻 74가지 -- [비(雨) 속담]비에 관한 속담모음과 뜻 74가지 비는 날씨를 좌우하므로 농경사회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비는 인간의 삶에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비와 관련한 많은 속담들이 많다. '비(雨)'가 들어가는 속담에 대해 알아보았다. 비에 관한 속담 《ㄱ》 01.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 아무리 사소한 것도 거듭되면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커진다 02. 가루 팔러 가니 바람이 불고 소금 팔러 가니 이슬비 온다 ▶ 무엇을 하려고 할 때마다 장애가 생겨서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다 03. 가물 그루터기는 있어도 장마 그루터기는 없다 ▶ 장마 피해가 가뭄 피해보다 더 크고 무섭다 04. 가물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 장마 피해가 가뭄 피해보다 더 크고 무섭다 05. 가을비는 장인[시아버지.. 2021. 2. 3.
[마타도어란] '마타도어' 뜻은? [마타도어란] '마타도어' 뜻은? 마타도어란? 뉴스에서 종종 ‘마타도어’가 포함된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다. 예. 근거없는 마타도어에 결코 굴하지 않겠다. 예. 후보들 간에 마타도어가 난무하고 있다. 예. 여당/야당은 도를 넘은 마타도어를 중단하라. 여기서 마타도어는 순우리말도 아니고 사자성어도 아니다. 그렇다면 '마타도어는 무슨 뜻일까? 마타도어 뜻 마타도어란, 상대방을 중상모략하거나 내부를 교란하기 위한 정치가들의 흑색선전을 뜻한다. 주로 정치권에서 쓰이는 용어로 상대 세력을 모함하고 음해하여 타격을 입히는 것이다. 선거철이나 인사철이 가까워지면 마타도어가 기승을 부리곤 하는데, 특히, 선거 막판에 터지면 여기에 대처할 틈도 없이 당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마타도어는 흑색선전, 모략선전이라고도 한다... 2021. 2. 2.
[옛날 시간 단위 단어] 한식경, 시진, 일다경, 동물시간 [옛날 시간 단위 단어] 한식경, 시진, 일다경, 동물시간 십이시(十二時) 한자: 十(열 십), 二(두 이), 時(때 시) 뜻: 하루를 12등분해서 각각 십이지(동물)의 이름을 붙인 시간. 십이시는 첫째 시부터 열두째 시까지 있다. - 십이시를 기준으로 한 시각 · 자시(子時): 오후11시-오전01시 (첫째 시) · 축시(丑時): 오전01시-오전03시 (둘째 시) · 인시(寅時): 오전03시-오전05시 (셋째 시) · 묘시(卯時): 오전05시-오전07시 (넷째 시) · 진시(辰時): 오전07시-오전09시 (다섯째 시) · 사시(巳時): 오전09시-오전11시 (여섯째 시) · 오시(午時): 오전11시-오후01시 (일곱째 시) · 미시(未時): 오후01시-오후03시 (여덟째 시) · 신시(申時): 오후03시.. 2021. 1. 27.
[경제지표] 미국 원유재고 발표와 국제유가 [경제지표] 미국 원유재고 발표와 국제유가 원유 재고량 원유의 가격, 즉 유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유가의 단기적 변동 요인 중의 하나가 원유의 재고량이다. 기본적으로 국제유가는 수요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유가가 오르고, 수요가 공급보다 적으면 유가가 내리는 것이다. 유가의 상승과 하락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재고량이 줄어들고 수요가 공급보다 적으면 재고량이 늘어난다. 이 말은 원유재고량이 유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는 뜻이다. 특히, 석유는 산업시설 전반에 쓰이는 원료로서 수많은 곳에 쓰이는 중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국제유가를 움직이는 원유 재고량은 글로벌 경제를 판단하는 매우 중요한 경제 지표가 된다. 예컨대, 원유.. 2021. 1. 26.
[비(雨) 사자성어] 비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84가지 [비(雨) 사자성어] 비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84가지 비와 관련한 한자성어, 사자성어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비에 대한 단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1. 갈민대우(渴民待雨) 한자: 渴(목마를 갈), 民(백성 민), 待(기다릴 대), 雨(비 우) 뜻: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리다. ▶ 간절한 기다림 02. 교룡운우(蛟龍雲雨) 한자: 蛟(교룡 교), 龍(용 룡), 雲(구름 운), 雨(비 우) 뜻: 교룡이 구름과 비를 얻다. ▶ 영웅이 때를 만나 큰 뜻을 이루다.(=교룡득운우) 03. 구한감우(久旱甘雨) 한자: 久(오랠 구), 旱(가물 한), 甘(달 감), 雨(비 우) 뜻: 오랜 가뭄 끝에 단비를 만나다.(=구한봉감우) 04. 만성풍우(滿城風雨) 한자: 滿(찰 만), 城(성 성), 風(바람 풍).. 2021. 1. 24.
[말(馬) 속담] 말에 관한 속담과 뜻 모음 97가지 [말(馬) 속담] 말에 관한 속담과 뜻 모음 97가지 말은 오랫동안 인간의 이동수단이자 전쟁의 도구로 사용되었던 동물로, '십이지'에 포함될 만큼 우리에게 친숙한 동물이다. 그래서 말에 대한 속담이 적지 않다. 말(馬)이 들어가는 동물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ㄱ》 1. 가는 말에도 채찍을 치랬다 ▶ 일이나 형편이 잘 되고 있을 때에도 더욱 힘써야 한다. 2. 가는 말에 채찍질 ▶ ①열심히 하고 있는데 더 빨리하라고 독촉하다. ②일이나 형편이 잘 되고 있을 때에도 더욱 힘써서 하다. 3. 강한 말은 매 놓은 기둥에 상한다 ▶ 사람을 너무 구속하면 오히려 더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다. 4. 거둥에 망아지 새끼 따라다니듯 ▶ 쓸모없는 사람이 귀찮게 따라다니다. (→ 거둥: 임금의 나들이) 5. 거지.. 2021. 1. 19.
신라의 골품제도 신라의 골품제도 골품제도는 혈통에 따라 출세, 가옥의 규모, 혼인 상대, 옷의 색깔, 말의 장식 등 거의 사회 전반에 제약을 주는 엄격한 신분제도로, 인도의 카스트제도와 그 성격이 비슷하다고 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오늘은 신라시대의 근간이었던 골품제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골품제도의 구성 성골 성골은 가장 높은 신분으로, 왕위 계승권을 가지는 왕족이며, 진덕여왕까지 왕을 배출하였습니다. 성골은 폐쇠적이며 수도 적어 결국 진덕여왕 이후부터는 소멸하여 진골 출신의 무열왕이 처음으로 왕이 됩니다. 진골 진골은 신라 왕족을 포함하여 최고 등급의 귀족신분이었습니다. 대부분 경주 김씨와 박씨로 구성되었으며, 신라가 정복한 국가 중 규모가 큰 국가의 왕족도 진골이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진골은 모든 관직에 .. 2021.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