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티스토리 블로그 유튜브 45

[윈도우 특수문자표] 한글, 한자 단축키/모음 [윈도우 특수문자표] 한글, 한자 단축키/모음 특수문자 메모장이나 블로그 작성 등과 같이 윈도우에서 특수문자 삽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때, 각 특수문자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면 문서작성 속도가 좀 더 빨라질 것이다. 윈도우에서는 한글자음마다 사용할 수 있는 특수문자가 있다. 특수문자를 많이 사용하면 자연스레 외워지지만 처음에는 자신이 원하는 특수문자가 어디에 있는지 헷갈릴 수 있으니 처음에는 특수문자표를 출력해서 보면서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특수문자 삽입 방법 ① 한글 자음키 입력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 ② 키보드에 있는 한자키 누르기 ③ 원하는 특수문자 선택 특수문자 관련 이동키/선택키 Home: 맨 처음 특수문자로 이동 End: 맨 마지막.. 2019. 5. 1.
네이버 애드포스트(네이버 블로그로 수익내기) 네이버 애드포스트(네이버 블로그로 수익내기) 블로그 본문 영역 광고 게재 네이버 애드포스트를 통해 네이버 블로그 본문 영역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게 되었다. 작년 11월부터 블로그 광고 게재 절차가 간소화되어 애드포스트 가입 후 미디어 검수만 통과하면 바로 광고가 게재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네이버 블로그를 사용하는 블로거들의 광고 게재와 관련한 여러 가지 편의적인 부분이 도입되면서 사용 환경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제 네이버 애드포스트에도 관심을 가져보자. 네이버 애드포스트란 네이버 애드포스트(Naver Adpost)는 네이버 블로그 운영자가 자신의 블로그 내(미디어 내)에 광고를 노출하고 이를 통해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자신의 블로그에 노출된 광고를 사용자가 클릭한 경우, 해당.. 2019. 4. 15.
구글 애드센스 용어 정리 구글 애드센스 용어 정리 구글 애드센스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고, 구글 애드센스를 하는 사람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구글 애드센스를 하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도 여전히 구글 애드센스에 등장하는 용어에 대해 생소해하는 사람도 많고, 모르면서 하는 사람들도 많다. 다음은 구글 애드센스에 등장하는 여러가지 용어 뜻에 대해 간단한 설명이다. 애드센스 실적 페이지 용어 페이지뷰 페이지뷰는 구글 광고가 개재된 페이지를 조회할 때마다 집계된다.(※ 광고의 수에 상관없이 자신의 페이지가 노출될 때마다 1회 추가) ex. 광고가 5개가 있는 페이지를 3번 조회하면 → 페이지뷰 3회 페이지 RPM 페이지 RPM은 1,000회 노출 당 페이지 수익을 말하며, 여기서 RPM은 Revenue Per thousa.. 2019. 4. 10.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수익 지급기준액 100달러 돌파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수입 지급 기준액 100달러 돌파 구글 애드센스 지급 기준액 100달러2019년 3월 1일부로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 지급 기준액인 100달러를 돌파했다. 사실 2월 초에 이미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 이미 100달러를 돌파했지만 구글 애드센스의 지급 기준액인 100달러의 기준은 잔고(잔액)이다. 잔고는 매월 1일에 전월의 수입이 더해져서 적용된다. 지급 기준액이 100달러를 달성하거나 달성하지 못하거나 하는 것은 매월 초에 잔고에 더해질 때가 기준이 된다. 1달러가 모자라더라도 지급 기준액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 달을 기다려야 한다. 티스토리 애드센스 수익 100불 과정2018년 3월 11일, 티스토리 시작→ 이때는 구글 애드센스를 할 생각이 없었다. 201.. 2019. 3. 26.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링크 관리 방법 팁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링크 관리 방법 팁 웹 표준을 준수하는 상위 1%사이트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네이버 웹마스터도구에서 자신의 블로그를 등록하고 사이트맵과 RSS를 제출했다면, 다들 원하는 것은 ‘웹 표준을 준수하는 상위 1% 사이트입니다.’ ‘훌륭합니다! 앞으로도 계속 웹 표준을 준수해 주세요.’라는 메시지일 것이다. 이것이 큰 의미는 없다고 해도 왠지 기분을 좋아지게 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원하는 대로 상위 1%의 사이트에 포함되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거슬리는 것이 하나 있을 것이다. 링크 관리 노란 느낌표 바로 ‘노란 느낌표’다. 자신의 사이트(티스토리 블로그 등)에서 문제점을 하나하나 발견해 가며 수정을 하며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최적화를 위해 열심히 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마지막까지 지우기 힘.. 2019. 2. 10.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웹마스터도구에 등록하기 2020년 4월 27일부터 티스토리 사이트맵 자동생성 서비스가 시작되었다.★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플러그인 티스토리 블로그는 다음 사이트에는 자동으로 검색 등록이 되지만 그 외의 검색사이트(구글, 네이버, 빙 등)에는 검색 등록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 구글 웹마스터도구(Google Search Console: 구글 서치 콘솔)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해야 한다. 특히, 구글 검색량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네이버의 경우, 대부분 웹사이트 영역에 티스토리를 노출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히 구글 검색 등록이 중요해지고 있다. 구글 웹마스터도구에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참고Google Search Console(구글.. 2019. 2. 8.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등록하기 (검색 잘되게 하는 법)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등록하기 (검색 잘되게 하는 법) 자신이 인터넷으로 뭔가를 시작했다면 역시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검색이 잘 되게 하는 것’일 것이다. 블로그를 하든지, 쇼핑몰을 운영하든지, 유튜브를 하든지 역시 최고의 관심사는 내가 만든 것이 검색이 잘 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웹상에는 정말 수많은 사이트(URL)들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 내가 작성하거나 만든 것을 노출시켜 클릭하게 하고 싶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장 필수적인 것이 각 검색사이트에 검색등록을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검색사이트라면 구글(Google), 네이버(Naver), 다음(Daum), 빙(Bing) 등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각 검색사이트에서는 검색 로봇이 웹상의 수많은 사이트들을 차례로 방문하여 방문한 .. 2019. 2. 5.
사이트맵 티스토리에 업로드하는 방법 티스토리 사이트맵 업로드하는 방법0. 사이트맵 만들기(선행과정)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네이버와 구글, 빙 검색엔진에 등록을 하고 검색이 잘 되게 하려면 각각 네이버웹마스터도구, 구글웹마스터도구, 빙웹마스터도구에 사이트맵을 제출해야 한다. 그리고 당연히 사이트맵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이트맵을 제작해야 한다. 아직 사이트맵을 아직 생성하지 않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먼저 사이트맵을 생성하도록 하자. 자신이 사이트맵이 없더라도 아래 링크를 보고 따라한다면 누구나 티스토리 사이트맵을 만들 수 있다. 무제한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티스토리 사이트맵 자동 생성 그리고 사이트맵 제작이 끝났다면 티스토리에 사이트맵을 업로드하는 과정이 남아있다. 1. 쓰기티스토리 자체적으로 사이트맵와 관련한 기능이 따로 존재하지.. 2019. 2. 2.
티스토리 사이트맵 만들기 - 무제한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 티스토리 사이트맵 만들기 - 무제한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사이트맵(sitemap)과 관련한 서비스는 티스토리에서 따로 제공하지 않는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구글 웹마스터 도구, 빙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맵을 제출하려면 사이트맵을 직접 만들어 써야 한다. 사이트맵 만드는 방법은 무료 사이트맵을 제공해주는 사이트를 이용해서 만드는 것이다. 무료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대표적인 무료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 몇 군데를 소개한다. 무료로 사이트맵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는 더 많이 있지만, 무료로 사이트맵을 생성해주는 경우 회원가입 같은 것을 하지 않고도 무료로 만들어 주지만 대부분 제한이 있다. 500페이지, 1000페이지, 4000페이지 등 이런 식으로 제한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신의 블로그에 글이 많이 .. 2019. 2. 1.
네이버 블로그 공감 버튼 설정하는 방법 네이버 블로그 공감버튼 설정 방법네이버나 티스토리, 유튜브, SNS 등을 운영하다 보면 은근히 신경 쓰이는 것이 ‘공감’ 또는 ‘좋아요’ 이다. 네이버 블로그의 공감(♥)도 마찬가지다. 네이버 파워블로그가 아니더라도, 블로그 이웃이 많지 않더라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정보나 주제를 참신하게 다루었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감 숫자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검색을 할 때에도 같은 소재를 다루고 있는 비슷한 수준의 글이 여러 개가 있다면 아무래도 공감이 많은 블로그 글이 신뢰가 가기 마련이다. 네이버 블로그의 공감버튼은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네이버 블로그를 막 시작한 사람은 물론, 네이버 블로그를 꽤 오랫동안 운영한 사람들도 의외로 공감버튼을 찾아 헤매는 경우가 많다. 개인적으로도 블로그라.. 2019.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