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

[연목구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by 아기뼝아리 2020. 5. 20.

[연목구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연목구어 한자

연(緣): 인연 연

목(木): 나무 목

구(求): 구할 구

어(魚): 물고기 어

 

연목구어 뜻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다.

→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고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연목구어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선왕은 천하의 패권을 잡기 위해서는 전쟁을 통한 부국강병이 필수적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자 그 당시 각 나라를 돌며 왕도정치를 주장하던 맹자는 선왕를 설득하기 위해 그를 만나서 이렇게 말했다.

 

- 전하께서는 전쟁을 일으켜서 백성들을 위태롭게 하고 다른 나라들과 원수가 되고 싶으십니까?

 

- 그렇지 않소. 내 어찌 그것이 유쾌할 리가 있겠소? 다만, 나의 큰 뜻을 이루고 싶을 뿐이오.

 

- 그러면 전하께서는 무엇을 위해 전쟁을 일으키시는 것입니까? 그 큰 뜻은 무엇입니까?

 

그러나 왕은 빙그레 웃으며 대답하지 않았다.

 

- 맛있는 음식이 부족해서입니까? 멋있는 옷이 부족해서입니까? 화려한 색깔이 부족해서 입니까? 아름다운 소리가 부족해서 입니까? 총애하는 신하가 부족해서 입니까? 이런 것들은 신하들이 전하께 충분하게 제공하고 있을 터이니 분명 이런 것들을 원하시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 물론이오. 나는 그런 것을 바라지는 않소.

 

- 그렇다면 전하께서 바라시는 것이 무엇인지 알 것 같습니다. 전하께서는 전쟁을 통해 제나라의 영토를 확장하고 진나라나 초나라 같은 대국을 굴복시키고, 주변 오랑캐까지 복종시켜서 천하를 지배하시려는 것입니다. 그러나 무력을 통해 큰 뜻을 구하시는 것은, 마치 『나무 위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잡으려는 것』과 같습니다.

 

- 이것이 그 정도로 심한 것이오?

 

- 제 생각으로는 더 심할 것입니다.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면, 비록 물고기를 얻지 못해도 재앙이 뒤따르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전하와 같이 무력을 동원해서 원하는 것을 추구한다면 그 뒤에는 반드시 재앙이 뒤따르는 법입니다.

 

- 그 이유를 알고 싶소.

 

 

제나라 선왕이 맹자의 말에 관심을 갖자, 그제서야 맹자는 무력에 기반한 패도정치보다는 통치자의 덕에 의한 왕도정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차근차근 설명했다.

 

연목구어
연목구어 뜻과 유래

연목구어 출전

맹자(孟子) 양혜왕장구상편(梁惠王章句上篇)

 

연목구어 원문

맹자 양혜왕장구상편 중에서

 

抑王興甲兵 危士臣

억왕흥갑병 위사신

왕께서는 군사를 일으켜 병사와 신하를 위태롭게 하고

※甲兵(갑병): 군대

 

構怨於諸侯 然後快於心與

구원어제후 연후쾌어심여

제후와 원한을 맺고 나서 야 마음이 통쾌하시겠습니까?

※然後(연후): 그리고 나서, 그런 후에

 

王曰 否 吾何快於是

왕왈 부 오하쾌어시

왕이 말했다. 아니오. 내 어찌 이런 것에 유쾌하겠소.

 

 

將以求吾所大欲也

장이구오소대욕야

장차 나의 큰 욕망을 추구하려는 것이오.

※大欲(대욕): 큰 욕심, 큰 포부

 

曰 王之所大欲 可得聞與

왈 왕지소대욕 가득문여

맹자가 말했다. 왕의 큰 포부를 들어볼 수 있겠습니까?

 

王笑而不言

왕소이불언

왕은 웃으며 말하지 않았다.

 

曰 為肥甘不足以口與

왈 위비감부족이구여

맹자가 말했다. 맛있는 음식이 입으로 먹기에 부족해서 입니까?

※肥甘(비감): 기름지고 맛있는 음식

 

輕煖不足於體與

경난부족어체여

가볍고 따뜻한 옷이 몸에 입기에 부족해서 입니까?

 

抑為采色不足視於目與

억위채색부족시어목여

아름다운 색이 눈으로 보기에 부족해서 입니까?

 

聲音不足聽於耳與

성음부족청어이여

혹은 목소리가 귀로 듣기에 부족해서 입니까?

 

便嬖不足使令於前與

편폐부족사령어전여

총애를 받는 사람이 앞에서 부리기에 부족해서 입니까?

※便嬖(편폐): 왕에게 총애받는 사람

 

王之諸臣 皆足以供之 而王豈為是哉

왕지제신 개족이공지 이왕기위시재

왕의 모든 신하들이 다 그것들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데, 왕이 어찌 이런 것 때문이겠습니까?

 

曰 否 吾不為是也

왈 부 오불위시야

왕이 말했다. 아니오. 나는 이런 일을 하려는 것이 아니오.

 

曰 然則王之所大欲 可知已

왈 연즉왕지소대욕 가지이

맹자가 말했다. 그러면 곧 왕의 큰 욕망을 벌써 가히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欲辟土地 朝秦楚 蒞中國 而撫四夷也

욕벽토지 조진초 이중국 이무사이야

영토를 넓혀 진나라 초나라에서 임금을 알현하게 하고, 나라의 중심에 군림하여 주변국가를 다스리려는 것입니다.

 

以若所為 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

이약소위 구약소욕 유연목구어

이와 같은 행동으로 이와 같은 소원을 구한다면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王曰 若是其甚與

왕왈 약시기심여

왕이 말했다. 그것이 그토록 심한 것이오?

※若是(약시): 이처럼

 

 

曰 殆有甚焉

왈 태유심이

맹자가 말했다. 아마도 더 심할 것입니다.

 

緣木求魚 雖不得魚 無後災

연목구어 수부득어 무후재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면 비록 물고기를 얻지 못해도 뒤에 재앙은 없습니다.

 

以若所為 求若所欲

이약소위 구약소욕

이와 같은 행동으로 이와 같은 소원을 구한다면

 

盡心力而為之 後必有災

진심력이위지 후필유재

온 마음과 힘을 다해 그것을 실행하더라도 나중에는 반드시 재앙이 따를 것입니다.

 

연목구어와 비슷한 말(사자성어)

사어지천(射魚指天)

: 물고기를 잡으려고 하늘을 향해 쏘다.

풀이: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하다.

한자: 射(쏠 사), 魚(물고기 어), 指(가리킬 지), 天(하늘 천)

 

상산구어(上山求魚)

: 산 위에서 물고기를 찾다.

풀이: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하다.

한자: 上(윗 상), 山(뫼 산), 求(구할 구), 魚(물고기 어)

 

여호모피(與虎謀皮)

: 호랑이와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도모하다.

풀이: 이해관계가 맞지 않아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한자: 與(더불 여), 虎(범 호), 謀(꾀할 모), 皮(가죽 피)

 

 

여양모육(與羊謨肉)

: 양에게 양고기를 내어 놓으라고 꾀다.

풀이 이해관계가 맞지 않아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이르는 말

한자: 與(더불 여), 羊(양 양), 謨(꾀할 모), 肉(고기 육)

 

지초북행(至楚北行)

: 초나라에 이르려고 하면서 북쪽으로 가다.

풀이: 목적과 행동이 서로 상반됨

한자: 至(이를 지), 楚(초나라 초), 北(북녘 북), 行(갈 행)

 

건목수생(乾木水生)

: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 내다.

풀이: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하다.

한자: 乾(마를 건), 木(나무 목), 水(물 수), 生(날 생)

 

육지행선(陸地行船)

: 육지에서 배를 저어 가다.

풀이: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고 하다.

한자: 陸(뭍 육), 地(땅 지), 行(갈 행), 船(배 선)

 

 

전수작빙(煎水作冰)

: 물을 끓여서 얼음을 만들다.

풀이: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하다.

한자: 煎(달일 전), 水(물 수), 作(지을 작), 冰(얼음 빙)

 

추주어륙(推舟於陸)

: 뭍에서 배를 밀다.

풀이: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고 하다.

한자: 推(밀 추), 舟(배 선), 於(어조사 어), 陸(뭍 륙)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