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인성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삼인성호(三人成虎) 한자
삼(三): 석 삼
인(人): 사람 인
성(成): 이룰 성
호(虎): 범 호
삼인성호 뜻
사람 셋이면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
→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진실로 믿기 쉽다.
= 삼인성시호(三人成市虎)
삼인성호 유래
중국 전국시대, 국가 간에 강화를 맺을 때, 그 증표로 태자를 상대 국가에 보내는 관례가 있었다. 이에 위(魏)나라 혜왕(惠王)은 조(趙)나라와 강화를 맺게 되어 태자를 보내면서 방총(龐蔥)을 수행원으로 보내려고 했다. 그러자 방총은 왕과 멀어지게 되는 것을 걱정하며 조나라로 떠나기 전에 왕을 알현한 후, 왕에게 말했다.
- 한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전하께서는 그 말을 믿으실 수 있겠습니까?
- 믿지 못하겠소.
- 그렇다면 두 사람이 동일한 말을 한다면 전하께서는 그 말을 믿으실 수 있겠습니까?
- 그래도 의심스럽소.
- 그러면 세 사람이 그리 말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 그러면 믿을 것 같소.
- 시장에는 분명 호랑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세 사람이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그 말은 진실이 되어 호랑이가 나타난 것이 됩니다.
- 이제 저는 조나라의 도읍 한단으로 멀리 떠납니다. 그렇게 되면 저에 대해 좋지 않은 말을 하는 사람이 한 둘이 아닐 것입니다. 부디 왕께서는 그런 말들을 귀담아 듣지 마십시오.
- 과인이 알아서 잘 판단할 것이니 걱정하지 마시오.
그리고 방총이 떠나자, 그의 말대로 많은 사람들이 그를 비방하고 헐뜯었고, 혜왕은 금세 방총을 의심하게 되었다.
결국 몇 년이 지난 후, 태자는 인질에서 풀려났으나, 방총은 두 번 다시 왕을 만날 수 없었다.
삼인성호 출전
전국책(戰國策) 위책(魏策)
한비자(韓非子) 내저설(內儲說)
삼인성호 원문
전국책 위책 중에서
龐蔥與太子質於邯鄲 謂魏王曰
방총여태자질어한단 위위왕왈
방총(龐蔥)이 태자(太子)와 함께 한단(邯鄲)에 인질로 가면서 위왕(魏王)에게 말했다.
※邯鄲(한단): 조나라의 도읍
今一人言市有虎 王信之乎
금일인언시유호 왕신지호
지금 한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왕께서는 그 말을 믿으시겠습니까?
王曰 否
왕왈 부
왕이 말했다. "믿지 않네."
二人言市有虎 王信之乎
이인언시유호 왕신지호
두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왕께서는 그 말을 믿으시겠습니까?
王曰 寡人疑之矣
왕왈 과인의지의
왕이 말했다. "과인은 그 말을 의심할 것이다."
三人言市有虎 王信之乎
삼인언시유호 왕신지호
세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왕께서는 그 말을 믿으시겠습니까?
王曰 寡人信之矣
왕왈 과인신지의
왕이 말했다. "과인은 그 말을 믿을 것이다."
龐蔥曰
방총왈
방총이 말했다.
夫市之無虎明矣
부시지무호명의
무릇 시장에는 호랑이가 없는 것이 분명합니다.
然而三人言而成虎
연이삼인언이성호
그러나 세 사람이 말하면 호랑이를 만들어 냅니다.
今邯鄲去大梁也遠於市
금한단거대량야원어시
지금 한단은 대량과 떨어져 있는데 시장보다 멀고
※大梁(대량): 위나라의 도읍
而議臣者過於三人矣
이의신자과어삼인의
신을 나무라는 사람이 세 사람은 넘을 것입니다.
愿王察之矣
원왕찰지의
원컨대, 왕께서는 그것을 살펴주십시오.
王曰 寡人自為知
왕왈 과인자위지
왕이 말했다. "과인이 스스로 알아서 할 것이다."
於是辭行 而讒言先至
어시사행 이참언선지
그리하여 작별인사를 했는데, 참소하는 말이 먼저 이르렀다.
後太子罷質 果不得見
후태자파질 과부득견
훗날, 태자는 인질에서 풀려났으나 과연 (방총은) 임금을 볼 수 없었다.
삼인성호 비슷한 한자성어
삼인성시호(三人成市虎)
뜻: 세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믿게 된다.
= 삼인성호(三人成虎)
= 시호(市虎)
= 시호삼전(市虎三傳)
증삼살인(曾參殺人 )
뜻: 증삼이 사람을 죽이다.
풀이: 어느 날, 증삼의 어머니가 베를 짜고 있는데, 어떤 사람이 와서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말했으나 처음에는 믿지 않았다. 그런데 계속 다른 사람들이 와서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말하자 결국 증삼의 어머니는 세 번째 사람이 말할 때 베틀의 북을 던지고 도망쳤다. 이처럼 사실이 아니더라도 사실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으면 진실로 믿게 된다.
한자: 曾(일찌기 증), 參(석 삼), 殺(죽일 살), 人(사람 인)
투저의(投杼疑)
뜻: 베틀의 북을 던지는 의심
풀이: 여러 번 말을 들으면 진실이 아니더라도 믿게 된다.
한자: 投(던질 투), 杼(북 저), 疑(의심할 의)
'알쓸신잡 > 고사성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맹어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5.26 |
---|---|
[연목구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5.20 |
[기우, 기인지우]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5.06 |
[철면피]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4.28 |
[구상유취] 뜻과 유래 - 초한지 고사성어 (0) | 2020.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