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망치한(脣亡齒寒) 유래, 뜻 - 고사성어 이야기
순망치한(脣亡齒寒)이란? 뜻과 해석, 한자
순망치한 한자
순(脣): 입술 순
망(亡): 망할 망
치(齒): 이 치
한(寒): 찰 한
순망치한 뜻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
순망치한 해석
'서로 도우며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뜻한다. 서로 의지하고 있어 한쪽이 사라지게 되면 다른 한쪽도 안전을 확보하기 힘든 상태를 말한다.
순망치한 출처
순망치한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희공 5년조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순망치한 유래(순망치한 원문 번역)
중국 춘추시대 말엽인 B.C. 655년, 진(晉)나라 헌공은 괵(虢)나라를 치려는 야심을 품고 두 나라 사이에 있던 우(虞)나라 우공에게 그 곳을 지나갈 수 있도록 허락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우공이 헌공의 제의를 수락하려고 하자 우나라의 중신인 궁지기(宮之奇)가 우공에게 간언했다.
“괵나라는 우리나라의 울타리와도 같습니다. 그러니 괵나라가 망한다면 우나라도 반드시 함께 망할 것입니다. 진나라에게 길을 열어주어서도 안되며 외적이 탐하는 것을 허락해서도 안 됩니다. 전에 한 번 길을 열어준 것도 심하다고 할 수 있는데 어찌 또다시 길을 터줄 수 있단 말입니까? 옛 속담에도 수레 덧방나무(수레 양쪽 가장자리에 덧대는 나무)와 수레는 서로 의지하고, 입술이 망하면 이가 시리다고 했습니다. 이는 바로 괵나라와 우나라의 관계를 두고 말한 것입니다.”
그러나, 우공은 이렇게 말했다.
“진나라와 우나라는 모두 주나라 황실에서 갈라져 나온 나라요. 어찌 그들이 우리를 해하겠소?”
궁지기가 말했다.
“주나라의 태백(太伯)과 우중(虞仲)과 왕계(王系)는 모두 태왕의 아들인데 장남인 태백이 왕위를 계승하지 않고 떠나니 차남인 우중도 왕위를 계승하지 않고 태백을 따라갔습니다. 삼남인 왕계의 아들 괵중과 괵숙은 주나라 문왕(文王)의 경사(卿士) 벼슬에 올라 주나라 왕실에 공훈를 세운 것이 맹부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도 지금 진나라는 성도 같고, 연고도 깊은 괵나라를 멸하려 하고 있습니다. 하물며 어찌 괵나라보다 연고가 얉은 우나라를 사랑할 리가 있겠습니까? 게다가 진나라는 같은 종친인 제나라의 환숙(桓叔)과 초나라의 장백(莊伯)장공(莊公) 일족도 죽인 적이 있습니다. 심지어 우리 우나라는 환공과 장공의 집안만큼 진나라와 친밀한 관계도 아닙니다. 사랑하는 친족도 핍박을 하다가 오히려 죽이는 상황인데, 별 관계가 없는 우나라를 멸하는 것 정도는 당연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그러자 우공이 말했다.
“나는 풍성하고 깨끗한 제물로 제사를 드렸으니 신께서 반드시 우리나라를 도와주실 것이오.”
궁지기가 대답했다.
“신이 듣기로는 귀신은 사람을 친애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덕 있는 사람과 함께 한다고 합니다. 주서(周書)에서도 이르기를, ‘하늘은 특별히 사람을 친애하지 않고 오직 덕 있는 사람을 돕는다.’고 했습니다. 또 이르기를,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 향기로운 것이 아니라 사람의 밝은 덕이 향기로운 것이다.’라고 했고, 또 이르기를, ‘백성이 제물을 바꾸지 않아도 오직 덕이 제물이다.’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볼 때, 덕이 아니라면 백성이 화합하지도 않고, 신도 제사를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신이 함께 하는 것은 전적으로 제사를 드리는 사람의 덕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진나라가 우리 우나라를 취한 후에 밝은 덕으로써 제사를 올린다면 신께서 어찌 그것을 토해 내겠습니까?”
그러나 우공은 궁지기의 말을 듣지 않고 진나라 사신의 요청을 허락했다. 이에 궁지기는 가족을 이끌고 다른 나라로 떠나며 이렇게 말했다.
“우리 우나라는 연말에 제사를 드리지 못할 것이다. 진나라는 이번 출전에서 괵나라를 정벌한 다음, 바로 우리 우나라를 멸할 것이니 따로 재차 군대를 일으키지는 않을 것이다.”
8월에 진나라 헌공은 괵나라의 수도인 상양(上陽)을 포위하고 복언을 불러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성공할 것 같소?”
복언이 대답했다.
“승리하실 것입니다.”
헌공이 말했다.
“괵나라를 언제쯤 공격하는 것이 좋겠소?”
복언이 대답했다.
“아이들의 동요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병자일 새벽에 용미성(龍尾星)이 태양 가까이에 있어 보이지 않을 때에 군복을 입은 군사들의 위풍당당함이 괵나라 깃발을 빼앗으리라. 순화성(鶉火星)이 번쩍이면, 천책성(天策星)은 그 빛을 잃고, 순화성이 남쪽 하늘에 뜰 때, 군대가 승전하여, 괵공(虢公)은 도망치리라.’ 따라서 9월과 10월이 바뀌는 날일 것입니다. 병자일 아침에 태양은 미성이 있는 곳에서 뜨고, 달은 천책성이 있는 곳에 있으며 순화성은 남쪽에서 빛날 때이니 필시 이때를 이르는 것입니다.”
과연 겨울이 되어 12월 병자일 초하루에 진나라가 괵나라를 멸망시켰고, 괵공은 주나라의 수도인 경사(京師)로 피신했다. 진나라는 돌아오는 도중에 잠시 우나라에 주둔했다가 기회를 틈타 우나라를 습격하여 멸망시키고 우공과 대부 정백(井伯)을 사로잡았다가 진(晉)나라 헌공의 딸 진목희(秦穆姬)가 시집갈 때, 노비로 삼았다. 또한 진나라는 우나라가 지내던 제사를 대신 지내고, 우나라 공물을 주나라 왕에게 바쳤다. 그러므로 ‘주나라 사람이 우공을 잡았다.’고 기록하였으니 이는 우공에게 모든 죄를 돌리는 것은 물론이고, 진나라가 우나라를 쉽게 멸망시켰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순망치한 원문
晉侯復假道於虞以伐虢‧
宮之奇諫曰‧
虢‧虞之表也‧虢亡‧虞必從之‧晉不可啟‧寇不可翫‧一之謂甚‧其可再乎‧諺所謂輔車相依‧脣亡齒寒者‧其虞虢之謂也‧
公曰‧
晉‧吾宗也‧豈害我哉‧
對曰‧
大伯‧虞仲‧大王之昭也‧大伯不從‧是以不嗣‧虢仲‧虢叔‧王季 之穆也‧為文王卿士‧勳在王室‧藏於盟府‧將虢是滅‧何愛於虞‧且虞能親於桓莊乎‧其愛之也‧桓莊之族何罪‧而以為戮‧不唯偪乎‧親以寵偪‧猶尚害之‧況以國乎‧
公曰‧
吾享祀豐絜‧神必據我‧
對曰‧
臣聞之‧鬼神非人實親‧惟德是依‧故周書曰‧皇天無親‧惟德是輔‧又曰‧黍稷非馨‧明德惟馨‧又曰‧民不易物‧惟德緊物‧如是則非德‧民不和‧神不享矣‧神所馮依‧將在德矣‧若晉取虞‧而明德以薦馨香‧神其吐之乎‧
弗聽‧許晉使‧
宮之奇以其族行‧曰‧
虞不臘矣‧在此行也‧晉不更舉矣‧
八月‧甲午‧晉侯圍上陽問於卜偃曰‧
吾其濟乎‧
對曰‧
克之‧
公曰‧
何時‧
對曰‧
童謠雲‧丙之晨‧龍尾伏辰‧均服振振‧取虢之旂‧鶉之賁賁‧天策焞焞‧火中成軍‧虢公其奔‧
其九月十月之交乎‧丙子旦‧日在尾‧月在策‧鶉火中‧必是時也‧
冬‧十二月‧丙子朔‧晉滅虢‧虢公醜奔京師‧師還館于虞‧遂襲虞‧滅之‧執虞公‧及其大夫井伯‧以媵秦穆姬‧而脩虞祀‧且歸其職貢於王‧故書曰‧晉人執虞公‧罪虞‧且言易也‧
순망치한 비슷한 사자성어(유사어, 동의어)
순치지국(脣齒之國)
한자: 脣(입술 순), 齒(이 치), 之(갈 지), 國(나라 국)
뜻: 입술과 이의 사이와 같은 나라
해석: 서로의 이해 관계가 밀접한 두 나라를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순치보거(脣齒輔車)
한자: 脣(입술 순), 齒(이 치), 輔(덧방나무 보), 車(수레바퀴 거)
뜻: 입술과 이, 덧방나무와 수레바퀴의 관계
해석: 서로 돕고 의지해야만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는 관계를 의미한다.
조지양익(鳥之兩翼)
한자: 鳥(새 조), 之(갈 지), 兩(두 양), 翼(날개 익)
뜻: 새의 양 날개
해석: 새의 양 날개 중에 하나만 없어도 날 수 없듯이 하나가 망하면 다른 하나도 온전하기 어려운 관계. 꼭 필요한 관계를 뜻한다.
거지양륜(車之兩輪)
한자: 車(수레 거), 之(갈 지), 兩(두 양), 輪(바퀴 륜)
뜻: 수레의 두 바퀴
해석: 수레의 두 바퀴 중에 하나만 없어도 앞으로 갈 수 없는 것처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꼭 필요한 관계를 의미한다.
함께 알아두면 좋은 사자성어
가도멸괵(假道滅虢)
한자: 假(빌릴 가), 道(길 도), 滅(멸망할 멸), 虢(나라이름 괵)
뜻: 길을 빌려 괵나라를 멸망시키다.
해석: 실제 속셈을 숨긴 채 적을 기습하는 계책을 뜻한다.
가도벌괵(假道伐虢)
한자: 假(빌릴 가), 道(길 도), 伐(칠 벌), 虢(나라이름 괵)
뜻: 길을 빌려 괵나라를 친다.
해석: 실제 속셈을 숨긴 채 적을 기습하는 계책을 뜻한다.
정명가도(征明假道)
한자: 征(칠 정), 明(나라이름 명), 假(빌릴 가), 道(길 도)
뜻: 명나라를 치려고 하니 길을 빌려 달라.
해석: 일본이 임진왜란을 일으키는 구실이 된, 조선에게 한 요구. 가도벌괵 또는 가도멸괵과 비슷한 말로 볼 수 있다.
가도입명(假道入明)
한자: 假(빌릴 가), 道(길 도), 入(들 입), 明(나라이름 명)
뜻: 길을 빌려 명나라에 들어가다.
해석: 임진왜란을 일으키는 구실이 된 일본 측의 요구로 조선이 이를 수용하지 않자 임진왜란을 일으켰다. 가도멸괵 또는 가도벌괵과 비슷한 말이다.
'알쓸신잡 > 고사성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호경식지계(二虎競食之計)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유래 (0) | 2019.03.20 |
---|---|
새옹지마(塞翁之馬)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19.02.15 |
파죽지세(破竹之勢)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0) | 2019.02.12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제갈량의 출사표(出師表) - 삼국지 매니아라면 소름 돋는 장면 - (0) | 2018.11.17 |
[삼국지 고사성어 이야기] 오관참육장 (五關斬六將) - 다섯 관문을 통과하며 여섯 장수를 베다 - (0) | 2018.1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