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 조건 정리] 규정과 예시, 예외 사례
★아래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① 합성어이어야 한다.(단일어X, 파생어X)
예시. 해볕(X) - 햇볕(O)
→ 명사 '해'와 명사 '볕'이 결합한 합성어
예시. 해님(O) - 햇님(X)
→ 명사 '해'와 접미사 '님'이 결합한 파생어
예시. 나라님(O) - 나랏님(X)
→ 명사 '나라'와 접미사 '님'이 결합한 파생어
② 구성요소 중의 하나는 순우리말이어야 한다.
ⅰ) 《순우리말》 +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
예시. 덩치값(X) - 덩칫값(O)
→ 명사 '덩치'와 명사 '값'의 합성어
예시. 빨래방망이(X) - 빨랫방망이(O)
→ 명사 '빨래'와 명사 '방망이'의 합성어
ⅱ) 《순우리말》 + 《한자어》의 합성어
예시. 개과(X) - 갯과(O)
→ 명사 '개'와 명사 '과(科)'의 합성어
예시. 뒤문(X) - 뒷문(O)
→ 명사 '뒤'와 명사 '문(門)'의 합성어
ⅲ) 《한자어》 + 《순우리말》의 합성어
예시. 성묘길(X) - 성묫길(O)
→ 명사 '성묘(省墓)' 와 명사 '길'의 합성어
예시. 주사바늘(X) - 주삿바늘(O)
→ 명사 '주사(注射)'와 명사 '바늘'의 합성어
★사이시옷 예외
아래의 여섯 단어는 《한자어》 + 《한자어》의 두 음절로 된 단어이지만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 곳간(庫間) → 고(庫) + 간(間)
· 셋방(貰房) → 세(貰) + 방(房)
· 숫자(數字) → 수(數) + 자(字)
· 찻간(車間) → 차(車) + 간(間)
· 툇간(退間) → 퇴(退) + 간(間)
· 횟수(回數) → 회(回) + 수(數)
그 외의 《한자어》 + 《한자어》의 합성어는 모두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예시. 개수(O) - 갯수(X)
→ '개(個)'와 '수(數)'의 합성어
예시. 대가(O) - 댓가(X)
→ '대(代)'와 '가(價)'의 합성어
예시. 소수점(O) - 소숫점(X)
→ '소수(小數)와 '점(點)'의 합성어
예시. 외가댁(O) - 외갓댁(X)
→ '외가(外家)'와 '댁(宅)'의 합성어
③ 구성요소 중에 외래어가 없어야 한다.
예시. 피자집(O) - 피잣집(X)
→ '피자(pizza)'가 외래어
예시. 타로점(O) - 타롯점(X)
→ '타로(tarot)'가 외래어
예시. 딸기잼(O) - 딸깃쨈(X)
→ '잼(jam)'이 외래어
④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 앞말에 받침이 붙으면 안된다.
⑤ 다음의 발음이 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ⅰ) 뒷말의 첫 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 뒷말의 첫 소리가 ㄲ, ㄸ, ㅃ, ㅆ, ㅉ로 발음되는 경우
예시. 대표값(X) - 대푯값(O)
→ 대푯값 [대ː표깝/대ː푣깝]
예시. 머리돌(X) - 머릿돌(O)
→ 머릿돌 [머리똘/머릳똘]
예시. 보라빛(X) - 보랏빛(O)
→ 보랏빛 [보라삗/보랃삗]
예시. 비계살(X) - 비곗살(O)
→ 비곗살 [비계쌀/비곋쌀]
예시. 오라줄(X) - 오랏줄(O)
→ 오랏줄 [오ː라쭐/오ː랃쭐]
ⅱ) 뒷말의 첫 소리 'ㄴ,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경우
예시. 대엿새날(X) - 대엿샛날(O)
→ 대엿샛날 [대ː엳쌘날]
예시. 하루낮(X) - 하룻낮(O)
→ 하룻낮 [하룬낟]
예시. 때물(X) - 땟물(O)
→ 땟물 [땐물]
예시. 양치물(X) - 양칫물(O)
→ 양칫물 [양친물]
ⅲ) 뒷말의 첫 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경우
예시. 갈대잎(X) - 갈댓잎(O)
→ 갈댓잎 [갈땐닙]
예시. 깨잎(X) - 깻잎(O)
→ 깻잎 [깬닙]
예시. 허드레일(X) - 허드렛일(O)
→ 허드렛일 [허드렌닐]
※ 그 외의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쌍자음이 바로 오는 경우에도 붙이지 않는다)
예시.
갈대꽃(O) - 갈댓꽃(X)
막내딸(O) - 막냇딸(X)
붕어빵(O) - 붕엇빵(X)
상추쌈(O) - 상춧쌈(X)
종이쪽지(O) - 종잇쪽지(X)
허리춤(O) - 허릿춤(X)
매부리코(O) - 매부릿코(X)
홍어탕(O) - 홍엇탕(X)
치마폭(O) - 치맛폭(X)
※'차'의 사이시옷 표기
마시는 차의 경우, 차를 고유어로 간주하기 때문에 차가 들어가는 합성어에 사이시옷을 넣는다. ('차'의 뜻을 가진 한자인 '茶'는 다〔茶〕와 차〔茶〕 두가지 음이 있으므로, 만일 '차'를 한자로 간주하게 되면 한자 + 한자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갈 수 없다.)
예시. 찻잔(O) - 차잔(X)
→ 차 + 잔(盞)
예시. 찻종(O) - 차종(X)
→ 차 + 종(鍾)
예시. 찻주전자(O) - 차주전자(X)
→ 차 + 주전자(酒煎子)
'알쓸신잡 > 흥미로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벤션 효과란?] 컨벤션 이펙트 뜻 (0) | 2021.03.11 |
---|---|
[지명 속담] 지역 이름이 들어가는 속담 116가지 (0) | 2021.03.09 |
[빨강 색상표] 빨간색 계통 색깔 코드 (0) | 2021.03.01 |
[레임덕] 뜻과 유래 (0) | 2021.02.27 |
[표준발음법] 이중 모음 발음 방법과 규칙 및 예시 (0) | 2021.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