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법] 이중 모음 발음 방법과 규칙 및 예시
단모음/이중 모음 발음 원칙
한글 단모음 ▶ 10개
【ㅏ】,【ㅐ】,【ㅓ】,【ㅔ】,【ㅗ】,【ㅚ】,【ㅜ】,【ㅟ】,【ㅡ】,【ㅣ】
→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한글 이중모음 ▶ 11개
【ㅑ】,【ㅒ】,【ㅕ】,【ㅖ】,【ㅘ】,【ㅙ】,【ㅛ】,【ㅝ】,【ㅞ】,【ㅠ】,【ㅢ】
→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참고. 【ㅚ】, 【ㅟ】
· 이중 모음같이 보이지만 단모음이다.
·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
예. 【ㅚ】
【고되다】 ▶ [고되다/고뒈다]
【뇌물】 ▶ [뇌ː물/눼ː물]
【신뢰】 ▶ [실ː뢰/실ː뤠]
【장뇌삼】 ▶ [장뇌삼/장눼삼]
【파괴】 ▶ [파ː괴/파ː궤]
→ 【ㅚ】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때는 【ㅞ】와 발음과 비슷하므로 단모음 발음인 [ㅚ]와 이중 모음 발음인 [ㅞ]를 함께 표기하고 있다.
예. 【ㅟ】
【권위】 ▶ [궈뉘]
【뒤집다】 ▶ [뒤집따]
【발자취】 ▶ [발짜취]
【지휘관】 ▶ [지휘관]
【취직】 ▶ [취ː직]
→ 【ㅟ】를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때 표기할 수 있는 동일한 발음이 따로 없으므로 국어사전에서는 하나의 표기만 하고 있다.(실제 발음은 단모음 발음과 이중 모음 발음 모두 가능하다.)
이중 모음 예외 규칙
예외 ①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쪄】,【쳐】는 각각 [저],[쩌],[처]로 발음한다.
예. 【져】 ▶ [저]
【졌다】 ▶ [젇따]
지다 → 【지】(어간) + 【었】(선어말어미) + 【다】(어말어미)
예. 【쪄】 ▶ [쩌]
【쪄서】 ▶ [쩌서]
찌다 → 【찌】(어간) + 【어서】(연결어미)
예. 【쳐】 ▶ [처]
【굳혀】 ▶ [구처]
굳다 → 【굳】(어간) + 【히】(접미사) + 【어】(연결어미)
예외 ②
【예】,【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예. 【예】 ▶ [예]
【연예인】 ▶ [여ː녜인]
【예매하다】 ▶ [예ː매하다]
【원예】 ▶ [워녜]
예. 【례】 ▶ [례]
【거수경례】 ▶ [거ː수경녜]
【사례】 ▶ [사ː례]
【장례식】 ▶ [장ː녜식]
예. 【예】,【례】 이외에는, 【ㅖ】 ▶ [ㅔ],[ㅖ] 모두 가능
【계산기】 ▶ [계ː산기/게ː산기]
【삼계탕】 ▶ [삼계탕/삼게탕]
【식혜】 ▶ [시켸/시케]
【자폐증】 ▶ [자폐쯩/자페쯩]
【폐막식】 ▶ [폐ː막씩/페ː막씩]
예외 ③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예. 【ㅢ】 ▶ [ㅣ]
【귀띔질】 ▶ [귀띰질]
【늴리리】 ▶ [닐리리]
【띄엄띄엄】 ▶ [띠엄띠엄]
【싹틔우기】 ▶ [싹티우기]
【씌우니】 ▶ [씨우니]
【왕희지】 ▶ [왕히지]
【유희】 ▶ [유히]
【줄무늬】 ▶ [줄무니]
【흰개미】 ▶ [힌개미]
예외 ④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ㅢ]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며, [ㅣ]는 허용하는 것이다.)
예. 【의】 ▶ [의], [이]
【결의】 ▶ [겨릐/겨리]
【민주주의】 ▶ [민주주의/민주주이]
【여의도】 ▶ [여의도/여이도]
【의의】 ▶ [의ː의/의ː이]
【정의】 ▶ [정ː의/정ː이]
【혼천의】 ▶ [혼ː처늬/혼ː처니]
예외 ⑤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ㅢ]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며, [ㅔ]는 허용하는 것이다.)
예. 【의】 ▶ [의],[에]
【나의】 ▶ [나의/나에]
【닭의】 ▶ [달긔/달게]
【몫의】 ▶ [목씌/목쎄]
【여덟의】 ▶ [여덜븨/여덜베]
【정의의】 ▶ [정의의/정의에/정이의/정이에]
'알쓸신잡 > 흥미로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강 색상표] 빨간색 계통 색깔 코드 (0) | 2021.03.01 |
---|---|
[레임덕] 뜻과 유래 (0) | 2021.02.27 |
[짜장면 종류와 차이점] 간, 삼선, 사천, 유니, 유슬 뜻 (0) | 2021.02.15 |
[봄(春) 속담] 봄에 관한 속담 모음과 뜻 67가지 (0) | 2021.02.14 |
삼국지 인물 속담(여포, 유비, 장비, 제갈량, 조운, 조조)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