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중사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배중사영 한자
배(杯): 잔 배
중(中): 가운데 중
사(蛇): 뱀 사
영(影): 그림자 영
배중사영 뜻
술잔 속의 뱀 그림자
→ 아무 것도 아닌 일에 쓸데없이 의심을 품고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배중사영 유래
중국 후한 말기, 《응침》이라는 지방 관리가 있었다. 주부 《두선》이 문안인사를 오자 응침은 술잔치를 베풀었다. 마침, 북쪽 벽에 붉은 활이 매달려 있었는데, 술잔에 비치니 마치 뱀처럼 보였다. 두선은 뱀인줄 알고 무서웠으나 자신보다 높은 관리가 내려준 술을 마다할 수 없었고 억지로 마셨다.
그날 이후, 두선은 가슴과 배가 끊어질 듯이 아팠고, 음식을 먹을 수 없었다. 여러가지 방법을 써봐도 병은 낫지 않고 갈수록 악화되었다. 응침은 두선을 찾아가 그 까닭을 묻자, 두선이 대답했다.
- 그 날, 술을 먹다가 뱀이 제 뱃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응침은 집으로 돌아와 한참을 생각하다가 벽에 매달려 있는 활을 보고는 그 이유를 깨닫고 사람을 보내 두선을 가마에 태워 데려 오게 했다. 그리고 똑같은 장소에서 술잔에 뱀을 뜨게 한 후, 두선에게 이유를 알려 주었다.
- 이것은 벽에 걸려 있는 활의 그림자일 뿐, 다른 괴상한 것이 아닐세.
두선은 그제서야 안심할 수 있었고 그 즉시 병이 낫고 편안해졌다.
배중사영 출전
응소(應邵)의 풍속통의(風俗通義)
※진서(晉書) 악광전(樂廣傳)에도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배중사영(杯中蛇影) 원문
풍속통의 중에서
予之祖父郴為汲令
여지조부침위급령
나의 할아버지인 응침(應郴)이 급현의 장관으로 있을 때에
以夏至日詣見主簿杜宣 賜酒
이하지일예견주부두선 사주
하짓날에 주부(主簿) 두선(杜宣)이 문안을 오자 술을 하사했다.
時北壁上有懸赤弩
시북벽상유현적노
그때 마침 북쪽 벽 위에 붉은 활이 매달려 있었는데
照於柸 形如虵
조어배 형여사
(활이) 잔에 비치니 모양이 뱀 같았다.
宣畏惡之 然不敢不飲
선외오지 연불감불음
두선은 그것이 두려웠으나 감히 마시지 않을 수 없었다.
其日便得胸腹痛切 妨損飲食
기일변득흉복통절 방손음식
그날 문득 가슴과 배가 너무 아파서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했다.
大用羸露 攻治萬端 不為愈
대용이로 공치만단 불위유
많은 방법을 써봤으나 고달팠고, 여러가지로 다스리려 했으나 나아지지 않았다.
後郴因事過至宣家
후침인사과지선가
나중에 응침이 일이 있어 지나다가 두선의 집에 이르러
闚視 問其變故 云
규시 문기변고 운
(두선을) 보고 그의 변고(變故)에 대해 물으니 말했다.
畏此蛇 虵入腹中
외차사 사입복중
이 뱀이 두렵습니다. 뱀이 뱃속에 들어갔습니다.
郴還聽事 思惟良久
침환청사 사유양구
응침은 그 일에 대해 듣고 돌아와서 꽤 오래 생각하다가
顧見懸弩 必是也
고견현노 필시야
매달려 있는 활을 보고, 틀림없이 이것이구나! 라고 했다.
則使門下史將鈴下侍徐扶輦載宣
즉사문하사장영하시서부연재선
곧 문하사(門下史)에게 두선을 천천히 부축해서 가마에 싣고 모셔오라고 했다.
於故處設酒 盃中故復有虵 因謂宣
어고처설주 배중고부유사 인위선
예전 장소에서 술자리를 차리고 잔에 예전처럼 다시 뱀이 있게 하고 원인을 두선에게 설명했다.
此壁上弩影耳 非有他怪
차벽상노영이 비유타괴
이는 벽 위의 활의 그림자일 뿐이니 다른 괴상한 것이 아니다.
宣遂解 甚夷懌 由是瘳平
선수해 심이역 유시추평
두선이 마침내 깨달아 매우 기뻐했고 이로 인해 병이 낫고 편안해졌다.
官至尚書 歷四郡 有威名焉
관지상서 역사군 유위명언
벼슬은 상서(尚書)에 이르고 네 개의 고을을 지냈으며, 명성을 떨쳤다.
배중사영 비슷한 사자성어
배궁사영(杯弓蛇影)
뜻: 잔에 비친 활을 뱀 그림자로 착각하다
풀이: 쓸데 없는 의심이나 걱정
한자: 杯(잔 배), 弓(활 궁), 蛇(뱀 사), 影(그림자 영)
= 사영배궁(蛇影杯弓)
= 배중사영(杯中蛇影)
기인지우(杞人之憂)
뜻: 기나라 사람의 근심
풀이: 쓸데 없는 걱정
한자: 杞(기나라 기), 人(사람 인), 之(갈 지), 憂(근심 우)
= 기인우천(杞人憂天)
= 기우(杞憂)
의심암귀(疑心暗鬼)
뜻: 의심이 생기면 귀신이 생긴다
풀이: 의심을 하면 대수럽지 않은 일까지 불안해진다
한자: 疑(의심할 의), 心(마음 심), 暗(어두울 암), 鬼(귀신 귀)
=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
'알쓸신잡 > 고사성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중지와(정저지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7.13 |
---|---|
[점입가경]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7.07 |
[중과부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6.23 |
[양상군자]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6.16 |
[국사무쌍]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0) | 2020.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