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

[중과부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by 아기뼝아리 2020. 6. 23.

[중과부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중과부적 한자

중(衆): 무리 중

과(寡): 적을 과

부(不): 아닐 부

적(敵): 대적할 적

 

중과부적 뜻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

『적은 수로는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주로 수적으로 불리하여 이기기 힘든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많이 쓰인다.

 

 

중과부적 유래

중국 전국시대, 맹자는 여러 나라들을 다니면서 통치자의 인과 덕을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주장했다. 그러나 제나라의 선왕은 천하의 패권을 잡기 위해서는 무력을 통한 패도정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맹자는 그를 만나 이렇게 말했다.

 

- 전하께서는 소국인 추나라와 대국인 초나라가 싸우면 어느 쪽이 이길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 물론 강대국인 초나라가 이길 것이오.

 

- 전하께서 말씀하신 것과 같습니다. 작은 나라는 절대로 큰 나라를 이길 수 없고, 적은 것은 많은 것을 대적할 수 없으면, 약자는 강자에게 패할 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 천하에는 나라의 둘레가 1,000리(약 400km)가 넘는 나라만 해도 아홉 개의 나라가 있습니다. 제나라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지금 전하께서는 1개의 나라로 나머지 8개의 나라를 굴복시키려고 하십니다. 이것은 마치 약소국인 추나라가 강대국인 초나라를 이기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전하께서는 근본으로 돌아가셔야 합니다. 훌륭한 정치를 펴시고 덕으로 어진 정치를 베푸시옵소서. 그러면 천하의 선비들은 모두 전하의 조정에 서려고 할 것이고, 온 천하의 농민들은 모두 전하의 들에서 밭을 갈고자 할 것이며, 온 천하의 장사꾼들이 모두 전하의 시장에 물건을 보관하려 할 것이며 온 천하의 여행자들이 전하의 길로 나서려고 할 것입니다. 또한 자기 나라의 임금을 미워하는 천하의 모든 백성들이 다 전하께 나아와 하소연하려 할 것이니, 이를 누가 막을 수 있겠습니까?

 

- 과인이 어리석어 부족한 점이 많소. 선생께서 내가 무엇을 해야 할 지를 명명백백하게 가르쳐 주시오. 그러면 그것을 한 번 시험해 보도록 하겠소.

 

이에 맹자는 제나라 선왕에게 왕도정치에 대해 차근차근 설명해 나갔다.

 

중과부적
중과부적 뜻과 유래

중과부적 출전

맹자(孟子) 양혜왕상편(梁惠王上篇)


 

 

중과부적 원문

맹자 양혜왕상편 중에서

 

曰 可得聞與

왈 가득문여

(왕이) 말했다. 『그 말씀을 들어볼 수 있겠습니까?』

 

曰 鄒人與楚人戰 則王以為孰勝

왈 추인여초인전 즉왕이위숙승

(맹자)가 말했다. 『추나라 사람이 초나라 사람과 함께 싸우면, 왕께서는 누가 이길 것이라고 여기십니까?』

 

曰 楚人勝

왈 초인승

왕이 말했다. 『초나라 사람이 이깁니다.』

 

曰 然則小固不可以敵大

왈 연즉소고불가이적대

맹자가 말했다. 『그렇다면 언제나 작은 것은 큰 것을 이길 수 없고

※然則(연즉): 그러면, 그렇다면, 그런즉

 

寡固不可以敵眾 弱固不可以敵彊

과고불가이적중 약고불가이적강

적은 무리는 많은 무리를 이길 수 없고, 약한 것은 강한 것을 이길 수 없습니다.

 

海內之地方千里者九 齊集有其一

해내지지방천리자구 제집유기일

천하에는 둘레가 천리인 나라가 아홉 개인데, 제나라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以一服八 何以異於鄒敵楚哉

이일복팔 하이이어추적초재

하나로 여덟을 복종시키는 것이 추나라가 초나라와 싸우는 것 어떻게 다르겠습니까?

 

蓋亦反其本矣

합역반기본의

어찌 근본으로 돌아가지 않으십니까?

 

今王發政施仁

금왕발정시인

이제 왕께서 선정을 펴시고 인(仁)을 베푸시어

 

 

使天下仕者皆欲立於王之朝

사천하사자개욕립어왕지조

천하의 선비들로 하여금 모두 왕의 조정에서 서고자 하게 하고

 

耕者皆欲耕於王之野

경자개욕경어왕지야

농부들로 하여금 모두 왕의 들에서 경작하고자 하게 하며

 

商賈皆欲藏於王之市

상고개욕장어왕지시

상인들로 하여금 모두 왕의 시장에서 저장하고자 하게 하며

 

行旅皆欲出於王之塗

행려개욕출어왕지도

나그네로 하여금 모두 왕의 길에 나서고자 하게 하면

 

天下之欲疾其君者皆欲赴愬於王

천하지욕질기군자개욕부소어왕

천하에 있는 그의 임금을 미워하는 사람들이 모두 왕에게 나아가 하소연하려고 할 것입니다.

 

其若是 孰能禦之

기약시 숙능어지

이와 같다면 누가 그것을 막을 수 있겠습니까?』

 

王曰 吾惛 不能進於是矣

왕왈 오혼 불능진어시의

왕이 말했다. 『내가 어리석어 여기에 힘쓸 수가 없습니다.

 

願夫子輔吾志 明以教我

원부자보오지 명이교아

원컨대 선생께서 나의 뜻을 도와서 밝게 나를 가르쳐 주십시오.

 

我雖不敏 請嘗試之

아수불민 청상시지

내가 비록 어리석으나 청컨대 그것을 시험해 보겠습니다.』

※不敏(불민): 어리석고 둔하다

※嘗試(상시): 시험해 보다

 

 


중과부적 비슷한 사자성어

과부적중(寡不敵衆)

: 적은 것은 무리를 대적할 수 없다.

한자: 寡(적을 과), 不(아닐 부), 敵(대적할 적), 衆(무리 중)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