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가 (何如歌) 뜻과 시조 해석 (ft. 이방원)
■ 하여가(何如歌) - 이방원 -
· 시조 내용 풀이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해석: 고려왕조면 어떻고 새로운 왕조(조선)이면 또 어떠한가?
→ 이방원은 고려의 충신 정몽주를 회유하고 설득하기 위해 유연한 삶의 태도를 강조한다.
만수산(萬壽山)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해석: 고려가 조선이 된들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 고려가 망하고 새로운 왕조가 들어선다고 해서 별로 달라질 것이 없으니 굳이 조선 개국에 저항할 필요가 없음을 재차 강조한다.
※만수산(萬壽山): 고려의 수도 개성 북쪽에 있는 해발 488m의 송악산의 다른 이름이다. 고려 왕실의 일곱 능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드렁칡: 언덕진 곳에 얽혀 있는 칡덩굴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해석: 고려든 조선이든 그것에 연연하지 말고 우리 함께 어우러져 오랫동안 영화롭게 살아 보세.
→ 조선 개국 반대파인 정몽주에게 새로운 왕조 건설에 동참하여 함께 권세를 누리자며 회유한다.
· 하여가 설명
'하여가'에서는 '어떠하리'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여유롭고 우회적인 표현을 통해 유연한 삶의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이방원은 하여가를 통해 고려의 충신이자 정적인 정몽주를 회유하려 한다.
· 참고. '하여가(何如歌)' 뜻
한자: 何(어찌 하), 如(같을 여), 歌(노래 가)
→ 하여(何如): 어떠한가, 어떠냐, 어떠하리
★'하여가(何如歌)'는 《포은집》과 《해동악부》 등에 수록된 한역시(漢譯詩) 에서 나온 말이다.
· 하여가(한역)
한역: 此亦何如(차역하여)
해석: 이런들 또 어떠하리
한역: 彼亦何如(피역하여)
해석: 저런들 또 어떠하리
한역: 城隍堂後垣(성황당후원)
해석: 성황당(城隍堂)의 뒷담이
한역: 頹落亦何如(퇴락역하여)
해석: 무너진들 또 어떠하리
한역: 我輩若此爲(아배약이위)
해석: 우리도 이같이 하여
한역: 不死亦何如(불사역하여)
해석: 죽지 않은들 또 어떠하리
단심가(丹心歌) 뜻과 시조 해석 (정몽주)
단심가(丹心歌) 뜻과 시조 해석 (정몽주) ■ 단심가(丹心歌) - 정몽주 - · 시조 내용 풀이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해석: 내가 비록 수백 번을 죽는다고 해도 → 첫 부분부터 '죽음'이
agibbyeongari.tistory.com
'알쓸신잡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심가(丹心歌) 뜻과 시조 해석 (정몽주) (0) | 2022.04.04 |
---|---|
[역대 대통령 명언] 대한민국 대통령 어록 (0) | 2022.03.13 |
재위기간이 가장 짧았던 왕 TOP4 (0) | 2022.01.07 |
재위기간이 가장 길었던 왕 TOP4 (0) | 2022.01.06 |
[마지노선이란?] '마지노선', 그 뜻과 유래는? (0) | 2021.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