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

[성동격서(聲東擊西)란?] '성동격서' 뜻과 유래

by 아기뼝아리 2021. 7. 2.

[성동격서(聲東擊西)란?] '성동격서' 뜻과 유래

성동격서
성동격서 뜻과 유래

성동격서란?

뜻: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친다

→ 한쪽을 공격하는 척하면서 상대방의 주의를 분산시킨 후, 다른 쪽을 습격하여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는 전술

 

성동격서 유래

【첫번째 이야기】

중국 춘추시대, 진나라 《강공》이 누대를 쌓는 동안 초나라가 제나라를 치려고 하자 《임망》 이 말했다.

 

- 초나라가 제나라를 치는 척하면서 우리 진나라를 치려고 하니 거기에 대비해야 합니다.

 

강공이 그 의견을 받아들여 동쪽 국경을 지키게 하자 초나라가 행군을 멈췄다.

 

【두번째 이야기】

한나라의 《유방》과 초나라의 《항우》가 천하를 두고 다투던 때의 일이다. 위나라왕 《표》가 항우에게 항복하자 유방은 《한신》에게 위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위나라가 황하 동쪽에 진을 치고 방어를 굳건히 하자 한신은 병사들에게 명령을 내려 낮에는 큰소리로 훈련하고 밤에는 불을 밝혀 적극적으로 공격하는 척 하게 했다.

 

그러면서 한신은 비밀리에 그곳보다 좀 더 북쪽에 위치한 하양으로 몰래 군대를 이동시킨 후, 뗏목을 타고 황하를 건너 위나라왕 표의 후방을 공격하여 점령한 후 여세를 몰아 표를 사로잡았다.

 

 

성동격서 한자

성(聲): 소리 성

동(東): 동녘 동

격(擊): 칠 격

서(西): 서녘 서

 

성동격서 출전

한비자(韓非子) 설림(說林) 상(上)

회남자(淮南子) 병략훈(兵略訓)

통전(通典) 병전(兵典) 등

 

성동격서 원문


한비자 설림 상 중에서

 

秦康公築臺三年

진강공축대삼년

진(秦)나라 강공(康公)이 누대를 쌓은지 3년이 흘렀다.

 

荊人起兵 將欲以兵攻齊 任妄曰

형인기병 장욕이병공제 임망왈

초나라 사람들이 군대를 일으켜 제나라를 치려고 하자 임망(任妄)이 말했다.

※荊(형): 초(楚)나라를 이르는 말

 

 

饑召兵 疾召兵 勞召兵 亂召兵

기소병 질소병 노소병 난소병

"기근이 있어도 전쟁을 초래하고, 질병이 퍼져도 전쟁을 초래하고, 노역을 심하게 시켜도 전쟁을 초래하고 내란이 생겨도 전쟁을 초래합니다.

 

君築臺三年 今荊人起兵將攻齊

군축대삼년 금형인기병장공제

군께서 누대를 쌓은지 3년이고 이제 초나라가 군대를 일으켜 제나라를 공격하려 하는데

 

臣恐其攻齊為聲 而以襲秦為實也

신공기공제위성 이이습진위실야

신은 초나라가 제나라를 공격하는 것이 위장이고 실제로는 진나라를 습격하려는 것이 아닐지 두렵습니다.

 

不如備之

부여비지

그에 대비해야 합니다."

 

戍東邊 荊人輟行

수동변 형인철행

(강공이) 동쪽 국경을 지키게 하니 초나라는 행군을 멈췄다.


회남자 병략훈 중에서

 

故用兵之道

고용병지도

그러므로 용병의 도는

 

示之以柔 而迎之以剛

시지이유 이영지이강

부드러워 보이면서도 굳세게 대응하고

 

示之以弱 而乘之以強

시지이약 이승지이강

약해 보이면서도 강함을 타고

 

為之以歙 而應之以張

이지이흡 이응지이장

움츠려 행하면서도 펴서 대응하고

 

將欲西 而示之以東

장욕서 이시지이동

서쪽을 나아가려고 하면서도 동쪽으로 가는 것처럼 보이고

 

先忤而後合 前冥而後明

선오이후합 전명이후명

처음에는 어긋나나 나중에는 합하고, 앞은 어두우나 뒤는 밝다.

 

 


통전 병전 중에서

 

聲言擊東 其實擊西

성언격동 기실격서

동쪽을 친다고 말하면서 실제로는 서쪽을 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