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표, 24절기 뜻, 24절기란?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 것으로 황도 상에서 춘분점을 기준으로 15도 간격으로 24절기가 위치해있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각 계절마다 6개의 절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5일마다 절기가 있다. 24절기란 무엇인지 계절별 24절기의 뜻을 알아보고, 24절기를 순서대로 각각 알아보도록 하겠다.
※24절기에 대한 오해: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인 설날, 추석, 정월대보름, 한식, 단오 등이 모두 음력을 기준으로 날짜가 정해지기 때문에 24절기가 음력 날짜를 기준으로 한다는 오해를 할 수 있으나 24절기는 음력을 기준으로 한 것이 아니다.
봄의 절기
입춘(立春)
한자: 立(설 입), 春(봄 춘)
날짜: 양력 2월 4일 또는 2월 5일
시기: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
풀이: 봄의 시작을 알림
입춘 뜻
입춘은 ‘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한 해의 첫 번째 절기로 새해를 시작하는 절기인 만큼 농경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은 절기이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이지만 시기가 2월 초이기 때문에 봄이 왔다고 하기는 날씨는 일반적으로 추운 편이다. 오늘날에는 ‘立春大吉 建陽多慶(입춘대길 건양다경)과 같은 입춘축(立春祝 = 입춘첩)을 붙이는 날로 여겨지고 있다.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을 해당 계절에 들어선다는 의미로 入(들 입)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계절을 세우다’, ‘준비된 계절이 시작되다’, ‘곧 그 계절에 들어서다’라는 의미로 立(설 입)이라는 한자를 사용한다.
우수(雨水)
한자: 雨(비 우), 水(물 수)
날짜: 양력 2월 18일 또는 2월 19일
시기: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
풀이: 얼음이 녹고 초목에 싹이 틈
우수 뜻
우수는 ‘비가 내리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뜻으로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이 성큼 다가왔음을 느낄 수 있는 시기이다. 눈 대신에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우수 뒤의 얼음 같이’ 라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얼음이 슬슬 녹아 없어지고 춥던 날씨가 많이 누그러지며 초목에 싹이 튼다.
경칩(驚蟄)
한자: 驚(놀랄 경), 蟄(숨을 칩)
날짜: 양력 3월 5일 또는 3월 6일
시기: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
풀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남
경칩 뜻
경칩은 ‘벌레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뜻으로, 칩(蟄)이라는 한자는 겨울잠을 자는 벌레로 해석된다. 이 시기에 처음으로 천둥이 치고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땅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특히, 경칩은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때로 많이 알려져 있다. ‘우수 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속담처럼 완연한 봄이 왔음을 체감할 수 있는 시기이다.
춘분(春分)
한자: 春(봄 춘), 分(나눌 분)
날짜: 양력 3월 20일 또는 3월 21일
시기: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
풀이: 낮이 길어지기 시작
춘분 뜻
춘분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시기’로 황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때이다. 이 날부터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춘분 날씨로 한 해 흉년과 풍년, 또는 가뭄과 홍수를 예견하기도 했다.
청명(淸明)
한자: 淸(맑을 청), 明(밝을 명)
날짜: 양력 4월 4일 또는 4월 5일
시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
풀이: 날씨가 맑고 봄 농사를 준비함
청명 뜻
청명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의미로 명절인 한식(寒食)과 날짜가 겹치거나 하루 차이가 나게 된다. 그런 이유로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라는 속담이 있기도 하다. 청명 무렵이 되면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는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기도 하다. 청명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되고, 날씨가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점치기도 했다.
곡우(穀雨)
한자: 穀(곡식 곡), 雨(비 우)
날짜: 앙력 4월 20일 또는 4월 21일
시기: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
풀이: 봄비가 내려 곡식이 윤택해짐
곡우 뜻
곡우는 ‘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으로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고 볍씨를 담그고 볍씨를 담아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둔다. 만약, 부정한 일을 당하거나 본 사람이 있으면 집 앞에 불을 놓아 그 위를 건너게 한 후 집 안에 들이고 집안에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못하게 했다. 이는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면 농사를 망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곡우에 비가 오면 그 해 농사가 잘되고 곡우에 비가 오지 않으면 농사를 망친다고 생각했다.
여름의 절기
입하(立夏)
한자: 立(설 입), 夏(여름 하)
날짜: 양력 5월 5일 또는 5월 6일
시기: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
풀이: 여름의 시작을 알림
입하 뜻
입하는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입하가 되면 봄기운이 사라지고 산과 들에 신록이 가득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볍씨의 싹이 터서 모가 자라고 밭에는 보리이삭이 패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소만(小滿)
한자: 小(작을 소), 滿(찰 만)
날짜: 양력 5월 21일 또는 5월 22일
시기: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
풀이: 본격적인 농사를 시작
소만 뜻
소만은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되어 모내기를 위한 준비로 인해 바빠지는 시기이다. 산과 들에 꽃들이 만발하는 등 곳곳에서 여름의 분위기가 나기 시작한다.
망종(芒種)
한자: 芒(까끄라기 망), 種(씨 종)
날짜: 양력 6월 5일 또는 6월 6일
시기: 소만(小萬)과 하지(夏至) 사이
풀이: 곡식의 씨를 뿌림
망종 뜻
망종은 ‘까끄라기 곡식의 씨를 뿌린다.’는 뜻으로 망(芒)은 ‘까끄라기 망’으로 까끄라기 곡식(수염이 있는 곡식)을 가리킨다. 결국, 벼나 보리 등의 수염이 있는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할 시기라는 뜻이다. 망종은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좋은 시기이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처럼 망종 전에 보리를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하게 된다.
하지(夏至)
한자: 夏(여름 하), 至(이를지)
날짜: 양력 6월 21일 또는 6월 22일
시기: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
풀이: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
하지 뜻
하지는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다. 참고로,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이기도 하다. 이 날 이후로 동지(冬至)가 될 때까지 낮의 길이는 계속 짧아진다.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길기 때문에 지표면에 많은 열이 쌓이고, 이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여 날씨가 더워진다. 그리고 하지가 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를 드리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하지는 장마가 시작되는 무렵이기도 하다.
소서(小暑)
한자: 小(작을 소), 暑(더울 서)
날짜: 양력 7월 7일 또는 7월 8일
시기: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
풀이: 더위의 시작
소서 뜻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으로 본격적인 여름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이 무렵에는 주로 장마전선이 우리나라에 자리 잡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비가 내리는 시기이다.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심는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소서가 지나면 모내기가 늦은 편이기 때문에 모두 힘을 합쳐 모내기를 끝내야 한다는 의미이다.
대서(大暑)
한자: 大(큰 대), 暑(더울 서)
날짜: 양력 7월 22일 또는 7월 23일
시기: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
풀이: 더위가 가장 심함
대서 뜻
대서는 ‘큰 더위’라는 뜻으로 보통 1년 중 가장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로 많은 사람들이 여름휴가를 떠나는 때이다. 하지(夏至) 때부터 쌓인 지표면의 열로 인해 더위가 절정을 이룬다. 또한 삼복의 하나인 중복(中伏)과 시기가 비슷하다. 보통 여름 장마는 대서 무렵에 끝이 나는 경우가 많다.
가을의 절기
입추(立秋)
한자: 立(설 입), 秋(가을 추)
날짜: 양력 8월 7일 또는 8월 8일
시기: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
풀이: 가을의 시작을 알림
입추 뜻
입추는 ‘가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여전히 날씨는 덥지만 밤에는 전보다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시원한 느낌이 들게 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김장용 배추와 무를 심어 겨울김장에 대비하는 때이기도 하다. 입추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이므로 이 날의 날씨로 한해 농사를 점치기도 했다.
처서(處暑)
한자: 處(곳 처), 暑(더울 서)
날짜: 양력 8월 23일 또는 8월 24일
시기: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
풀이: 더위가 가고 일교차가 커짐
처서 뜻
처서는 ‘여름이 지나 더위가 가시고 가을을 맞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비뚤어진다.’는 유명한 속담이 있을 만큼 날이 선선해지면서 파리나 모기와 같은 각종 곤충의 개체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다. 농가는 일이 한가한 때이며 처서에는 비가 오지 않고 날씨가 좋아야 농사가 잘된다는 믿음이 있기도 하다.
백로(白露)
한자: 白(흰 백), 露(이슬 로)
날짜: 양력 9월 7일 또는 9월 8일
시기: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
풀이: 이슬이 내리기 시작함
백로 뜻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다. 백로는 밤에 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내려가 풀잎에 이슬이 맺힌다는 의미이다. 이 무렵에는 보통 맑은 날씨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지나가는 태풍이 농사에 심대한 타격을 주는 경우도 있다. 농가에서는 백로에 바람이 불면 벼농사에 좋지 않다고 여기기도 한다.
추분(秋分)
한자: 秋(가을 추), 分(나눌 분)
날짜: 양력 9월 23일 또는 9월 24일
시기: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
풀이: 밤이 길어지기 시작함
추분 뜻 추분은 춘분처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시기’로 황도와 적도가 교차하는 때이다. 이 날부터 밤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추분에 부는 바람을 보고 내년 농사를 점치기도 한다.
한로(寒露)
한자: 寒(찰 한), 露(이슬 로)
날짜: 양력 10월 8일 또는 10월 9일
시기: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
풀이: 찬 이슬이 맺힘
한로 뜻
한로는 ‘차가운 이슬’이라는 뜻으로 날씨가 점점 선선해져 이슬이 서리로 변하기 직전이다. 기온이 더 떨어지기 전에 추수를 마무리해야하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타작이 한창인 시기이다. 여름 철새와 겨울 철새가 교체되는 때이기도 하다.
상강(霜降)
한자: 霜(서리 상), 降(내릴 강)
날짜: 양력 10월 23일 또는 10월 24일
시기: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
풀이: 서리가 내림
상강 뜻
상강은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보통 낮에는 화창한 날씨가 지속되지만 밤 기온이 낮아져 매우 쌀쌀해지며 모든 추수가 마무리가 되어 겨울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지역에 따라 첫 얼음이 어는 경우도 있으며 단풍구경을 가기 좋은 때이다.
겨울의 절기
입동(立冬)
한자: 立(설 입), 冬(겨울 동)
날짜: 양력 11월 7일 또는 11월 8일
시기: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
풀이: 겨울의 시작을 알림
입동 뜻
입동은 ‘겨울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겨울 채비를 시작하는 시기이다. 또한, 입동 무렵은 땅이 얼어붙는 시기라고 여기기도 했다. 예전에는 입동 무렵이 김장철로 김장을 시작하는 시기였으나 갈수록 김장 시기는 늦춰지는 추세이다. 그리고 보통 입동의 날씨가 추우면 그 해 겨울은 추울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소설(小雪)
한자: 小(작을 소), 雪(눈 설)
날짜: 양력 11월 22일 또는 11월 23일
시기: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
풀이: 첫 눈이 내리고 얼음이 얼기 시작
소설 뜻
소설은 ‘작은 눈’이라는 뜻으로, 첫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농사가 잘 된다는 믿었기 때문에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는 속담이 있기도 하다. 소설 무렵부터 바람이 차가워지고 날씨가 추워지기 때문에 예전에는 소설 전에 김장을 마무리해야 했다.
대설(大雪)
한자: 大(큰 대), 雪(눈 설)
날짜: 양력 12월 7일 또는 12월 8일
시기: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
풀이: 눈이 많이 내림
대설 뜻
대설은 ‘큰 눈’이라는 뜻으로, 눈이 많이 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설 무렵은 농가의 일이 없는 농한기로서 이전에 추수한 곡식으로 겨울을 나기 시작한다. 대설에 눈이 오면 이듬해에 풍년이 들고, 푸근한 겨울을 난다는 믿음이 있으나 시기적으로 눈이 많이 오는 때가 아니므로 눈이 오는 경우는 드물다.
동지(冬至)
한자: 冬(겨울 동), 至(이를 지)
날짜: 양력 12월 21일 또는 12월 22일
시기: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
풀이: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
동지 뜻
동지는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다. 참고로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이다. 이 날 이후로 하지(夏至)가 될 때까지 밤의 길이는 계속 짧아진다. 동지에 날씨가 따뜻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죽고,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든다는 믿음이 있었다.
소한(小寒)
한자: 小(작을 소), 寒(찰 한)
날짜: 양력 1월 5일 또는 1월 6일
시기: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
풀이: 겨울 중 가장 추운 시기
소한 뜻
소한은 ‘작은 추위’라는 의미이지만, 실제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추운 시기이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라는 속담이 있을 만큼 24절기 중에서 우리나라 기준으로는 가장 춥다고 인식되고 있다. 예전에는 소한부터 입춘(立春) 전까지는 강추위를 대비해서 충분한 땔감을 준비해놓는 등 혹한에 대비하곤 했다.
대한(大寒)
한자: 대(큰 대), 寒(찰 한)
날짜: 양력 1월 20일 또는 1월 21일
시기: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
풀이: 겨울의 큰 추위
대한 뜻
대한은 ‘큰 추위’라는 뜻으로, 대한도 춥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소한보다는 덜 추운 경우가 많다. 24절기는 예전 중국의 화북 지방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당시 중국에서는 대한이 가장 추운 날이었으나 지금의 한국에는 정확하게 들어맞지는 않는다. 24절기 중 마지막 24번째 절기로이기도 하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라는 속담과 같이 24절기 중에서는 보통 소한이 가장 추운 날로 인식되고 있다.
※ 24절기표
※ 참고.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 날
24절기와 혼동할 수 있는 명절 또는 잡절도 있다.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 것(24절기가 아닌 날)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도록 하자.
2019/04/02 - [알쓸신잡/흥미로운 지식] -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 명절/잡절과 날짜
'알쓸신잡 > 흥미로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법. 삼십육계(36계)란? (cf. 삼십육계 줄행랑 뜻) (0) | 2019.04.08 |
---|---|
국가재난사태 선포와 특별재난지역 선포 차이점 (0) | 2019.04.05 |
24절기에 포함되지 않는 명절/잡절과 날짜 (0) | 2019.04.02 |
대북 경계 태세 용어, 데프콘, 워치콘, 진돗개, 인포콘 차이 (0) | 2019.03.23 |
예비군 연차별 훈련(동원, 일반, 기본, 동미참, 작계훈련) (0) | 2019.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