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흥미로운 지식

나이를 지칭하는 용어 뜻 (50세 지천명, 40세 불혹 등), 나이 별 명칭

by 아기뼝아리 2019. 3. 8.
728x170

나이를 지칭하는 용어 뜻 (50세 지천명, 40세 불혹 등), 나이 별 명칭


공자가 논어 위평전에서 말하기를, '나는 15세가 되어서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세가 되어서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였으며, 40세가 되어서 판단에 헷갈림이 없었고, 50세가 되어서 하늘의 뜻을 알았으며, 60세가 되어서 귀로 듣는 말에 거슬림이 없었고, 70세가 되어서는 마음이 가는대로 행동하여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었다'라고 하였다.


논어 이미지


15세 - 지학 (志學)


-志 뜻 지, 學 배울 학-


지학 (志學)은 공자가 15 세가 되었을 때, 학문에 뜻을 두었다고 말하는 것에서 유래한 말로, 15 세를 가리킨다. 공교롭게도 딱 중학생의 나이로, 선생님들은 중학생들에게 '너희는 지금 공부할 때 (배움에 뜻을 둘 때)' 라고 말하면서 이 말을 하셨던 것 같다.




20세 남자 - 약관 (弱冠)


-弱 약할 약, 冠 갓 관-


약관은 예기 (禮記 - 예절 기록)에 나온 말로, "사람이 태어나 10년이 되면 유(幼 - 어릴 유) 라고 하여 배우기 시작하고, 20년이 되면 약(弱 - 약할 약) 이라고 하여, 갓을 쓴다." 는 문구에서 나온 단어로, 갓을 쓰는 나이 20세 라는 뜻이다. 10 세와 20 세를 각각 유, 약 이라고 했으니, 옛날에도 20세 까지는 어리게 본 것 같다. 그러나 갓을 쓰면서 어른 남자로서의 모습을 처음으로 갖추게 되었다는 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20세 여자 - 방년 (芳年)


-芳 꽃다울 방, 年 해 년- 


말 그대로 꽃다운 나이 라는 뜻으로, 사실 방년은 20세 전후를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래서 방년 18세 라는 말도 어딘가에서 들어봤을 것이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약관과 방년은 20살 남,녀에게 교차해서 쓸 수도 있을 것이다. 20 세는 취업 또는 고등 교육 과정을 통과하게 되면서 사회로 진출하게 되고, 아직 어리면서도 한 독립적인 성인으로 세워져 나가는 그 첫 단추라는 점에서 남, 녀 예외가 없을 것이고, 꽃다운 나이라는 뜻의 방년은, 남, 녀 모두 여리 여리하고 예쁜 나이인 20세를 가리킬 수 있기 때문이다.




30세 - 이립 (而立)


-而 말 이을 이, 立 설 립-


이립은 논어에서 공자가 서른 살에 자립했다고 말한 데서 비롯되었다. 혹은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는 말로도 바꿀 수 있는데,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전자가 더 와 닿는 것 같다. 경제가 어려워서 30 세가 된다고 해도 자립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결혼 또는 직장생활로 사는 곳을 옮기거나,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살게 되는 비율이 20대에 비해서는 높을 것이기 때문이다.


40세 - 불혹 (不惑)


-不 아니 불, 惑 미혹할 혹-


논어에 따르면, 공자는 40 세가 되어서는 세상사에 미혹 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만큼 판단력이 생기면서 결단력 또는 뚝심이 생겼다는 뜻인 것 같다. 40 대가 되면 고집이 생기고 자신만의 가치관이 형성되어 고착화되기 쉬운 나이인 것 같다. 혹자는 이를 꼰대라고 부르지만, 흔들림이 없고, 분명한 가치관이 있다는 것은 잘못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50세 - 지천명 (知天命)


-知 알 지, 天 하늘 천, 命 목숨 명-


공자는 논어에 말하기를, 50 세가 되어 하늘의 뜻을 알았다고 하는데, 50세를 가리키는 지천명은 거기서 비롯되었다. 아직 50세에 도달해 보지 않았기 때문에, 정말로 50 세가 되면 하늘의 뜻을 알게 되는지는 말할 수 없으나, 15세에 학문의 뜻을 세우지 못한 청소년들도 많기에, 공자와 자신을 비교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스스로 한 말이니 어디까지 신뢰해야 하는지 사실 알 수도 없는 노릇이고, 50 세가 된들 사람의 뜻도 모르겠는데, 하늘의 뜻을 알 수 있겠는가? 하지만 사람들을 만나 보니, 나이 많은 사람은 그동안의 경험치 때문인지 모르겠으나, 나이빨 이라는 거 무시 못하겠더라. 




60세 - 이순 (耳順)


-耳 귀 이, 順 순할 순-


이순은 60세를 가리키는 말로, 논어에서 공자가 "60 세가 되어 귀가 순해졌다" 고 말한 데서 비롯된 단어이다. 귀가 순해졌다는 말은 그만큼 이해심과 포용력이 생겨서 누가 무슨 말을 하든지 마음의 거슬림 없이 들어줄 수 있는 경지를 가리킨다. 60 세가 되면 완고했던 사람도 한 풀 너그러워지는 것 같기도 하다.


70세 - 고희 (古稀) 또는 종심 (従心)


-古 옛 고, 稀 드물 희-


드물다 라는 뜻을 가진 고희는 70세를 가리키는 말로, 평균 수명이 오늘날에 비해 짧았던 옛날에는, 사람이 70세까지 사는 것은 드물며, 축하할 일이라고 생각한 데서 온 말이다.


-從 따를 종, 心 마음 심-


말 그대로 마음을 따른다는 뜻의 종심은 70세를 가리키는 말로, 공자가 "나는 70세에 마음이 가는 대로 따라 행동해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었다" 라고 말하는 논어의 구절에서 비롯된 말이다. 




77세 - 희수 (喜壽)


-喜 기쁠 희, 壽 목숨 수-


고희와 같은 맥락인데, 희수는 기쁜 나이라는 뜻으로, 77 세까지 오래 살아 드문 것을 넘어서서 기쁘다는 뜻을 담고 있다.


*80세부터는 그 당시 사람들은 80까지 사는 일이 드물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는 없던 말로, 일본의 영향을 받으면서, 장수에 관심이 많았던 일본 전통에서 비롯된, 일본어 한자에서 차용된 말들이 많습니다. 여기에는 한자로 표현한 말장난 표현들이 많습니다.


80세 - 산수 (傘壽)


-傘 우산 산, 壽 목숨 수-


80세를 가리키는 산수는 사실 어떤 의미가 있기 보다는 한자어의 말장난 또는 배열에 기인한 말입니다. 산수의 우산 산 (傘)은 일본어 약식으로 표기하면 仐 로 쓸 수 있는데, 위의 삿갓 모양이 여덟 팔 (八) 모양이며, 아래의 십자 모양이 열 십 (十) 모양이라, 팔십 (八十) 세라는 뜻으로 쓰인 것이다.


88세 - 미수 (米壽)


-米 쌀 미, 壽 목숨 수-


88세를 가리키는 미수 역시, 쌀 미 (米) 를 자세히 살펴보면 윗 부분에 여덟 팔 (八)이 거꾸로 걸려 있고, 가운데에 열 십 (十)이 있으며, 아래에 여덟 팔 (八) 이 들어 있어, 팔십팔 (八十八) 세를 의미 한다.




90세 - 졸수 (卒壽)


-卒 군사 졸, 壽 목숨 수-


90세를 가리키는 졸수라는 단어에서, 군사 졸 (卒)의 속자를 풀어 쓰게 되면, 아홉 구 (九) 와 열 십 (十)이 나오기 때문에 90 세를 졸수라고  한다.


91세 - 망백 (望百)


-望 바랄 망, 百 일백 백-


91세를 가리키는 망백이라는 단어는 100을 바란다 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99세 - 백수 (白壽)


-白 흰 백, 壽 목숨 수-


99세를 가리키는 백수라는 표현에서, 흰 백 (白) 이라는 글자는 일백 백 (百)에서 한 일 (一)을 빼서 만들어진 글자로, 100에서 1을 빼면 99가 되므로, 백수가 99세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100세 - 상수 (上壽)


-上 위 상, 壽 목숨 수-


100세를 가리키는 상수라는 말은, 100 세가 사람이 누릴 수 있는 최상의 수명이라는 뜻에서 온 말이다.




120세 - 천수 (天壽)


-天 하늘 천, 壽 목숨 수-


천수는 120세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이는 사람의 힘으로 살 수 있는 수명이 아닌, 타고나야만 살 수 있는 수명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