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

[원숭이 한자성어] 원숭이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14가지

by 아기뼝아리 2021. 5. 20.

[원숭이 한자성어] 원숭이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14가지

원숭이사자성어
원숭이 사자성어

원숭이(猶/猿/狙/猴) 사자성어

1. 견원지간(犬猿之間)

한자: 犬(개 견), 猿(원숭이 원), 之(갈 지), 間(사이 간)

뜻: 개와 원숭이의 사이 ▶ 둘의 사이가 매우 나쁜 관계

= 견묘지간(犬猫之間): 개와 고양이의 사이

= 견원(犬猿): 개와 원숭이

= 불공대천지원수(不共戴天之怨讐): 함께 하늘을 이지 못하는 원수

= 불구대천지원수(不俱戴天之怨讐): 함께 하늘을 이지 못하는 원수

= 빙탄불상병(氷炭不想竝): 얼음과 숯은 함게 어울릴 수 없다

=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얼음과 숯은 서로 용납하지 못한다

= 빙탄지간(氷炭之間): 얼음과 숯의 사이

=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 물과 불은 서로 용납하지 못한다

= 유여수화(有如水火): 마치 물과 불 같다

 

2. 농조함원(籠鳥檻猿)

한자: 籠(새장 농), 鳥(새 조), 檻(우리 함), 猿(원숭이 원)

뜻: 새장에 든 새와 우리에 갇힌 원숭이 ▶ 속박되어 자유를 빼앗기다

 

3. 단장지애(斷腸之哀)

한자: 斷(끊을 단), 腸(창자 장), 之(갈 지), 哀(슬플 애)

뜻: 창자가 끊어질 것 같은 슬픔 ▶ 자식을 잃은 부모의 슬픔

 

→ 참고. 모원단장(母猿斷腸)

 

 

4. 마상봉후(馬上封侯)

한자: 馬(말 마), 上(위 상), 封(봉할 봉), 侯(원숭이 후)

뜻: 말 위에 올라탄 원숭이 모양의 도자기 ▶ 중국에서 승진과 영전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주고받던 선물

 

5. 모원단장(母猿斷腸)

한자: 母(어미 모), 猿(원숭이 원), 斷(끊을 단), 腸(창자 장)

뜻: 어미 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지다 ▶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은 큰 슬픔

= 단장(斷腸): 창자가 끊어질 것 같은 큰 슬픔

= 단혼(斷魂): 넋이 끊어질 것 같은 큰 슬픔

 

→ 동진의 《환온》이 촉땅을 정벌하는 길에 병사 하나가 새끼 원숭이를 사로 잡아 배에 태웠다. 그러자 어미 원숭이가 슬피 울며 백여 리를 따라오다가 배에 뛰어 올랐으나 힘이 다해 그만 죽고 말았다. 병사들이 어미 원숭이의 배를 갈라보니 창자가 토막토막 끊어져 있었다.

 

6. 목후이관(沐猴而冠)

한자: 沐(머리감을 목), 猴(원숭이 후), 而(말이을 이), 冠(갓 관)

뜻: 원숭이가 관을 쓰다 ▶ 겉은 훌륭하나 실질이 따르지 못한다

 

→ 참고. 초인목후이관(楚人沐猴而冠)

 

7. 심원의마(心猿意馬)

한자: 心(마음 심), 猿(원숭이 원), 意(뜻 의), 馬(말 마)

뜻: 마음은 원숭이와 같고 생각은 말과 같다 ▶ 세속의 번뇌와 정욕으로 인해 흐트러진 마음을 억누를 수 없다

 

→ 마음의 원숭이는 가만히 있지 못하고 생각의 말은 이리저리로 뛰어다닌다

 

 

8. 원비지세(猿臂之勢)

한자: 猿(원숭이 원), 臂(팔 비), 之(갈 지), 勢(형세 세)

뜻: 원숭이 팔의 형세 ▶ 형세가 좋을 때는 진격하고, 형세가 불리할 때는 퇴각하며 군대의 진퇴를 자유롭게 한다

 

→ 긴팔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원숭이와도 같다

 

9. 원후취월(猿猴取月)

한자: 猿(원숭이 원), 猴(원숭이 후), 取(취할 취), 月(달 월)

뜻: 원숭이가 달을 잡다 ▶ 욕심에 눈이 어두워 분수에 넘치는 일을 하려다가 화를 입다

 

→ 참고. 착월선후(捉月獮猴)

 

10. 의마심원(意馬心猿)

한자: 意(뜻 의), 馬(말 마), 心(마음 심), 猿(원숭이 원)

뜻: 생각은 말과 같고 마음은 원숭이와 같다 ▶ 세속의 번뇌와 정욕으로 인해 흐트러진 마음을 억누를 수 없다

 

→ 참고. 심원의마(心猿意馬)

 

11. 조삼모사(朝三暮四)

한자: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뜻: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 ①자기의 이익을 위해 남을 속여서 농락하다 ②눈앞의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

= 조삼(朝三): 아침에 세 개

 

→ 《저공》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여러 마리 기르고 있었다. 그런데 살림이 어려워져서 먹이를 넉넉하게 주기 힘들어지자 저공이 원숭이에게 말했다. "먹이를 아침에 3개 주고, 저녁에 4개 주겠다." 그러자 원숭이들은 화를 냈다. 이에 저공이 말했다. "그러면 먹이를 아침에 4개 주고 저녁에 3개를 주겠다." 이 말을 들은 원숭이들이 기뻐했다.

 

12. 착월선후(捉月獮猴)

한자: 捉(잡을 착), 月(달 월), 獮(죽일 선), 猴(원숭이 후)

뜻: 달을 잡으려다가 원숭이가 죽다 ▶ 욕심에 눈이 어두워 분수에 넘치는 일을 하려다가 화를 입다

 

→ 원숭이들이 사는 나무 밑의 우물에 달이 비치자 원숭이들이 달을 잡으려다가 나뭇가지가 부러져서 모두 죽고 말았다

 

 

13. 초인목후이관(楚人沐猴而冠)

한자: 楚(초나라 초), 人(사람 인), 沐(머리감을 목), 猴(원숭이 후), 而(말이을 이), 冠(갓 관)

뜻: 초나라 사람은 원숭이의 무리이면서 갓을 쓰고 있다 ▶ 겉만 훌륭하고 실질이 따르지 못한다(→ 초나라에 대한 모욕적인 말)

 

→ 초나라 《항우》가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함양을 불살라버린 후, 고향으로 돌아가려했다. 《한생》은 관중 땅은 중요한 지역이라며 만류했지만 항우가 이를 무시했다. 그러자 한생이 한탄했다. "초나라 사람은 원숭이가 갓을 쓰며 사람행세를 하는 것과 같다더니 과연 그렇구나." 나중에 항우는 이 의미를 알고 격노하여 한생을 삶아 죽였다.

 

14. 호손입포대(胡孫入布袋)

한자: 胡(오랑캐 호), 孫(자손 손), 入(들 입), 布(베 포), 袋(자루 대)

뜻: 원숭이가 포대 속으로 들어가다 ▶ 행동이 제약을 받아 자유롭지 못한 상태가 되다(→ 호손: 원숭이를 이르는 말)

 

※참고. 개에 관한 사자성어

개(犬,狗) 사자성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