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흥미로운 지식

[구개음화] 뜻과 규칙, 사례/예외

by 아기뼝아리 2020. 4. 3.

[구개음화] 뜻과 규칙, 사례/예외

 

구개음화사례
구개음화 규칙과 사례

구개음화란?

① 받침이 《ㄷ, ㅌ》인 형태소 뒤에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ㅈ, ㅊ》이 되는 현상

② 받침이 《ㄷ》인 형태소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오면,《ㅎ》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ㅌ》이 《ㅊ》이 되는 현상

 

→ 쉽게 말해서 구개음화(口蓋音化)란 말의 뜻은, '구개음'이 아닌 《ㄷ, ㅌ》이 구개음인 《ㅈ, ㅊ》으로 바뀐다는 뜻이다.

→ 반드시 조사, 접미사와 같은 형식 형태소가 와야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참고. 용어설명

· 형태소: 뜻이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

· 형식 형태소: 실질 형태소에 붙어 주로 말과 말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형태소이다. 조사나 접미사가 형식 형태소에 해당한다.

· 실질 형태소: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형태소이다. 실질적인의미를 나타낸다. 예컨대 '어머니께서 노래를 부르셨다.'에서 실질형태소는 '어머니', '노래', '부르'이다.

· 반모음: 모음처럼 발음하지만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소리

· 반모음 《ㅣ[j]》가 들어가는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등》

· 구개음: 《ㅈ, ㅊ, ㅉ 등》

 

 

구개음화 예시/사례

《'ㄷ '+ 'ㅣ' → 'ㅈ'》

가을걷이【가을거지】

곧이【고지】

곧이듣다【고지듣다】

굳이【구지】

등받이【등바지】

땀받이【땀바지】

맏이【마지】

맏이다【마지다】

미닫이【미ː다지】

쓰레받이【쓰레바지】

여닫이【여ː다지】

총알받이【총알바지】

턱받이【턱빠지】

해돋이【해도지】

 

《'ㅌ' + 'ㅣ' → 'ㅊ'》

같이【가치】

겉이【거치】

끝이【끄치】

끝이다【끄치다】

낱낱이【난ː나치】

땡볕이【땡벼치】

맡이다【마치다】

밑이【미치】

밭이【바치】

밭이다【바치다】

벼훑이【벼훌치】

볕이【벼치】

붙여【부처】

붙여서【부처서】

붙여쓰기【부처쓰기】

붙이다【부치다】

솥이【소치】

쇠붙이【쇠부치/쉐부치】

팥이【파치】

피붙이【피부치】

핥이다【할치다】

햇볕이【핻뼈치】

훑이기【훌치기】

훑이다【훌치다】

 

 

《'ㄷ' + '히' → 'ㅊ'》

갇히다【가치다】

걷히다【거치다】

굳히다【구치다】

닫히다【다치다】

돋히다【도치다】

묻히다【무치다】

받히다【바치다】

뻗히다【뻐치다】

 

※구개음화 반모음 예시

갇혀【가쳐 → 가처】

갇혀서【가처서】

걷혀【거쳐 → 거처】

걷혀서【거처서】

굳혀【구쳐 → 구처】

굳혀서【구처서】

닫혀【다쳐 → 다처】

닫혀서【다처서】

돋혀【도쳐 → 도처】

돋혀서【도처서】

묻혀【무쳐 → 무처】

묻혀서【무처서】

받혀【바쳐 → 바처】

받혀서【바처서】

 

 

《구개음화 예외》

※구개음화가 아닌 경우

겉으로【거트로(O)】/【거츠로(X)】

곧이어【고디어】

끝인사【끄딘사】

끝일【끈닐】

낱이삭【난ː니삭】

맏형【마텽】

밭에【바테(O)】/【바체(X)】

밭으로【바트로(O)】/【바츠로(X)】

밭은【바튼(O)】【바츤(X)】

밭을【바틀(O)】【바츨(X)】

밭이랑【반니랑】

밭일【반닐】

솥으로【소트로(O)】/【소츠로(X)】

얻어【어더】

팥은【파튼(O)】/【파츤(X)】

햇볕에서【핻뼈테서】

햇볕을【핻뼈틀(O)】/【핻뼈츨(X)】

홑이불【혼니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