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흥미로운 지식

세속오계 삼강오륜 차이, 향약 4대 덕목

by 아기뼝아리 2019. 6. 16.

세속오계 삼강오륜 차이, 향약 4대 덕목

 

세속오계삼강오륜향약
세속오계, 삼강오륜, 향약4대덕목

세속오계(世俗五戒)

世(인간 세), 俗(풍속 속), 五(다섯 오), 戒(경계할 계)

세속오계란, 신라 화랑의 5가지 계율이다.

신라 26대 진평왕 때 귀산과 추항이라는 두 청년이 중국 수나라에 유학을 다녀온 승려 원광(圓光)에게 평생 마음에 새길 가르침을 구하자 그들에게 5가지 계율을 제시하였다. 이후 세속오계는 화랑도의 신조가 되어 신라 화랑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신라가 삼국 통일을 하는데 기여했다. 세속오계에는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교우이신(交友以信),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이 있다.

 

 

세속오계(世俗五戒)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교우이신(交友以信)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

 

세속오계
세속오계

사군이충(事君以忠)

사군이충(事君以忠)

事(섬길 사), 君(임금 군), 以(써 이), 忠(충성 충)

뜻: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긴다.

 

사친이효(事親以孝)

사친이효(事親以孝)

事(섬길 사), 親(친할 친), 以(써 이), 孝(효도 효)

뜻: 효도로써 부모를 섬긴다.

 

교우이신(交友以信)

교우이신(交友以信)

交(사귈 교), 友(벗 우), 以(써 이), 信(믿을 신)

뜻: 믿음으로써 벗을 사귄다.

 

임전무퇴(臨戰無退)

임전무퇴(臨戰無退)

臨(임할 임), 戰(싸움 전), 無(없을 무), 退(물러날 퇴)

뜻: 전투에 임해서 물러남이 없다.

 

 

살생유택(殺生有擇)

살생유택(殺生有擇)

殺(죽일 살), 生(살 생), 有(있을 유), 擇(가릴 택)

뜻: 살생할 때는 가림이 있어야 한다.

 

삼강오륜(三綱五倫)

三(석 삼), 綱(벼리 강), 五(다섯 오), 倫(인륜 륜)

삼강오륜이란 유교 도덕사상에서 바탕이 되는 3가지의 강령과 5가지의 인륜을 이르는 말이다.

중국 전한시대 때의 동중서(董仲舒)가 공자와 맹자의 사상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데서 유래된 것으로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오랫동안 마땅히 지켜야할 사회적 기본 윤리로 인식되어 왔으며 지금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도덕 강목이다. 삼강오륜에는 삼강인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이 있고, 오륜인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이 있다.

 

삼강(三綱)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

 

삼강
삼강

군위신강(君爲臣綱)

군위신강(君爲臣綱)

君(임금 군), 爲(할 위), 臣(신하 신), 綱(벼리 강)

뜻: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된다.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자강(父爲子綱)

父(아비 부), 爲(할 위), 子(아들 자), 綱(벼리 강)

뜻: 부모는 자식의 벼리가 된다.

 

부위부강(夫爲婦綱)

부위부강(夫爲婦綱)

夫(남편 부), 爲(할 위), 婦(아내 부), 綱(벼리 강)

뜻: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된다.

 

※참고. 벼리

벼리 뜻은 그물 위쪽에 코를 꿰어 그물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만든 굵은 줄이다. 이는 벼리에 따라 그물이 움직이고 통제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임금과 신하의 관계에 대입하면 임금은 신하를 관리하고 통제하며, 신하는 그에 따라야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오륜(五倫)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

 

오륜
오륜

부자유친(父子有親)

부자유친(父子有親)

父(아비 부), 子(아들 자), 有(있을 유), 親(친할 친)

뜻: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군신유의(君臣有義)

군신유의(君臣有義)

君(임금 군), 臣(신하 신), 有(있을 유), 義(옳을 의)

뜻: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한다.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유별(夫婦有別)

夫(남편 부), 婦(아내 부), 有(있을 유), 別(나눌 별)

뜻: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 한다.

 

장유유서(長幼有序)

장유유서(長幼有序)

長(어른 장), 幼(어릴 유), 有(있을 유), 序(차례 서)

뜻: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서열이 있어야 한다.

 

붕우유신(朋友有信)

붕우유신(朋友有信)

朋(벗 붕), 友(벗 우), 有(있을 유), 信(믿을 신)

뜻: 친구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삼강오륜
삼강오륜

향약(鄕約) 4대 덕목

향약이란 향촌규약의 줄임말로 조선 시대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자치규약이다.

향약은 지역마다 조금씩 성격과 내용에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핵심적인 근본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향약의 4대 덕목(4대 강령)을 강조한다. 이러한 향약은 원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상류층이 서민층을 지배하고 착취하는 수단으로 변질되기도 했다. 향약 4대 덕목에는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이 있다.

 

 

향약 4대 덕목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相恤)

 

향약4대덕목
향약4대덕목

덕업상권(德業相勸)

德(덕 덕), 業(업 업), 相(서로 상), 勸(권할 권)

뜻: 좋은 일은 서로 권한다.

 

과실상규(過失相規)

過(지날 과), 失(잃을 실), 相(서로 상), 規(법 규)

뜻: 잘못은 서로 규제한다.

 

예속상교(禮俗相交)

禮(예도 예), 俗(풍속 속), 相(서로 상), 交(사귈 교)

뜻: 예의범절에 관한 풍속으로 서로 사귄다.

 

 

환난상휼(患難相恤)

患(근심 환), 難(어려울 난), 相(서로 상), 恤(불쌍할 휼)

뜻: 어려운 일은 서로 돕는다.

 

세속오계삼강오륜차이
세속오계, 삼강오륜, 향약 차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