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지고사성어12

[육적회귤(陸績懷橘)]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육적회귤(陸績懷橘)]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육적회귤이란? 뜻: 육적이 귤을 품다 → '지극한 효성'을 이르는 말 육적회귤 유래 중국 후한 말기, 관료였던 《육적》의 어린 시절의 일화이다. 육적이 6세 때, 구강에서 《원술》을 만났는데, 원술이 먹으라며 귤을 내어 주자 육적은 그 중의 세 개를 먹지 않고 몰래 가슴에 품어서 숨겼다. 나중에 집으로 돌아가면서 작별인사를 올리다가 그만 품고 있던 귤을 떨어뜨리고 말았다. 그러자 원술이 물었다. - 육랑은 손님으로 와서 어찌하여 귤을 품은 것인가? - 돌아가서 어머님께 드리려고 했습니다. 그러자 원술이 그를 매우 기특하게 여겼다. ※이 일화는 이십사효(二十四孝), 즉 중국의 대표적인 효자 24명 일화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육적회귤(陸績懷橘) 한자 육.. 2021. 12. 18.
['선견지명'이란?] 선견지명(先見之明) 뜻과 유래 ['선견지명'이란?] 선견지명(先見之明) 뜻과 유래 선견지명이란? 뜻: 미리 내다보는 밝은 지혜 → 현재 상황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여 대처하는 지혜 선견지명 유래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양수》는 재주가 뛰어났으나 《조조》의 심기를 거슬러 죽임을 당하고 말았다했다. 나중에 조조가 양수의 부친인 《양표》를 만나서 눈에 띄게 수척해진 모습에 놀라며 그 이유를 물었다. - 【조조】 ▶ 공께서는 어찌 그토록 야윈 것이오? - 【양표】 ▶ 저는 한무제의 충신인 《김일제》와 같은 『앞을 미리 내다보는 현명함 → 선견지명(先見之明)』이 없고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는 것과 같은 사랑하는 마음만 있을 뿐입니다. 그러자 이 말을 들은 조조의 안색이 바뀌었다. ※김일제(金日磾) 그는 흉노족의 태자로, 한나라와 끝까지 싸우.. 2021. 10. 14.
['독서백편의자현'이란?] 독서백편의자현 뜻과 유래 ['독서백편의자현'이란?] 독서백편의자현 뜻과 유래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뜻: 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 → 학문을 열심히 탐구하면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다 독서백편의자현 유래 중국 후한 말기, 《동우》라는 학문이 뛰어난 학자가 있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제자가 되려고 그를 찾아왔으나 그 때마다 그는 이렇게 말하곤 했다. - 『책을 백 번 읽으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 ▶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 먹고 살기 힘들어서 책 읽을 겨를이 없습니다. - '세 가지 여가'만 있으면 충분하다. '겨울'은 한 해의 여가 이고, '밤'은 하루의 여가이고 '비 오는 시간'은 한 때의 여가이다. 이 세 가지를 적절하게 이용한다면 누구나 책을 읽을 수 있다. ※참고. 독서삼여(.. 2021. 9. 30.
[식소사번(食少事煩)]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식소사번(食少事煩)]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식소사번이란? 뜻: 먹는 것은 적은데 할 일이 많다. 풀이: 건강을 돌보지 않고 바쁘게 일하다. → 삼국지에서 위나라의 사마의가 촉한의 제갈량을 두고 한 말이다. 식소사번 유래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승상 《제갈량》은 위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북벌에 나섰다. 제갈량은 《사마의》를 전장으로 끌어내서 빠르게 승패를 결정지으려 했으나 사마의는 장기전을 선택하여 굳게 지키며 나서지 않았다. 그렇게 양측이 서로 대치하는 상황에서 제갈량이 사자를 보내자 사마의는 사자에게 제갈량의 근황에 대해 물었다. - 공명(제갈량)이 먹고 자는 것은 어떻소? 그리고 그가 처리할 일들이 많지는 않소? - 승상께서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밤 늦게 주무십니다. 그리고 곤장 20대 이상.. 2021. 3. 25.
[낭중취물/탐낭취물]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낭중취물/탐낭취물]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낭중취물이란? 뜻: 주머니 속의 물건을 꺼내다. 풀이: 매우 쉬운 일 또는 쉽게 얻을 수 있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낭중취물(囊中取物), 탐낭취물(探囊取物), 탐낭중물((探囊中物), 탐낭중지물(探囊中之物) 모두 동일한 말이다. 낭중취물 유래 ※보통, 낭중취물은 삼국지연의에서 관우가 장비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서 등장하는 고사성어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보다 앞선 등장한다. ⅰ) 중국 오대시대, 《한희재》가 남쪽 오나라로 쫓겨나게 되자, 그와 친하게 지내던 《이곡》이 술자리를 마련했다. 술자리가 무르익고 떠날 때가 되자 한희재가 말했다. - 만일, 강남에서 나를 재상으로 삼는다면 나는 바로 쳐들어와서 중원을 빼앗아버리겠소. 그러자 이곡이 대답했.. 2020. 10. 29.
[좌고우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좌고우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좌고우면 뜻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곁눈질하다. → 무엇을 결정하지 못하고 주변의 눈치를 보며 망설인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좌고우면 한자 좌(左): 왼 좌 고(顧): 돌아볼 고 우(右): 오른 우 면(眄): 곁눈질할 면 좌고우면 유래 좌고우면(左顧右眄)은 《조식(曹植)》이 《오질(吳質)》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삼국지 조조(曹操)의 아들 조식은 오질에게 보내는 편지인 '여오계중서(與吳季重書)'에서 오질에 대한 칭찬을 늘어놓으면서 오질의 자신감이 넘치는 모습을 '좌고우면'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곁눈질해보아도 마치 앞에 사람이 없는 듯이 한다.(左顧右眄 謂若無人)' 이처럼 좌고우면은 원래 좌우를 바라보며 자신만만.. 2020. 8. 24.
낙필점승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필점승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필점승이란? 뜻과 한자 낙필점승 한자 낙(落): 떨어질 낙 필(筆): 붓 필 점(點): 점 점 승(蠅): 파리 승 낙필점승 뜻 붓이 떨어진 곳에 파리를 그리다. → 화가의 훌륭한 솜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낙필점승 유래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에 《조불흥》이라는 화가가 있었다. 그는 그림 실력이 매우 뛰어나 지금도 '육조의 4대 화가'로 칭송받고 있다. 어느 날, 《손권》이 그에게 병풍에 그림을 그려달라고 했는데, 실수로 붓을 떨어뜨려 병풍에 점이 찍혔다. 그러자 그는 그 점을 파리로 바꾸어 그려서 그림을 완성했다. 그리고는 손권에게 완성된 작품을 바쳤는데, 손권은 그것이 살아있는 파리라고 생각하고 손을 들어 그것을 튕겨내어 쫓으려 했다. 이 일화를 통해 조.. 2020. 8. 11.
제갈량의 공성계(空城計)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제갈량의 공성계(空城計)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공성계 한자 공(空): 빌 공 성(城): 재 성 계(計): 셀 계 공성계 뜻 성을 비우는 계책 공성계 설명 공성계는 중국의 병법서 삽십육계(三十六計) 중, 32번째에 해당하는 계책이다. 일반적으로 적의 병력이 강하고, 아군의 병력이 열세일 때, 마치 방어하지 않는 것처럼 꾸며 적을 혼란에 빠뜨리게 하는 계책이다. 공성계는 수세에 몰린 싸움에서 기사회생하는 패전계(敗戰計)에 해당한다. 공성계 유래 공성계와 관련한 여러가지 기록들이 있으나, 가장 유명한 것은 제갈량의 공성계이다. 여기에서는 제갈량의 공성계를 소개하도록 한다. 공성계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 제갈량전(諸葛亮傳) 곽충오사(郭沖五事)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제갈량 공성계 ※제갈량의 공성계.. 2019. 12. 27.
비육지탄(髀肉之嘆)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비육지탄(髀肉之嘆)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비육지탄(髀肉之嘆)이란? 뜻, 한자, 해석 비육지탄 한자 비(髀): 넓적다리 비 육(肉): 고기 육 지(之): 갈 지 탄(嘆): 탄식할 탄 비육지탄 뜻 넓적다리 살을 한탄하다. → 허벅지에 살이 찐 것을 한탄하다. 비육지탄 해석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고 헛되이 세월만 보내다.(보람있는 일을 하지 못하고 허송세월하다.) 비육지탄 출전 삼국지(三國誌) 촉지(蜀志) 선주전(先主傳) 구주춘추(九州春秋)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비육지탄 유래 조조의 공격을 받은 유비는 형주의 유표에게 몸의 의탁했고 그 사이 조조는 원소를 격파하고 하북지방을 평정했다. 몇 년이 지난 후, 어느 날 유표는 유비를 불러 술자리를 함께 했다. 유비는 화장실에 갔다가 자신의 허벅지에 .. 2019. 10. 14.
칠종칠금(七縱七擒)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칠종칠금(七縱七擒)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칠종칠금(七縱七擒)이란? 뜻, 한자, 해석 칠종칠금 한자 칠(七): 일곱 칠 종(縱): 놓아줄 종 칠(七): 일곱 칠 금(擒): 사로잡을 금 칠종칠금 뜻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잡다.(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풀어주다.) 칠종칠금 해석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거나 상대방을 쥐락펴락한다는 의미이다. 칠종칠금 출전 자치통감(資治通鑑) 한진춘추(漢晉春秋) 화양국지(華陽國志)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 제갈량전(諸葛亮) ※제갈량전의 경우, 한진춘추를 인용한 배송지의 주석에 등장한다. 칠종칠금 유래 칠종칠금은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유명한 고사성어이다. 중국 삼국시대, 촉의 황제 유비가 죽고 유선이 황제에 오르자 각지에서 반란이 일.. 2019.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