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유래36

계구우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계구우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계구우후 한자 계(鷄): 닭 계 구(口): 입 구 우(牛): 소 우 후(後): 뒤 후 계구우후 뜻 닭의 부리와 소의 꼬리 →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가 되지 말라는 의미로, 큰 집단의 말단이 되는 것 보다 작은 집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계구우후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전국칠웅 중에 진나라의 힘이 점차 강해지면서 천하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이에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나머지 6개의 나라가 힘을 합쳐서 진나라에 대항해야 한다는 《합종책》과 각각의 나라가 개별적으로 진나라와 동맹을 맺어야 한다는 《연횡책》이 대두되었다. 합종책을 주장하던 《소진》은 각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군왕들을 설득하기 위해 힘썼다. 처음에 군왕들은 그의 .. 2020. 7. 29.
양호유환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호유환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호유환 한자 양(養): 기를 양 호(虎): 호랑이 호 유(遺): 남길 유 환(患): 근심 환 양호유환 뜻 호랑이를 길러 근심을 남기다. → 남의 사정을 봐주면 나중에 후회할 일이 생긴다. = 양호후환(養虎後患) 양호유환 유래 《항우》와 《유방》이 천하의 패권을 두고 다투던 때의 일이다. 전투가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항우의 병사들은 지치고 군량이 떨어졌으나 유방의 병사들은 군량이 여유가 있었다. 이에 유방은 항우에게 사람을 보내 화친을 제안했다. 이에 천하를 반으로 갈라 홍구라는 지역을 기준으로 서쪽은 한나라가 다스리고, 동쪽은 초나라가 다스리기로 했다. 항우는 협정을 맺고 포로로 잡고 있던 부모와 처자식을 돌려보낸 후, 군대를 물리고 동쪽으로 돌아갔다. 유방도.. 2020. 7. 20.
[중과부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중과부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중과부적 한자 중(衆): 무리 중 과(寡): 적을 과 부(不): 아닐 부 적(敵): 대적할 적 중과부적 뜻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 → 『적은 수로는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주로 수적으로 불리하여 이기기 힘든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많이 쓰인다. 중과부적 유래 중국 전국시대, 맹자는 여러 나라들을 다니면서 통치자의 인과 덕을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주장했다. 그러나 제나라의 선왕은 천하의 패권을 잡기 위해서는 무력을 통한 패도정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맹자는 그를 만나 이렇게 말했다. - 전하께서는 소국인 추나라와 대국인 초나라가 싸우면 어느 쪽이 이길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 물론 강대국인 초나라가 이길 것이오. - .. 2020. 6. 23.
금의야행 뜻과 유래 - 초한지 고사성어 금의야행 뜻과 유래 - 초한지 고사성어 금의야행 뜻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걷다. 금의야행 풀이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서 아무런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금의야행 한자 금(錦): 비단 금 의(衣): 옷 의 야(夜): 밤 야 행(行): 다닐 행 금의야행 출전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 한서(漢書) 항적편(項籍篇) 금의야행 유래 중국 진(秦)나라 말기, 유방(劉邦)과 항우(項羽)는 각자 다른 길로 진나라의 도읍인 함양(咸陽)으로 진격했다. 결국, 유방이 항우보다 먼저 함양에 입성했고, 진왕 자영(子孀)이 유방에게 항복하면서 진나라는 멸망했다. 얼마 후, 항우가 함양에 들어오자, 유방은 항우에게 함양을 내주고 물러섰다. 그러자 항우는 유방이 살려 준 진왕 자영을 죽이고 진나라 궁궐에 불을 지르며 수많은.. 2020. 2. 10.
파경(破鏡)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파경(破鏡)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파경(破鏡)이란? 뜻, 한자, 해석 파경 한자 파(破): 깨뜨릴 파 경(鏡): 거울 경 파경 뜻과 해석 깨진 거울 → 부부가 서로 헤어지다. 파경 출전 본사시(本事詩) 정감(情感) 태평광기(太平廣記) 양소(楊素) 파경 유래 파경은 본사시 정감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의 마지막 왕조인 진나라에 서덕언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아내는 진나라 마지막 황제의 누이, 낙창공주였다. 그런데 수나라가 점점 강해져 나라 안팎의 상황이 혼란해지자 서덕언은 진나라가 망하면 아내가 권력자의 집으로 보내져 이별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거울을 반으로 깨뜨려 반쪽은 자신이 가지고 나머지 반쪽은 아내에게 건내주며 말했다. "정월 보름날에 시장에서 .. 2019. 11. 18.
촌철살인(寸鐵殺人)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촌철살인(寸鐵殺人)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촌철살인(寸鐵殺人)이란? 뜻과 해석, 한자 촌철살인 한자촌(寸): 마디 촌철(鐵): 쇠 철살(殺): 죽일 살인(人): 사람 인 촌철살인 뜻한 치 밖에 안 되는 칼로 사람을 죽이다. 촌철살인 해석‘촌(寸)’은 길이의 단위로 한자인 ‘촌(寸) 대신 일반적으로 ‘치’ 라는 말을 많이 쓴다. 현재 한 촌은 한 자의 1/10에 해당하는 길이로 약 3.03cm에 해당하는데, 예전에는 남자 손가락 한 마디 길이 또는 손가락 한 개의 폭을 한 촌이라고 했다. ‘철(鐵)은 쇠 또는 쇠로 만든 무기를 뜻하는 한자이므로 따라서 촌철(寸鐵)이라는 말은 한 치 길이의 칼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단어 또는 경구, 말 등을 의미한다. 그래서 촌철살인은 핵심.. 2019.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