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유래36

[완벽귀조/완벽]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완벽귀조/완벽]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완벽귀조' 란? 뜻: 구슬을 온전히 조나라로 돌려보내다. 풀이: 빌렸던 물건을 온전한 상태로 원래 주인에게 돌려보내다. ※ '완벽' 또는 '완벽하다' '완벽(完璧)'이라는 말은 '완벽귀조(完璧歸趙)'라는 고사성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흠이 없는 온전한 구슬』을 뜻하며, 『결함이 없이 완전하다』는 의미이다. 완벽/완벽귀조 유래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에서 천하의 보물인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는 구슬을 손에 넣게 되자 진나라 《소양왕》은 진나라의 성 15개와 화씨벽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조나라는 강대국인 진나라의 제안을 거절하려니 진나라가 이를 핑계로 공격해 올 것이 분명했고, 구슬을 주려니 성을 받지도 못하고 구슬만 빼앗길 것 같았다. 오랜 고민 끝에 《인상.. 2020. 10. 19.
[수서양단]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수서양단]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수서양단이란? 뜻: 쥐가 머리를 내밀고 주위를 살피다. → 결정을 제대로 내리지 못하는 우유부단함이나 자신의 이득을 추구하는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수서양단 유래 중국 전한시대, 위기후 《두영(竇嬰)》과 무안후 《전분(田蚡)》이라는 황실 외척이 있었다. 하루는 큰 연회가 열려 조정의 모든 대신들이 한 자리에 모이게 되었다. 그런데 전분이 축배를 들자 모든 사람들이 호응하며 공경의 뜻을 나타냈으나 두영이 축배를 들자 몇명의 사람들만 호응할 뿐이었다. 이를 보고 있던 두영의 친구 《관부》는 불쾌한 기분을 뒤로하고 전분에게 술잔을 올렸으나 이를 무시당하고 다른 젊은 관료에게도 술을 권했으나 무시당하자 크게 화가나서 분통을 터트렸다. 그러자.. 2020. 10. 12.
[백문불여일견]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어원 [백문불여일견]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과 어원 '백문불여일견'이란? 百聞不如一見 뜻: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풀이: 무엇이든지 직접 경험해야 확실히 알 수 있다. →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이라', 이런 식의 표현을 많이 접할 수 있다. = 이문불여목견(耳聞不如目見) 백문불여일견 유래 중국 전한시대, 《조충국(趙充國)》은 젊어서부터 오랑캐들과의 여러 전투에서 많은 공훈을 세우며 장군에 임명되었다. 그가 76세가 되던 해, 강(羌)족이 변방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황제는 사람을 보내어 그에게 토벌군의 지휘관에 누구를 임명하는 것이 좋을 지 그에게 물었다. - 신을 대신할 만한 사람이 없습니다. - 장군은 강족을 어떻 계책을 써서 토벌할 것이오? 그리고 군사는 얼마나 필요.. 2020. 9. 27.
[등용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등용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등용문(登龍門)이란? 뜻: 용문에 오르다. 풀이: 출세의 관문 또는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다. 등용문 유래 후한 말, 환관의 권력이 강해져서 그 횡포가 매우 심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이응(李膺)》이라는 관리는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정의로운 삶을 살면서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 그러자 젊은 관리들 중에서 이응과 가까이 지내는 사람이 있으면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용문(龍門)에 올랐다! → 『등용문(登龍門)』 여기서 '용문'은 황하강 상류의 한 협곡 이름으로, 이곳은 급류가 심해서 통과하기가 매우 힘든 곳이다. 보통 물고기나 자라들은 이곳을 오르지 못한다. 그리고 강과 바다에서 수천 마리의 물고기들이 몰려들어도 여간해서는 용.. 2020. 9. 20.
천리안(千里眼) 유래와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천리안(千里眼) 유래와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천리안 뜻 천 리 밖을 내다 볼 수 있는 눈 → 먼 곳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아내거나 사물을 꿰뚫어 보는 뛰어난 관찰력을 이르는 말 천리안 유래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北魏)에 《양일(楊逸)》이라는 정치가가 29세에 광주자사로 부임했다. 특히 그는 백성에게 선정을 베풀면서 곳곳에 많은 감시자들을 배치하여 관리들의 비리와 잘못을 감시하게 했다. 그는 휘하에 있는 관리들이 지방으로 출장을 갈 때에는 각자가 자신의 식량을 챙겨가게 했다. 그곳 사람들이 음식을 대접하려고 하면 비록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는 곳이라고 해도 모든 관리들은 하나같이 이렇게 말했다. - 양일 자사께서는 『천리안(千里眼)』을 가지고 있으셔서 그 분을 속일 수 없습니다. 천리안 한자 천(.. 2020. 9. 12.
[쾌도난마/쾌도참난마]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쾌도난마/쾌도참난마]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쾌도난마란? 그 뜻은? 잘 드는 칼로 헝클어진 삼 가닥을 자르다. → 복잡한 사안을 신속하고 명쾌하게 처리하다. = 쾌도참난마(快刀斬亂麻) 쾌도난마 유래 중국 남북조시대, '동위'의 대승상인 《고환(高歡)》에게 아들이 여러 명 있었는데, 어느 날, 고환은 아들들의 능력과 지혜를 시험하기 위해 복잡하게 엉켜있는 삼 실타래를 주고 풀어보라고 했다. 대부분의 아들들은 열심히 집중해서 실타래를 푸느라 정신이 없었으나, 차남인 《고양(高洋)》은 칼을 뽑아서 삼 실타래를 잘라버리며 말했다. - 어지러운 것은 베어버려야 합니다. 고환은 고양의 말을 옳다고 여겼다. 훗날 고양은 '북제'의 초대 황제로 등극하게 된다. 쾌도참난마 한자 ※쾌도난마(快刀亂麻)는 쾌도.. 2020. 9. 8.
[퇴고]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퇴고]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퇴고란? 뜻과 그 유래는? 퇴고(推敲) 뜻 민다고 할지 두드린다고 할지 고민하다. → 글을 지을 때 문장을 가다듬는 것 퇴고 유래 중국 당나라 시대, 《가도》라는 사람이 과거를 보러 장안으로 가고 있었다. 그러다가 시상이 떠올라서 시를 한 수 지었다. '새는 못가의 나무에서 잠자고, 스님은 달 아래의 문을 두드리네(鳥宿池邊樹僧推月下門)' 그런데 마지막 구절에서 문을 '민다(推 → 밀 퇴)'는 표현과 문을 '두드린다(敲 → 두드릴 고)'는 표현 중에 무엇을 써야할 지를 결정하지 못해 고민이 되었다. 그렇게 고민을 하다가 마침 그곳을 지나던 경조윤 《한유》의 행차와 부딪혔다. 가도는 한유의 앞에 끌려가서 자신이 행차와 부딪힌 이유를 말했다. 그러자 한유는 가던 길.. 2020. 8. 31.
[좌고우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좌고우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좌고우면 뜻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곁눈질하다. → 무엇을 결정하지 못하고 주변의 눈치를 보며 망설인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좌고우면 한자 좌(左): 왼 좌 고(顧): 돌아볼 고 우(右): 오른 우 면(眄): 곁눈질할 면 좌고우면 유래 좌고우면(左顧右眄)은 《조식(曹植)》이 《오질(吳質)》에게 보낸 편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삼국지 조조(曹操)의 아들 조식은 오질에게 보내는 편지인 '여오계중서(與吳季重書)'에서 오질에 대한 칭찬을 늘어놓으면서 오질의 자신감이 넘치는 모습을 '좌고우면'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왼쪽을 돌아보고 오른쪽을 곁눈질해보아도 마치 앞에 사람이 없는 듯이 한다.(左顧右眄 謂若無人)' 이처럼 좌고우면은 원래 좌우를 바라보며 자신만만.. 2020. 8. 24.
[일자천금]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일자천금]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일자천금이란? 뜻과 한자 일자천금 한자 일(一): 한 일 자(字): 글자 자 천(千): 일천 천 금(金): 쇠 금 일자천금 뜻 글자 하나에 천금의 가치가 있다. → 글씨나 문장이 매우 훌륭하다. = 일자백금(一字百金) 일자천금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전국 사공자라고 불린 위나라의 신릉군, 초나라의 춘신군, 조나라의 평원군, 제나라의 맹상군은 저마다 인재를 모으는 것을 좋아하여 각자 휘하에 재주가 뛰어난 식객을 많이 거느렸다. 전국시대의 최고 강대국인 진나라의 재상 여불위도 그들을 본받아 전국의 인재들을 모아 후하게 대우하니 그 인원이 3천 명에 이르렀다. 그러자 여불위는 그의 빈객들을 모아 책을 저술하게 하니, 그 책의 이름이 '여씨춘추'이다. 그여불위는 이.. 2020. 8. 19.
[군맹무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군맹무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군맹무상 한자 군(群): 무리 군 맹(盲): 눈멀 맹 무(撫): 어루만질 무 상(象): 코끼리 상 군맹무상 뜻 여러 맹인들이 코끼리를 어루만지다. → 좁은 소견과 주관으로 사물을 잘못 판단하는 것을 이르는 말 ※맹인: 시각장애인을 이르는 말(소경, 장님, 봉사 등) ※관련 속담 - 장님 코끼리 만지는 격(만지기) - 장님 코끼리 말하듯 하다. 군맹무상 유래 군맹무상은 불교 경전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어떤 왕이 대신을 불러 코끼리 한 마리 데려와서 맹인들에게 보여주라고 했다. 대신은 왕의 명령을 받들어 맹인들에게 코끼리를 보여 주었다. 앞을 볼 수 없는 맹인들은 저마다 손으로 코끼리를 만져보았고 왕은 맹인들을 불러서 코끼리에 대해서 물어봤다. 그러자 맹인.. 2020.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