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62

계구우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계구우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계구우후 한자 계(鷄): 닭 계 구(口): 입 구 우(牛): 소 우 후(後): 뒤 후 계구우후 뜻 닭의 부리와 소의 꼬리 →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가 되지 말라는 의미로, 큰 집단의 말단이 되는 것 보다 작은 집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계구우후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전국칠웅 중에 진나라의 힘이 점차 강해지면서 천하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이에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나머지 6개의 나라가 힘을 합쳐서 진나라에 대항해야 한다는 《합종책》과 각각의 나라가 개별적으로 진나라와 동맹을 맺어야 한다는 《연횡책》이 대두되었다. 합종책을 주장하던 《소진》은 각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군왕들을 설득하기 위해 힘썼다. 처음에 군왕들은 그의 .. 2020. 7. 29.
양호유환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호유환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호유환 한자 양(養): 기를 양 호(虎): 호랑이 호 유(遺): 남길 유 환(患): 근심 환 양호유환 뜻 호랑이를 길러 근심을 남기다. → 남의 사정을 봐주면 나중에 후회할 일이 생긴다. = 양호후환(養虎後患) 양호유환 유래 《항우》와 《유방》이 천하의 패권을 두고 다투던 때의 일이다. 전투가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항우의 병사들은 지치고 군량이 떨어졌으나 유방의 병사들은 군량이 여유가 있었다. 이에 유방은 항우에게 사람을 보내 화친을 제안했다. 이에 천하를 반으로 갈라 홍구라는 지역을 기준으로 서쪽은 한나라가 다스리고, 동쪽은 초나라가 다스리기로 했다. 항우는 협정을 맺고 포로로 잡고 있던 부모와 처자식을 돌려보낸 후, 군대를 물리고 동쪽으로 돌아갔다. 유방도.. 2020. 7. 20.
[정중지와(정저지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정중지와(정저지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정중지와 한자 정(井): 우물 정 중(中): 가운데 중 지(之): 갈 지 와(蛙): 개구리 와 정중지와 뜻 우물안의 개구리 → 세상 물정이 어둡고, 생각이나 견문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정중지와 유래 황하(黃河)강의 신 하백(河伯)은 가을에 홍수가 나서 물이 불어나 강의 규모가 커지자 온 천하에서 자신이 최고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강의 흐름을 따라 동쪽으로 가서 북해 바다에 도착했다. 그런데 북해(北海) 바다는 황하강보다 훨씬 더 컸고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대했다. 이제 하백은 북해바다의 신 약(若)에게 탄식하며 말했다. - 옛 속담에, '도에 대해 조금 안다고 스스로를 대단한 사람으로 여기며 우쭐거린다'고 하더니, 바로 저를 두고 한 말.. 2020. 7. 13.
[점입가경]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점입가경]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점입가경 한자 점(漸): 점점 점 입(入): 들 입 가(佳): 아름다울 가 경(境): 지경 경 점입가경 뜻 점점 재미있는 상황으로 들어가다. → 어떤 일이나 상황이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된다. 점입가경 유래 중국 동진(東晉)에 《고개지(顧愷之)》라는 유명한 화가가 있었다. 그는 사탕수수를 좋아해서 즐겨 먹곤 했는데, 항상 맛이 없는 줄기 끝부분부터 먼저 먹고, 단맛이 강하고 맛있는 부분은 나중에 먹곤 했다. 사람들이 이것을 보고 이상하게 여겨 물어보면, 고개지는 이렇게 대답했다. - 이렇게 먹으면 갈수록 점점 더 단맛이 나기 때문입니다.(漸入佳境) 점입가경 출전 진서(晉書) 고개지전(顧愷之傳) 점입가경(漸入佳境) 원문 진서 고개지전 중에서 愷之每食甘蔗 개지매.. 2020. 7. 7.
[배중사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배중사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배중사영 한자 배(杯): 잔 배 중(中): 가운데 중 사(蛇): 뱀 사 영(影): 그림자 영 배중사영 뜻 술잔 속의 뱀 그림자 → 아무 것도 아닌 일에 쓸데없이 의심을 품고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배중사영 유래 중국 후한 말기, 《응침》이라는 지방 관리가 있었다. 주부 《두선》이 문안인사를 오자 응침은 술잔치를 베풀었다. 마침, 북쪽 벽에 붉은 활이 매달려 있었는데, 술잔에 비치니 마치 뱀처럼 보였다. 두선은 뱀인줄 알고 무서웠으나 자신보다 높은 관리가 내려준 술을 마다할 수 없었고 억지로 마셨다. 그날 이후, 두선은 가슴과 배가 끊어질 듯이 아팠고, 음식을 먹을 수 없었다. 여러가지 방법을 써봐도 병은 낫지 않고 갈수록 악화되었.. 2020. 7. 1.
[중과부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중과부적]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중과부적 한자 중(衆): 무리 중 과(寡): 적을 과 부(不): 아닐 부 적(敵): 대적할 적 중과부적 뜻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 → 『적은 수로는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주로 수적으로 불리하여 이기기 힘든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많이 쓰인다. 중과부적 유래 중국 전국시대, 맹자는 여러 나라들을 다니면서 통치자의 인과 덕을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주장했다. 그러나 제나라의 선왕은 천하의 패권을 잡기 위해서는 무력을 통한 패도정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맹자는 그를 만나 이렇게 말했다. - 전하께서는 소국인 추나라와 대국인 초나라가 싸우면 어느 쪽이 이길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 물론 강대국인 초나라가 이길 것이오. - .. 2020. 6. 23.
[양상군자]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상군자]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상군자(梁上君子) 한자 양(梁): 들보 양 상(上): 위 상 군(君): 군자 군 자(子): 사람 자 양상군자 뜻 대들보 위의 군자 → '도둑'을 점잖게 부르는 말 양상군자 유래 중국 후한 말기, 태구현이라는 지역에 진식이라는 지방관리가 있었다. 그는 청렴결백하고 인자한 성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모든 일을 공정하게 처리하여 고을 백성들을 잘 다스렸다. 어느 날 밤, 도둑 하나가 진식의 집에 들어와 천장 대들보 위에 숨어 있었다. 진식은 도둑이 있다는 것을 눈치채고 의복을 단정히 한 후, 아들과 자손을 불러놓고 다음과 같이 훈계했다. - 무릇 사람은 스스로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악한 사람도 꼭 원래부터 악한 것이 아니다. 평소의 습관이 성격으로 변해서 나.. 2020. 6. 16.
[국사무쌍]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국사무쌍]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국사무쌍(國士無雙) 한자 국(國): 나라 국 사(士): 선비 사 무(無): 없을 무 쌍(雙): 두 쌍 국사무쌍 뜻 나라의 뛰어난 인물은 둘도 없다. → 매우 뛰어난 인재를 이르는 말 국사무쌍 유래 초나라 왕 《항우》와 한나라 왕 《유방》이 천하의 패권을 두고 대립하던 때의 일이다. 한신은 원래 항우의 부하였으나 항우가 자신의 재능을 알아주지 않고 계속 자신이 올린 계책을 계속 무시하자 결국 항우를 떠나 유방의 휘하에 들어갔다. 그러자 한신의 뛰어난 재능을 알아 본 《하후영》과 《소하》는 유방에게 그를 여러 번 추천했다. 이에 유방은 한신에게 벼슬을 내리기는 했으나 그도 역시 한신을 그다지 특별하게 여기지는 않았다. 이후, 유방은 항우의 세력에 밀려 남정이라.. 2020. 6. 9.
[문전성시]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문전성시]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문전성시(門前成市) 한자 문(門): 문 문 전(前): 앞 전 성(成): 이룰 성 시(市): 저자 시 문전성시 뜻 대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 → 권세가 높거나 재물이 많아서, 시장이 들어 선 것처럼 찾아 오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는 의미이다. = 문전약시(門前若市) = 문전여시(門前如市) = 문전약시(門庭若市) 참고. 문전작라(門前雀羅) 문전성시의 반대말 문 앞에 새 그물을 쳐 놓을 정도로 사람이 없다. → 권세가 약해지면 사람들의 방문이 끊어진다. 문전성시 유래 중국 전한시대 말기, 12대 황제인 성제가 급사하며 세상을 떠나자, 그 뒤를 이어 20세의 어린 나이로 애제가 전한의 13대 황제로 등극했다. 이에 따라 조정의 실권은 모두 외척들이 장악하게 되었고,.. 2020. 6. 2.
[가정맹어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가정맹어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한자 가(苛): 가혹할 가 정(政): 다스릴 정 맹(猛): 사나울 맹 어(於): 어조사 어 호(虎): 호랑이 호 가정맹어호 뜻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 → 가혹한 정치의 폐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정맹호(苛政猛虎) 가정맹어호 유래 중국 춘추시대 말, 노나라의 실세였던 계손자는 백성들에게서 무거운 세금을 거둬들여 엄청난 부를 누리고 있었고, 백성들은 온갖 착취를 당하며 폭정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이에 환멸을 느낀 공자는 제자들과 함께 노나라를 떠나 제나라로 향했다. 어느날, 공자가 태산 근처를 지나가고 있는데, 어디선가 여자의 구슬픈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공자가 소리를 따라가보니 한 여인이 무덤.. 2020.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