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유래34

[문전성시]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문전성시]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문전성시(門前成市) 한자 문(門): 문 문 전(前): 앞 전 성(成): 이룰 성 시(市): 저자 시 문전성시 뜻 대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 → 권세가 높거나 재물이 많아서, 시장이 들어 선 것처럼 찾아 오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는 의미이다. = 문전약시(門前若市) = 문전여시(門前如市) = 문전약시(門庭若市) 참고. 문전작라(門前雀羅) 문전성시의 반대말 문 앞에 새 그물을 쳐 놓을 정도로 사람이 없다. → 권세가 약해지면 사람들의 방문이 끊어진다. 문전성시 유래 중국 전한시대 말기, 12대 황제인 성제가 급사하며 세상을 떠나자, 그 뒤를 이어 20세의 어린 나이로 애제가 전한의 13대 황제로 등극했다. 이에 따라 조정의 실권은 모두 외척들이 장악하게 되었고,.. 2020. 6. 2.
[가정맹어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가정맹어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한자 가(苛): 가혹할 가 정(政): 다스릴 정 맹(猛): 사나울 맹 어(於): 어조사 어 호(虎): 호랑이 호 가정맹어호 뜻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 → 가혹한 정치의 폐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정맹호(苛政猛虎) 가정맹어호 유래 중국 춘추시대 말, 노나라의 실세였던 계손자는 백성들에게서 무거운 세금을 거둬들여 엄청난 부를 누리고 있었고, 백성들은 온갖 착취를 당하며 폭정으로 고통받고 있었다. 이에 환멸을 느낀 공자는 제자들과 함께 노나라를 떠나 제나라로 향했다. 어느날, 공자가 태산 근처를 지나가고 있는데, 어디선가 여자의 구슬픈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공자가 소리를 따라가보니 한 여인이 무덤.. 2020. 5. 26.
[연목구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연목구어]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연목구어 한자 연(緣): 인연 연 목(木): 나무 목 구(求): 구할 구 어(魚): 물고기 어 연목구어 뜻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다. →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고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연목구어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선왕은 천하의 패권을 잡기 위해서는 전쟁을 통한 부국강병이 필수적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자 그 당시 각 나라를 돌며 왕도정치를 주장하던 맹자는 선왕를 설득하기 위해 그를 만나서 이렇게 말했다. - 전하께서는 전쟁을 일으켜서 백성들을 위태롭게 하고 다른 나라들과 원수가 되고 싶으십니까? - 그렇지 않소. 내 어찌 그것이 유쾌할 리가 있겠소? 다만, 나의 큰 뜻을 이루고 싶을 뿐이오. - 그러면 전하께서는 무.. 2020. 5. 20.
[삼인성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삼인성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삼인성호(三人成虎) 한자 삼(三): 석 삼 인(人): 사람 인 성(成): 이룰 성 호(虎): 범 호 삼인성호 뜻 사람 셋이면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 →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진실로 믿기 쉽다. = 삼인성시호(三人成市虎) 삼인성호 유래 중국 전국시대, 국가 간에 강화를 맺을 때, 그 증표로 태자를 상대 국가에 보내는 관례가 있었다. 이에 위(魏)나라 혜왕(惠王)은 조(趙)나라와 강화를 맺게 되어 태자를 보내면서 방총(龐蔥)을 수행원으로 보내려고 했다. 그러자 방총은 왕과 멀어지게 되는 것을 걱정하며 조나라로 떠나기 전에 왕을 알현한 후, 왕에게 말했다. - 한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전하께서는 그 말을 믿으실 수 있겠습니까? - 믿.. 2020. 5. 12.
[기우, 기인지우]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기우, 기인지우]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기인지우(杞人之憂) 한자 ※기우(杞憂 )와 기인지우(杞人之憂)는 같은 말이다. 기(杞): 나라이름 기 인(人): 사람 인 지(之): 갈 지 우(憂): 근심 우 기우, 기인지우 뜻 기나라 사람의 근심 → 앞일에 대한 쓸데없는 걱정 기우, 기인지우 유래 중국 춘추시대, 기나라에 한 사내가 살았다. 그런데 그는 평소에 쓸데없는 걱정을 너무 많이 해서, 늘 불안에 떨면서 하루하루를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그는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면 어디로 몸을 피해야 할 지를 고민하다가 머리가 복잡해졌다. 그래서 결국 잠도 제대로 못 자고, 밥도 제대로 못 먹을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그가 쓸데없는 걱정을 하며 몸 져 눕게 되자, 걱정이 된 그의 친구가 그를 보며 .. 2020. 5. 6.
[철면피]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철면피]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철면피(鐵面皮) 한자 철(鐵): 쇠 철 면(面): 얼굴 면 피(皮): 가죽 피 철면피 뜻 쇠처럼 두꺼운 낯가죽 → 뻔뻔하고 부끄러운 줄 모르는 사람을 이르는 말 철면피 유래 송나라에 진사 왕광원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자신의 출세를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도 가리지 않을 만큼 출세욕이 대단했다. 그리고 매를 맞고 문전박대를 당하면서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이를 본 사람들은 왕광원을 이렇게 평가했다. "광원의 낯가죽은 열 겹의 철갑을 두른 것 같구나!" 철면피 출전 북몽쇄언(北夢瑣言) 야항선(夜航船) 철면피 원문 야항선(夜航船) 중에서 進士王光遠 진사왕광원 진사(進士) 왕광원(王光遠)은 ※進士(진사): 진사시험에 합격한 사람 干索權豪無厭 간색권호무염 권호들을.. 2020. 4. 28.
[구상유취] 뜻과 유래 - 초한지 고사성어 [구상유취] 뜻과 유래 - 초한지 고사성어 구상유취(口尙乳臭) 한자 구(口): 입 구 상(尙): 오히려 상 유(乳): 젖 유 취(臭): 냄새 취 구상유취 뜻 입에서 아직 젖냄새가 난다. 구상유취 풀이 말이나 행동 따위가 어린아이처럼 유치하고 철이 없다는 뜻으로, 주로 상대를 얕잡아 볼 때 사용한다. 구상유취 유래 구상유취는 초한지 고사성어이다. 진나라가 멸망한 후,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은 천하 패권을 두고 싸웠다. 그러다 유방이 팽성전투에서 크게 패하자 유방의 휘하에 있던 위왕《표》는 부모의 병을 핑계로 돌아가서 초나라 항우 편에 붙었다. 그러자 유방은 신하인 《역이기》를 보내 표를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표는 유방이 평소 자신을 무시했다며, 유방의 제안을 거부했다. 이 일을 알게 된 유.. 2020. 4. 20.
[일망타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일망타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일망타진(一網打盡) 한자 일(一): 한 일 망(網): 그물 망 타(打): 칠 타 진(盡): 다할 진 일망타진 뜻 그물을 한 번 쳐서 전부 잡는다. 일망타진 풀이 한꺼번에 모조리 잡다. 일망타진 유래 중국 북송(北宋)시대, 4대 황제인 《인종(仁宗)》은 인자한 정치를 펼치며 많은 칭송을 받았다. 그가 황제 자리에 있는 동안에 역사에 길이 남을 뛰어난 신하들이 그를 보좌하면서 태평성대를 이루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신하들 간의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잦은 의견 충돌이 일어났고, 결국 당파가 만들어져 두 세력이 격렬하게 대립했다. 이로 인해 권력 교체가 너무 자주 발생하게 되면서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그 당시에는 황제가 조정.. 2020. 4. 6.
[남귤북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남귤북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남귤북지(南橘北枳) 한자 남(南): 남녘 남 귤(橘): 귤 귤 북(北): 북녘 북 지(枳): 탱자 지 남귤북지 뜻 남쪽의 귤나무를 북쪽에 옮겨 심으면 탱자나무가 된다. 남귤북지 풀이 자신이 처한 환경에 따라 사람의 기질이 선하게도 악하게도 된다. 남귤북지 유래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에 안영(晏嬰)이라는 유명한 재상이 있었다. 어느 날, 안영은 사신의 신분으로 초나라에 방문하게 되었다. 그러자 초나라왕은 신하들을 불러 놓고, 함께 안영을 골탕 먹일 계획을 세웠다. 초나라왕이 말했다. - 안영을 시험해 보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없겠소? 그러자 한 신하가 말했다. - 안영이 초나라에 오면, 제가 죄인 한 사람을 꽁꽁 묶어 전하 앞을 지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2020. 3. 30.
[다기망양]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다기망양]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다기망양(多岐亡羊) 한자 다(多): 많을 다 기(岐): 갈림길 망(亡): 잃을 망 양(羊): 양 양 다기망양 뜻 갈림길이 많아서 양을 잃어버리다. 다기망양 풀이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누어져 있어서 진리를 찾기가 어렵다. 다기망양(多岐亡羊) 유래 중국 전국시대, 양자(楊子)라는 사상가가 있었다. 어느 날, 이웃집에서 양 한 마리가 달아나자, 그 양을 찾기 위해 그 집 사람들이 모두 양을 찾아나섰고, 심지어 양자에게도 도움을 요청하여 양자의 하인들까지 나서서 양을 찾아다녔다. 양자가 사람들에게 물었다. - 겨우 양 한 마리를 잃어버렸는데, 찾아다니는 사람이 왜 이리도 많은 것인가? - 양이 달아난 곳에 갈림길이 많아서 찾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 양을 찾.. 2020.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