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지 고사성어8

수불석권(手不釋卷) 뜻과 유래 수불석권(手不釋卷) 뜻과 유래 '수불석권'이란? 뜻: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 풀이: 열심히 공부하다 수불석권 유래 다음은 삼국지 오지 여몽전에 등장하는 내용이다. 오나라의 군주 《손권》은 《여몽》에게 책을 열심히 읽으라고 했다. 이에 여몽이 바빠서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며 핑계를 대자 손권이 말했다. - [손권]: 아무리 바빠도 나만큼 바쁘겠소? 나는 어려서부터 책을 열심히 읽어서 나라를 통치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소. 공자께서는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셨고, 후한의 광무제께서는 군무로 바쁜 와중에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으셨소 ▶ 수불석권(手不釋卷)』. 조조는 늙어서도 책 읽기를 좋아했소. 그런데 경은 왜 책을 읽으려 하지 않는 것이오? 여몽은 손권의 말을 듣고 열심히 공부하여 그의 학식이 매우.. 2023. 2. 24.
복룡봉추(伏龍鳳雛)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복룡봉추(伏龍鳳雛)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복룡봉추(伏龍鳳雛)란? 뜻, 한자, 해석 복룡봉추 한자 복(伏): 엎드릴 복 룡(龍): 용 룡 봉(鳳): 봉황새 봉 추(雛): 병아리 추 복룡봉추 뜻 엎드려 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 복룡봉추 풀이 아직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사람으로 초야에 숨어 지내는 재주가 뛰어난 훌륭한 인재를 이르는 말이다. 복룡봉추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志) 제갈량전(諸葛亮傳)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복룡봉추 유래 복룡봉추(伏龍鳳雛)는 삼국지에 등장하는 고사성어로 정사(촉지 제갈량전)와 연의 모두 등장하는 내용이다. 흔히 와룡봉추(臥龍鳳雛)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둘은 같은 의미이다. 삼국지 촉지 제갈량전에서 유비가 사마휘에게 세상일에 대해 물으니 사마휘는 자신은 평범한 사.. 2019. 8. 19.
간뇌도지(肝腦塗地)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간뇌도지(肝腦塗地)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간뇌도지(肝腦塗地)란? 뜻과 해석, 한자 간뇌도지 한자 간(肝): 간 간 뇌(腦): 뇌수 뇌 도(塗): 칠할 도 지(地): 땅 지 간뇌도지 뜻 간과 뇌수가 땅에 쏟아지다. 간뇌도지 해석 간뇌도지란, 간과 뇌수가 땅에 쏟아지는 것처럼 비참하고 끔찍하고 참혹하게 죽은 모습을 이르는 말로, 이는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돌보지 않고 힘을 다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간뇌도지 출전 사기(史記) 유경숙손통열전(劉敬叔孫通列傳)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간뇌도지 유래 한(漢)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천하를 평정한 후, 낙양(洛陽)을 도읍으로 결정하려고 하고 있었다. 한 고조 5년, 누경(婁敬)이라는 사람이 황제 알현을 청한다. 그는 낙양을 도읍.. 2019. 8. 12.
괄목상대(刮目相對)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괄목상대(刮目相對)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괄목상대(刮目相對)란? 뜻, 한자, 해석 괄목상대 한자 괄(刮): 비빌 괄 목(目): 눈 목 상(相): 서로 상 대(對): 대할 대 괄목상대 뜻 눈을 비비고 상대방을 대하다. 괄목상대 해석(풀이) 상대방의 학식이나 재주가 몰라볼 정도로 나아졌음을 뜻하는 말이다. 괄목상대 출전 삼국지(三國志) 오지(吳志) 여몽전(呂蒙傳) 괄목상대 유래 괄목상대(刮目相對)란 삼국지 고사성어로 삼국지(三國志) 여몽전(呂蒙傳)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있는데, 주석을 붙인 배송지(裴松之)가 강표전(江表傳)의 내용을 인용한데서 등장한다. ※강표전(江表傳) -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 삼국지의 배송지 주석에 많이 인용되어 있다. 이 이야기 속에서는 괄목상대(刮目相對) 뿐 아니.. 2019. 7. 22.
계륵(鷄肋)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계륵(鷄肋)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계륵(鷄肋)이란? 뜻과 해석, 한자 계륵 한자 계(鷄): 닭 계 륵(肋): 갈비 륵 계륵 뜻 닭의 갈비 계륵 해석(풀이) 먹으려고 하니 먹을 것이 없고, 버리려고 하니 아까운 닭의 갈비처럼 취하기에는 별다른 이익이 없고 버리기에는 아까운 물건 또는 그런 경우를 뜻한다. 계륵 고사성어 출전 후한서(後漢書) 양수전(楊脩傳)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무제기(武帝紀)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등 ※무제기(武帝紀): 여기서 무제(武帝)는 조조(曹操)를 뜻한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도 계륵(鷄肋)과 관련된 내용이 등장하며, ‘계륵’의 뜻을 알아챈 양수가 죽임을 당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실제 정사에서는 양수는 한중에서 돌아온 후, 나중에 다른 일로 참수된다. .. 2019. 7. 15.
삼국지 고사성어 -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유래, 원문 삼국지 고사성어 -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유래, 원문 난형난제(難兄難弟)란? 뜻, 한자, 해석 난형난제 한자 난(難): 어려울 난 형(兄): 형 형 난(難): 어려울 난 제(弟): 아우 제 난형난제 뜻 형이라 하는 것도 아우라고 하는 것도 어렵다. 난형난제 해석 둘의 재능이나 실력이 비슷하여 누구 나은지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난형난제 출전 유의경(劉義慶)의 세설신어(世說新語) 덕행(德行)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송나라의 유의경이 지은 책으로 여러 명사들의 덕행이나 언어, 문학 등과 관련한 일화를 수록한 책이다. 난형난제 유래 난형난제란 삼국지 고사성어로 세설신어(世說新語) 덕행(德行)에 등장한다. 진식과 그의 아들인 진기와 진심은 명성이 높아 이 세 명은 삼군(三君)으로 불렸다. 하루는 진기의.. 2019. 6. 19.
읍참마속(泣斬馬謖)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읍참마속(泣斬馬謖)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읍참마속(泣斬馬謖)이란? 뜻과 해석, 한자 읍참마속 한자 읍(泣): 울 읍 참(斬): 벨 참 마(馬): 말 마 속(謖): 일어날 속 읍참마속 뜻 울면서 마속을 베다. =휘루참마속(揮淚斬馬謖): 눈물을 뿌리며 마속을 베다. 읍참마속 해석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법을 지켜 기강을 바로 세운다.(대의를 위해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 또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 자신이 아끼는 사람을 버린다. 읍참마속 출전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읍참마속 유래 촉(蜀)나라의 승상, 제갈량(諸葛亮)은 재주가 뛰어났던 마속(馬謖)을 아꼈으나 유비(劉備)는 백제성(白帝城)에서 죽기 전에 마속이 실제 자신의 재주보다 과대평가된 인물이라고 하며 크게 사용하면 안 된다고 한다. .. 2019. 6. 1.
낙불사촉(樂不思蜀)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불사촉(樂不思蜀)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원문 낙불사촉(樂不思蜀)이란? 뜻과 해석, 한자 낙불사촉 한자 낙(樂): 즐길 락 불(不): 아니 불 사(思): 생각할 사 촉(蜀): 나라 이름 촉 낙불사촉 뜻 즐거움에 빠져 촉나라를 생각하지 않는다. 낙불사촉 해석 쾌락에 빠져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낙불사촉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후주전(後主傳) 낙불사촉 유래 낙불사촉은 삼국지에 등장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1대 황제였던 선주(先主) 유비(劉備)가 죽자, 후주(後主) 유선이 그의 뒤를 이었다. 그러나 결국 유선은 위(魏)나라에게 항복하여 촉(蜀)나라는 멸망한다. 그러던 어느 날, 유선은 위나라의 최고 권력자인 사마소(司馬昭)와 함께 술.. 2019.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