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2

[동쪽/서쪽 사자성어] 동(東)/서(西) 한자성어와 뜻 45가지 [동쪽/서쪽 사자성어] 동(東)/서(西) 한자성어와 뜻 45가지 사자성어 중에서 동쪽(東)과 서쪽(西)이 동시에 들어가는 단어들이 많다, 동쪽과 서쪽에 관한 한자성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동쪽/서쪽 사자성어 01. 가동가서(可東可西) 한자: 可(옳을 가), 東(동녘 동), 可(옳을 가), 西(서녘 서) 뜻: 동쪽도 좋고 서쪽도 좋다 ▶ 이러나 저러나 상관없다 02. 가이동가이서(可以東可以西) 한자: 可(옳을 가), 以(써 이), 東(동녘 동), 可(옳을 가), 以(써 이), 西(서녘 서) 뜻: 동쪽도 좋고 서쪽도 좋다 ▶ 이러나 저러나 상관없다 03. 고금동서(古今東西) 한자: 古(예 고), 今(이제 금), 東(동녘 동), 西(서녘 서) 뜻: 옛날과 지금, 동양과 서양 ▶ 언제 어디서나 04. 고서비동(考.. 2021. 7. 6.
[성동격서(聲東擊西)란?] '성동격서' 뜻과 유래 [성동격서(聲東擊西)란?] '성동격서' 뜻과 유래 성동격서란? 뜻: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친다 → 한쪽을 공격하는 척하면서 상대방의 주의를 분산시킨 후, 다른 쪽을 습격하여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는 전술 성동격서 유래 【첫번째 이야기】 중국 춘추시대, 진나라 《강공》이 누대를 쌓는 동안 초나라가 제나라를 치려고 하자 《임망》 이 말했다. - 초나라가 제나라를 치는 척하면서 우리 진나라를 치려고 하니 거기에 대비해야 합니다. 강공이 그 의견을 받아들여 동쪽 국경을 지키게 하자 초나라가 행군을 멈췄다. 【두번째 이야기】 한나라의 《유방》과 초나라의 《항우》가 천하를 두고 다투던 때의 일이다. 위나라왕 《표》가 항우에게 항복하자 유방은 《한신》에게 위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위나라가 황하 동쪽에 진을 치고.. 2021. 7. 2.
[불(火) 한자성어] 불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7가지 [불(火) 한자성어] 불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57가지 불에 관한 사자성어 01. 걸화불약취수(乞火不若取燧) 한자: 乞(빌 걸), 火(불 화), 不(아니 불), 若(같을 약), 取(가질 취), 燧(부싯돌 수) 뜻: 남의 불을 빌리기보다 자기 부싯돌로 불을 일으키는 것이 낫다 ▶ 남에게 구걸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 02. 고빙구화(敲氷求火) 한자: 敲(두드릴 고), 氷(얼음 빙), 求(구할 구), 火(불 화) 뜻: 얼음을 두드려 불을 구한다 ▶ 어떤 일의 불가능함 03. 고화자전(膏火自煎) 한자: 膏(기름 고), 火(불 화), 自(스스로 자), 煎(달일 전) 뜻: 기름 등불이 스스로 태운다 ▶ 재능 때문에 오히려 화를 입다 04. 과화숙식(過火熟食) 한자: 過(지날 과), 火(불 화), 熟(익을 숙.. 2021. 6. 30.
[백아절현(伯牙絶絃)이란?] '백아절현' 뜻과 유래 [백아절현(伯牙絶絃)이란?] '백아절현' 뜻과 유래 백아절현이란? 뜻: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다. → 자신을 알아주는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하다. 백아절현 유래 중국 춘추시대, 진나라에 《유백아》라는 거문고의 명인이 있었는데, 그가 거문고를 탈 때면 친구인 《종자기》가 그의 연주를 듣곤 했다. 백아가 태산을 생각하며 거문고를 타자, 종자기가 말했다. - 좋도다! 높고 큰 것이 마치 태산과 같구나! 백아가 흐르는 물을 생각하며 거문고를 타자 종자기가 말했다. - 좋도다! 세찬 것이 흐르는 물과 같구나! 이처럼 백아의 연주를 정확히 이해했던 종자기가 갑자기 병으로 죽자 백아는 자신의 음악을 알아주는 사람이 이 세상에는 더 이상 없다고 생각했다. 이에 『백아는 거문고 줄을 끊어버렸다 ▶ 백아절현(伯牙絶絃).. 2021. 6. 25.
[천둥번개 한자성어]우레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30가지 [천둥번개 한자성어] 우레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30가지 천둥/번개/벼락/우레 사자성어 01. 뇌동(雷同) 한자: 雷(우레 뇌), 同(한가지 동) 뜻: 우렛소리에 맞춰 함께 하다 풀이: 자기 주관이 없이 맹목적으로 남의 의견에 동조하다 ※우레와 천둥은 같은 말이다. 02. 뇌동부화(雷同附和) 한자: 雷(우레 뇌), 同(한가지 동), 附(붙을 부), 和(화할 화) 뜻: 우렛소리에 맞춰 함께 하다 풀이: 자기 주관이 없이 맹목적으로 남의 의견에 동조하다 03. 뇌려풍비(雷勵風飛) 한자: 雷(우레 뇌), 勵(힘쓸 려), 風(바람 풍), 飛(날 비) 뜻: 우레가 격렬하고 바람이 빠르게 인다 풀이: 위세가 맹렬하고 행동이 신속하다 04. 뇌명(雷名) 한자: 雷(우레 뇌), 名(이름 명) 뜻: 우렛소리처럼 큰 이름.. 2021. 6. 20.
[노마지지(老馬之智)란?] '노마지지' 뜻과 유래 [노마지지(老馬之智)란?] '노마지지' 뜻과 유래 노마지지란? 뜻: 늙은 말의 지혜 → ①아무리 하찮은 것도 저마다 장점이 있다 → ②연륜이 깊고 경험이 많을수록 더 능숙하고 옳은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유의어: 노마식도(老馬識途), 식도노마(識途老馬), 노마지도(老馬知途) 노마지지 유래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환공은 고죽국을 정벌하고 돌아오다가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그러자 《관중》이 말했다. - 이럴 때는 『늙은 말의 지혜 → 노마지지(老馬之智)』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관중은 늙은 말 한 마리를 앞세우고 그 뒤를 따르게 하니 정말 그의 말대로 길을 찾을 수 있었다. 얼마 후, 산 속을 지나다가 이번에는 식수가 떨어지고 말았다. 그러자 《습붕》이 말했다. - 개미집의 크기가 한 치라면 그 한 길 깊이에.. 2021. 6. 18.
[백면서생(白面書生)이란] '백면서생' 뜻과 유래 [백면서생(白面書生)이란] '백면서생' 뜻과 유래 백면서생이란? 뜻: 흰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 → 세상 물정에 어둡고 경험이 없는 사람 ※백면서생 동의어 = 백면(白面), 백면랑(白面郞), 백면서랑(白面書郞) 백면서생 유래 중국 남북조시대, 송나라 《문제》가 숙적 북위를 정벌하기로 결심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려고 하자 《심경지》라는 무관이 예전의 북벌 실패를 예로 들며 북위 공격을 반대했다. 하지만 황제는 그 당시 북벌을 실패한 것은 따로 이유가 있었다며 북벌을 강행했고, 북벌에 대해 여러 문관들과 함께 논의하게 했다. 그러자 심경지가 말했다. -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집안을 다스리는 것과 같습니다. 밭을 가는 것은 남자종에게 물어보아야 하고, 베를 짜는 것은 여자종에게 물어보아야 합니다. 그런데 폐하께.. 2021. 6. 13.
각자도생(各自圖生) 뜻은? 유래는? 각자도생(各自圖生) 뜻은? 유래는? 각자도생이란? 《각자도생(各自圖生)》은 우리가 살면서 자주 접하거나 언급하는 대표적인 사자성어로, 『각자가 스스로 살길을 도모한다』는 뜻이다. 각자도생 한자 각(各): 각각 각 자(自): 스스로 자 도(圖): 꾀할 도 모(生): 날 생 → 각자도생은 워낙 자주 쓰이는 말이므로, 정확한 한자를 모르더라도 대략적인 뜻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고, 뜻을 모르더라도 어느 정도 의미의 추측이 가능한 단어이다. 각자도생 유래 각자도생이 말도 안되는 억지로 만든 가짜 사자성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겠지만 각자도생은 정식 기록인 조선왕조실록에 무려 4번이나 등장하는 실제로 존재하는 단어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정묘호란, 병자호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 .. 2021. 6. 7.
낙양지귀(洛陽紙貴) 뜻과 유래 낙양지귀(洛陽紙貴) 뜻과 유래 '낙양지귀'란? 뜻: 낙양의 종이값이 오르다 풀이: 책이 호평을 받아 매우 잘 팔리다 ★낙양지귀 비슷한말 → 낙양지가귀(洛陽紙價貴), 낙양지가(洛陽紙價), 낙양지가고(洛陽紙價高), 지가고(紙價高) 낙양지귀 유래 중국 위진시대, 서진에 《좌사》라는 시인이 있었다. 그는 못생겼으나 문장력이 매우 뛰어난 시인이었다. 그는 과거 제나라 도읍이었던 자신의 고향의 모습을 노래한 '제도부(齊都賦)'라는 시로 유명해지자, 이번에는 삼국시대 위나라, 촉나라, 오나라의 도읍을 노래하는 시를 짓기로 결심하고 10년 만에 '삼도부(三都賦)'라는 시를 완성시켰다. 어느 날, 유명한 시인 《장화》가 이 작품을 보고는 감탄하며 이렇게 평가했다. - 이 작품은 한나라의 옛 시인인 《반고》와 《장형》의 .. 2021. 6. 4.
[양(羊) 한자성어] 양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7가지 [양(羊) 한자성어] 양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7가지 양(羊)에 관한 사자성어 1. 견양지질(犬羊之質) 한자: 犬(개 견), 羊(양 양), 之(갈 지), 質(바탕 질) 뜻: 개나 양과 같은 소질 ▶ 재능이 없이 태어난 바탕 2. 견우미견양(見牛未見羊) 한자: 見(볼 견), 牛(소 우), 未(아닐 미), 見(볼 견), 羊(양 양) 뜻: 소는 보고 양을 보지 않았다 ▶ 무엇이든지 보지 않은 것보다는 자기가 직접 본 것에 대해 좀 더 생각하게 된다 → 제나라 선왕이 소가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것을 보고는 소를 놓아주고 대신 양을 데려가라고 했다. 둘다 끌려가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소는 직접 보았으니 가엾게 여겼고, 양은 보지 않았으니 가엾게 여기지 않은 것이다. 3. 고삭희양(告朔餼羊) 한자: 告(알릴 고),.. 2021.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