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3

평지풍파(平地風波)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평지풍파(平地風波)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평지풍파(平地風波)란? 뜻과 해석, 한자 평지풍파 한자 평(平): 평평할 평 지(地): 땅 지 풍(風): 바람 풍 파(波): 물결 파 평지풍파 뜻 평평한 땅에 바람과 물결이 일어난다. 평지풍파 해석 평지에서 갑자기 바람과 파도가 몰아치는 것처럼 평화로운 상황에서 갑자기 뜻밖의 분쟁이 발생하여 시끄러워지거나 상태를 어렵게 만드는 것을 비유적으로 가리키는 말이다. 평지풍파 출전 당나라 시인 유우석(劉禹錫)의 죽지사(竹枝詞) ※곽무천(郭茂倩)의 악부시집(樂府詩集)에 실려 있음 평지풍파 유래 유우석이 좌천되어 기주자사로 부임했을 때, 민가(民歌)를 듣고 이를 바탕으로 가사를 지은 것이 ‘죽지사’이다. 죽지사는 칠언절구(七言絶句) 형식으로 총 아홉수로 되어 .. 2019. 4. 29.
백미(白眉)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백미(白眉)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백미(白眉)란? 뜻과 해석, 한자 백미 한자 백(白): 흰 백 미(眉): 눈썹 미 백미 뜻 흰 눈썹 백미 해석 여러 사람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또는 여러 물건 들 중에서 훌륭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가리키는 말로 여럿 중에서도 특별히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백미 출전 삼국지(三國志) 촉서(蜀書) 마량전(馬良傳)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백미 유래 촉서 마량전에 등장하는 내용으로 흰 눈썹이 있는 마량이 그의 형제 중에서 가장 뛰어났다는 사람들의 말에서 비롯된 고사성어이다. 삼국지연의에서도 관련 내용이 등장한다. 적벽대전을 승리하여 세력을 확장한 유비에게 이적이 인재를 추천하는 장면에서 볼 수 있으며, 촉서 마량전에 나오는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백미 .. 2019. 4. 28.
곡학아세(曲學阿世)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곡학아세(曲學阿世)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곡학아세(曲學阿世)란? 뜻과 해석, 한자 곡학아세 한자 곡(曲): 굽을 곡 학(學): 배울 학 아(阿): 아첨할 아 세(世): 세상 세 곡학아세 뜻 학문을 굽혀 세상에 아첨한다.(=아세곡학) 곡학아세 해석 자신의 출세를 위해서 학문의 정도(正道)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신념이나 가치관을 바꾸면서까지 아첨하고 타협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곡학아세 출전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유림열전(儒林列傳) 곡학아세 유래 한나라 무제(武帝)가 즉위한 후, 관직에서 물러나 있던 원고생(轅固生)이라는 90세에 가까운 사람을 등용했는데, 사람들은 그를 늙은이라고 무시했다. 그 때, 원고생이 공손홍(公孫弘)이라는 사람에게 한 조언 속에 등장한 말이 곡학아세이다. 곡.. 2019. 4. 27.
과유불급(過猶不及)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과유불급(過猶不及)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뜻과 해석, 한자 과유불급 한자 과(過): 지날 과 유(猶): 오히려 유 불(不): 아니 불 급(及): 미칠 급 과유불급 뜻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과유불급 해석 지나친 것은 부족함과 다를 바가 없다는 뜻으로 지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즉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과유불급 출전 논어(論語) 제십일편(第十一篇) 선진(先進) 과유불급 유래 자장(子張)과 자하(子夏)중에 누가 더 나은 지를 묻는 자공(子貢)의 질문에 대한 공자(孔子)의 답변 속에 들어있는 내용이다. 과유불급 원문 논어(論語) 선진(先進) 중에서 子貢問(자공문) 자공(子貢)이 묻기를, 師與商也孰賢(사여상야숙현) 사(師)와 商(상.. 2019. 4. 25.
당랑거철(螳蜋車軼)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당랑거철(螳蜋車軼)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당랑거철(螳蜋車軼)이란? 뜻과 해석, 한자 당랑거철 한자 당(螳): 사마귀 당 랑(螂): 사마귀 랑 거(拒): 막을 거 철(轍): 바퀴자국 철 당랑거철 뜻 사마귀가 수레를 막다. 당랑거철 해석 사마귀가 수레를 막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주로 자신의 힘을 과신하거나 자신의 능력을 헤아리지 못하고 강한 사람이나 사물에게 무모하게 덤빈다는 의미로 쓰인다. 당랑거철 출전 장자(莊子) 천지편(天地篇) 회남자(淮南子) 인간훈(人間訓) 한시외전(韓詩外傳) 문선(文選) 등 당랑거철 유래 책마다 내용, 설명하는 방식, 도출한 결론 등이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결국 사마귀가 수레에 맞서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상대가 되지도 않는 존재가 강한 존재에게 대적하는 .. 2019. 4. 24.
자가당착(自家撞着)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자가당착(自家撞着)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자가당착(自家撞着)이란? 뜻과 해석, 한자 자가당착 한자 자(自): 스스로 자 가(家): 집 가 당(撞): 칠 당 착(着): 붙을 착 자가당착 뜻 자기 스스로 맞부딪치다. 자가당착 해석 자가당착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 등이 앞뒤가 맞지 않고 모순되어 일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자가당착 출전 선림유취(禪林類聚) 간경문(看經門) 자가당착 유래 중국 송나라 때의 승려인 남당원정(南堂元靜)가 지은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유래된 고사성어이다. 자가당착 원문 선림유취(禪林類聚) 중에서 南堂靜云(남당정운) 남당원정(南堂元靜)이 말하기를, 須彌山高不見巔(수미산고불견령) 수미산(須彌山)은 높고 산봉우리가 보이지 않으며 大海水深不見底(대해수심불견저) 넓은 바다의 물은 깊.. 2019. 4. 22.
토사구팽(兎死狗烹)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토사구팽(兎死狗烹)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토사구팽(兎死狗烹)이란? 뜻과 해석, 한자 토사구팽 한자 토(兎): 토끼 토 사(死): 죽을 사 구(狗): 개 구 팽(烹): 삶을 팽 토사구팽 뜻 토끼가 죽으면 개를 삶아 먹는다.(=兔死狗烹) 토사구팽 해석 토끼 사냥이 끝나면 토끼를 사냥할 때 필요했던 사냥개가 쓸모가 없으니 잡아먹는다는 의미이다. 필요할 땐 요긴하게 쓰고 필요가 없어지면 가혹하게 버려진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토사구팽 출전 사머천(司馬遷)의 사기(史記) 권41. 월왕구천세가(越王句踐世家) 토사구팽 유래 범려(范蠡)와 문종(文種)은 중국 춘추시대의 인물로 월(越)나라 왕 구천(句踐)을 보좌하여 오(吳)나라를 멸망시키는데 큰 공을 세운 인물들이다. 그러나 오나라를 멸망시킨 후, .. 2019. 4. 21.
역린(逆鱗)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역린(逆鱗)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역린(逆鱗)이란? 뜻과 해석, 한자 역린 한자 역(逆): 거스를 역 린(鱗): 비늘 린 역린 뜻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나 있는 비늘 역린 해석 역린은 왕(군주)의 분노 또는 왕의 치부나 약점을 언급하여 심기를 건드리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역린 출전 한비자(韓非子)의 제12편 세난편(說難篇) ※한비자: 중국 전국시대 한비(韓非) 등이 저술한 책으로 법가사상을 집대성하였으며 총 55편으로 이루어져있다. 역린 유래 역린은 용의 목 아래에 거꾸로 나있는 비늘을 가리키는데, 이곳은 용의 급소이다. 따라서 이곳을 건드리면 용은 크게 분노하여 역린을 건드린 자를 물어 죽인다고 한다. 용처럼 막강한 힘(권력)을 가지고 있는 왕에게도 역린처럼 건드리지 말아야.. 2019. 4. 19.
오월동주(吳越同舟)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오월동주(吳越同舟)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오월동주(吳越同舟)란? 뜻과 해석, 한자 오월동주 한자 오(吳): 오나라 오 월(越): 월나라 월 동(同): 한가지 동 주(舟): 배 주 오월동주 뜻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다. 오월동주 해석 오나라와 월나라는 춘추시대에 서로 격렬하게 대립했던 나라들로서 아무리 서로 미워하는 적대적인 관계라고 할지라도 필요한 상황이나 어려운 상황이 되면 함께 돕고 협력해야 된다는 의미이다.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되는 상황 또는 서로 협력해야할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오월동주 출전 손무(孫武)의 손자(孫子) 구지(九地)편 ※ 구지(九地): 9가지 종류의 전장 지형과 그와 관련하여 공격과 방어에 대해 이야기한 내용이 주.. 2019. 4. 14.
홍일점(紅一點)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홍일점(紅一點)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홍일점(紅一點)란? 뜻과 해석, 한자 홍일점 한자 홍(紅): 붉을 홍 일(一): 한 일 점(點): 점 점 홍일점 뜻 붉은 점 하나 홍일점 해석 많은 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을 가리키는 말로 평범한 여럿 중에 눈에 띄는 것이 하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예문. 수현이는 홍일점이라서 우리 과에서 인기가 많다.) 홍일점 출전 왕안석(王安石)의 詠石榴詩(영석류시) ※왕안석(王安石): 중국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로 송대의 문장가이자 정치가 홍일점 유래, 원문 詠石榴詩(영석류시) 萬綠叢中紅一點(만록총중홍일점) 많은 푸른 잎 가운데 붉은 꽃 한 송이 動人春色不須.. 2019.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