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52

[양약고구]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약고구]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양약고구 뜻: 좋은 약은 입에 쓰다. → 좋은 충고는 귀에 거슬린다. = 양약고어구(良藥苦於口) 양약고구 유래 '사기 유후세가'에 등장하는 내용이다. 중국 진나라 말기, 《유방》은 진나라로부터 항복을 받은 후, 진나라 궁궐에 들어갔다가 온갖 보물과 궁실의 화려함에 매료되어 그대로 왕궁에서 머물려고 했다. 용장 《번쾌》가 궁을 떠나 적당한 곳에서 진을 치자고 했으나 유방은 듣지 않았고, 이에 측근인 《장량》이 나서서 말했다. - 진나라가 무도하여 공께서 이곳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공께서 진나라 임금처럼 쾌락에 빠진다면 폭군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충언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에는 이롭고 독한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는 이롭다고 했습니다. 그러니 번쾌의 .. 2020. 12. 8.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한자 뜻 80가지(범 호 - 虎) 호랑이-범(虎)에 관한 사자성어 한자 80가지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한자성어/고사성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호랑이(범)가 들어가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1.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苛(가혹할 가), 政(정사 정), 猛(사나울 맹), 於(어조사 어), 虎(범 호) 뜻: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사납다.(→ 혹독한 정치의 무서움) 02. 가호위호(假虎威狐) 假(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 狐(여우 호) 뜻: 호랑이의 위엄을 빌린 여우(→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다.) 03.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見(볼 견), 虎(범 호), 未(아닐 미), 見(볼 견), 虎(범 호) 뜻: 호랑이를 보기는 했으나 실제로 보지는 못했다.(→ 무엇이든지 실제로 당해보지 않으면 생각이 간절하다.).. 2020. 12. 4.
[의심암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의심암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의심암귀 유래 고사성어 이야기 유튜브 영상은 맨 아래를 참조하세요 의심암귀(疑心暗鬼) 란? 뜻: 의심이 생기면 없던 귀신도 생긴다. → 의심을 품게 되면 쓸데없이 불안해지거나 두려워하게 된다. → 의심으로 인한 편견이나 선입견 때문에 잘못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 의심생암귀(疑心生暗鬼) 의심암귀 유래 첫 번째 이야기 어떤 노인이 이웃집에 말라죽은 오동나무를 보고는 그 집 주인에게 말라죽은 오동나무는 불길하다고 했다. 이에 그 집 주인은 오동나무를 베어버렸다. 그러자 노인은 땔감으로 쓰려고 하니 베어버린 오동나무를 달라고 했다. 그러자 주인이 화를 내며 말했다. - 이웃집 노인이 땔감으로 쓰려고 오동나무를 베게 한 거였구만! 두 번째 이야기 어떤 사람이.. 2020. 12. 3.
[미생지신]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미생지신]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미생지신이란? 뜻: 미생의 믿음 → ①융통성이 없거나 고지식한 태도 → ②약속을 굳게 지키는 신의 → 보통 ①의 뜻으로 쓰인다. 미생지신 유래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에 《미생》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하루는 그가 사랑하는 여자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했는데, 한참을 기다려도 그녀는 약속장소에 나타나지 않았다. 갑자기 소나기가 내려 개울물이 불어났지만 미생은 그곳을 떠나지 않고 그녀를 계속 기다렸다. 결국 물을 걷잡을 수 없이 불어났고, 미생은 다리 기둥을 끌어안고 버티다가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소진(蘇秦)》은 자신을 신뢰하지 못하는 연나라왕을 만나 미생의 일화를 예로 들며 자신의 충성과 신의를 믿어달라며 설득했다. 미생지신 한자 미(尾): 꼬리 미.. 2020. 11. 24.
[융통성 없음/고지식함] 사자성어, 한자, 고사성어 [융통성 없음/고지식함] 사자성어, 한자, 고사성어 '융통성이 없다', '고지식하다' 뜻이 있는 융통성에 관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자 자체는 다르지만 뜻이 비슷한 단어들로 고사성어의 경우에는 뜻과 유래를 모두 소개했다. 각주구검(刻舟求劍) 각(刻): 새길 각 주(舟): 배 주 구(求): 구할 구 검(劍): 칼 검 뜻: 배에 새겨 칼을 찾다. → 어리석고 미련하여 융통성이 없음 유래 초나라 사람이 배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아끼는 칼을 강물에 빠뜨렸다. 그는 재빨리 자기가 칼을 떨어뜨린 뱃전에 바로 표시를 했다가 나중에 배가 멈추면 물에 뛰어들어 자신의 칼을 찾으려 했다. 하지만 그러는 동안에 배는 칼이 빠진 곳에서 점점 멀어졌고, 결국 그는 칼을 찾을 수 없었다.(= 각선구검) 고집불통(固執不通.. 2020. 11. 22.
[의기양양]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의기양양]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의기양양이란? 뜻: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내는 모습 → 매우 만족스럽거나 기분이 좋은 모습을 묘사할 때 쓰인다. 의기양양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안영은 키가 작았으나 능력이 출중하여 온 천하에 명성이 자자했다. 특히, 그는 재상이라는 신분에도 불구하고 늘 검소하게 살면서 말과 행동을 겸손히 하여 많은 백성들에게 존경과 사랑을 한 몸에 받았다. 하루는 그가 외출을 하는데, 그가 탄 수레를 모는 마부의 아내가 이 소식을 듣고, 문틈으로 남편(마부)이 일하는 모습을 몰래 엿보았다. 아내가 보니 마부는 『의기양양(意気揚揚)』하게 수레를 몰며 매우 만족스러워했다. 마부가 나중에 집에 돌아가자 아내가 그에게 헤어지자고 하며 말했다. - 안영은 비록 키.. 2020. 11. 14.
[전화위복]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전화위복] 유래, 뜻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전화위복이란? 뜻: 화가 바뀌어 복이 되다. 풀이: 좋지 않은 일이 계기가 되어 오히려 좋은 일이 생기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화위복 유래 사기 관안열전에서, 관중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 그는 정치를 하면서 『화가 될 것을 복이 되게 하고』, 실패를 바꿔 성공이 되게 했던 사람이다. 사기 소진열전에서, 소진이 제나라왕을 만나서 연나라로부터 빼앗은 성 10개를 모두 연나라에게 돌려주라고 설득하는 과정에서도 전화위복(轉禍爲福)이라는 말이 등장한다. - 신이 듣기로, ‘옛날에 일 처리를 잘 했던 사람은 『화를 바꿔 복이 되게 하고』, 실패를 성공이 되게 했다’고 들었습니다. 전화위복(轉禍爲福) 한자 전(轉): 구를 전 화(禍): 재앙 화 위(爲.. 2020. 11. 4.
[낭중취물/탐낭취물]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낭중취물/탐낭취물] 유래, 뜻 - 삼국지 고사성어 낭중취물이란? 뜻: 주머니 속의 물건을 꺼내다. 풀이: 매우 쉬운 일 또는 쉽게 얻을 수 있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낭중취물(囊中取物), 탐낭취물(探囊取物), 탐낭중물((探囊中物), 탐낭중지물(探囊中之物) 모두 동일한 말이다. 낭중취물 유래 ※보통, 낭중취물은 삼국지연의에서 관우가 장비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서 등장하는 고사성어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보다 앞선 등장한다. ⅰ) 중국 오대시대, 《한희재》가 남쪽 오나라로 쫓겨나게 되자, 그와 친하게 지내던 《이곡》이 술자리를 마련했다. 술자리가 무르익고 떠날 때가 되자 한희재가 말했다. - 만일, 강남에서 나를 재상으로 삼는다면 나는 바로 쳐들어와서 중원을 빼앗아버리겠소. 그러자 이곡이 대답했.. 2020. 10. 29.
[충신불사이군]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충신불사이군]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충신불사이군이란? 뜻 뜻: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 → 어떤 상황에서도 한 임금만을 섬기는 충성스러운 신하를 의미한다. 충신불사이군 유래 중국 전국시대, 연(燕)나라의 명장 악의(樂毅)는 연합군의 사령관이 되어 제나라를 공격했다. 그는 제나라 정벌을 시작하면서 왕촉(王燭)이라는 뛰어난 인물이 획읍(畵邑)이라는 고을에 살고있다는 말을 듣게 되었다. 그러자 악의는 군사들에게 명하여 왕촉이 살고 있는 마을 주변에 접근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린 후, 왕촉에게 연나라로 귀순하면 큰 상을 내리겠다고 제의했다. 그러나 왕촉은 그의 제의를 거절했고, 악의는 자신의 말을 듣지 않으면 마을 사람들을 학살하겠다고 협박했다. 그러자 왕촉이 말했다. - 충성스러운 신하.. 2020. 10. 25.
[완벽귀조/완벽]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완벽귀조/완벽]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완벽귀조' 란? 뜻: 구슬을 온전히 조나라로 돌려보내다. 풀이: 빌렸던 물건을 온전한 상태로 원래 주인에게 돌려보내다. ※ '완벽' 또는 '완벽하다' '완벽(完璧)'이라는 말은 '완벽귀조(完璧歸趙)'라는 고사성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흠이 없는 온전한 구슬』을 뜻하며, 『결함이 없이 완전하다』는 의미이다. 완벽/완벽귀조 유래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에서 천하의 보물인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는 구슬을 손에 넣게 되자 진나라 《소양왕》은 진나라의 성 15개와 화씨벽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조나라는 강대국인 진나라의 제안을 거절하려니 진나라가 이를 핑계로 공격해 올 것이 분명했고, 구슬을 주려니 성을 받지도 못하고 구슬만 빼앗길 것 같았다. 오랜 고민 끝에 《인상.. 2020.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