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249

[이목지신(移木之信)] 뜻과 유래 - 약속 고사성어 [이목지신(移木之信)] 뜻과 유래 - 약속 고사성어 이목지신이란? 뜻: 나무를 옮기는 믿음(나무를 옮겨서 믿음을 주다) → 약속을 반드시 지키거나 남을 속이지 않는다.(위정자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 이목지신 유래 중국 전국시대, 진나라의 《상앙》은 법령을 제정한 후, 법을 공포하기에 앞서 어떻게 하면 백성들이 법을 잘 따르고 지키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다가 한 가지 꾀를 냈다. 그는 남문에 큰 나무를 세워 놓은 후, 다음과 같이 알렸다. - 이 나무를 북문으로 옮기는 사람에게는 10금을 상으로 내릴 것이다! 그러나 백성들은 상앙의 말을 믿지 않았고 나무를 옮기려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그러자 상앙은 상금을 50금으로 올렸다. 그러자 한 사람이 반신반의하며 나무를 북문으로 옮겼고, 상앙은 .. 2021. 4. 11.
[뱀 사자성어] 뱀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24가지 [뱀 사자성어] 뱀에 관한 한자성어와 뜻 24가지 뱀에 관한 사자성어 01. 견사수지장단(見蛇首知長短) 한자: 見(볼 견), 蛇(뱀 사), 首(머리 수), 知(알 지), 長(길 장), 短(짧을 단) 뜻: 뱀의 머리를 보면 그 몸의 길고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 한 가지를 보면 전체를 알 수 있다 02. 두절사행(斗折蛇行) 한자: 斗(별이름 두), 折(꺾을 절), 蛇(뱀 사), 行(다닐 행) 뜻: 북두칠성의 꺾인 모양과 뱀이 기어가는 것처럼 꼬불꼬불한 도로의 모습을 묘사하는 말 03. 배궁사영(杯弓蛇影) 한자: 杯(잔 배), 弓(활 궁), 蛇(뱀 사), 影(그림자 영) 뜻: 술잔에 비친 활 그림자를 뱀으로 착각하다 ▶ 아무 것도 아닌 일에 쓸데없는 의심을 품고 지나치게 근심하다 → 참고. 배중사영(杯中蛇.. 2021. 4. 9.
[기호지세(騎虎之勢)] 뜻과 유래 [기호지세(騎虎之勢)] 뜻과 유래 ▶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 '기호지세'란? 뜻: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 풀이: 이미 일을 시작하여 도중에 그만두거나 물러설 수 없는 형세 (→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사람이 도중에 내릴 수 없다는 뜻) 기호지세 유래 중국 남북조시대 말, 북주(北周)의 선제(宣帝)가 죽고 정제(靜帝)가 어린 나이로 황제에 오르자 재상 《양견(楊堅)》이 사실상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한족 출신이었던 양견은 오랑캐에게 빼앗긴 땅을 되찾아 한족의 나라를 만들려는 야심을 갖고 있었는데 이를 알고 있던 그의 부인 《독고가라》가 양견에게 편지를 보냈다. - 이미 대사가 벌어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 → '기호지세(騎虎之勢)'와 같습니다. 도중에 내린다면 도리어 호랑이에게 잡아 먹히고 .. 2021. 4. 5.
[닭(鷄) 한자성어] 닭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46가지 [닭(鷄) 한자성어] 닭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46가지 01. 가계야목(家鷄野鶩) 한자: 家(집 가), 鷄(닭 계), 野(들 야), 鶩(집오리 목) 뜻: 집의 닭과 들의 오리 ▶ 가까이 있고 흔한 것을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고 진기한 것을 귀하게 여기다 02. 가계야치(家鷄野雉) 한자: 家(집 가), 鷄(닭 계), 野(들 야), 雉(꿩 치) 뜻: 집의 닭과 들의 꿩 ▶ ①가까이 있는 것을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것을 귀하게 여기다 ②흔한 것을 천하게 여기고 드문 것을 귀하게 여기다 ③아내를 박대하고 첩을 좋아하다 03. 견란구계(見卵求鷄) 한자: 見(볼 견), 卵(알 란), 求(구할 구), 鷄(닭 계) 뜻: 달걀을 보고 닭이 울기를 바란다 ▶ 지나치게 성급하다 04. 계견상문(鷄犬相聞) 한자: 鷄(닭 .. 2021. 3. 31.
[식소사번(食少事煩)]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식소사번(食少事煩)] 뜻과 유래 - 삼국지 고사성어 식소사번이란? 뜻: 먹는 것은 적은데 할 일이 많다. 풀이: 건강을 돌보지 않고 바쁘게 일하다. → 삼국지에서 위나라의 사마의가 촉한의 제갈량을 두고 한 말이다. 식소사번 유래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승상 《제갈량》은 위나라를 정벌하기 위해 북벌에 나섰다. 제갈량은 《사마의》를 전장으로 끌어내서 빠르게 승패를 결정지으려 했으나 사마의는 장기전을 선택하여 굳게 지키며 나서지 않았다. 그렇게 양측이 서로 대치하는 상황에서 제갈량이 사자를 보내자 사마의는 사자에게 제갈량의 근황에 대해 물었다. - 공명(제갈량)이 먹고 자는 것은 어떻소? 그리고 그가 처리할 일들이 많지는 않소? - 승상께서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밤 늦게 주무십니다. 그리고 곤장 20대 이상.. 2021. 3. 25.
[개(犬,狗) 한자성어] 개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68가지 [개(犬,狗) 한자성어] 개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68가지 '개'를 뜻하는 한자는 견(犬), 구(狗)의 두 가지가 많이 쓰인다. 개가 들어가는 한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개에 관한 사자성어 01. 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한자: 家(집 가), 狗(개 구), 向(향할 향), 裏(속 리), 吠(짖을 폐) 뜻: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을 향해 짖는다 ▶ 은혜를 원수로 갚다 02. 걸견폐요(桀犬吠堯) 한자: 桀(걸왕 걸), 犬(개 견), 吠(짖을 폐), 堯(요임금 요) 뜻: 걸왕의 개가 요임금을 향해 짖다 ▶ ①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하다 ②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하다 03. 견마지년(犬馬之年) 한자: 犬(개 견), 馬(말 마), 之(갈 지), 年(해 년) 뜻: 개나 말처럼 보람 없이 .. 2021. 3. 23.
[증삼살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증삼살인]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증삼살인(曾參殺人)이란? 뜻: 증삼이 사람을 죽이다 → 사실이 아닌 말도 여러 사람이 왜곡해서 전달하면 사실처럼 받아들여진다 증삼살인 유래 《증삼》이 비라는 곳에 살고 있을 때, 그와 이름이 같은 사람이 살인을 했다. 이 소식을 들은 이웃사람이 달려와 증삼의 어머니에게 말했다. "증삼이 사람을 죽였대요!" ※증삼(曾參): 공자의 제자 증자(曾子)의 이름 그러나 증삼의 어머니는 태연하게 베를 짜며 말했다. "우리 아들은 사람을 죽이지 않소." 얼마 후, 또 한 사람이 뛰어와서 말했다. "증삼이 사람을 죽였대요!" 그러나 증삼의 어머니는 태연하게 계속 베를 짰다. 또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어떤 사람이 와서 말했다. "증삼이 사람을 죽였대요!" 그러자 증삼의.. 2021. 3. 18.
[토끼(兔) 한자성어] 토끼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6가지 [토끼(兔) 한자성어] 토끼에 관한 사자성어와 뜻 26가지 토끼에 관한 사자성어 1. 견분장방획토(見奔獐放獲兔) 한자: 見(볼 견), 奔(달릴 분), 獐(노루 장), 放(놓을 방), 獲(얻을 획), 兔(토끼 토) 뜻: 달아나는 노루를 보다가 잡은 토끼를 놓치다 ▶ 큰 것에 욕심을 내다가 오히려 가진 것까지 잃는다 2. 견토방구(見兔放狗) 뜻: 見(볼 견), 兔(토끼 토), 放(놓을 방), 狗(개 구) 한자: 토끼를 보고 개를 풀어놓다 ▶ 일이 일어난 후에 응해도 늦지 않다 3. 견토지쟁(犬兔之爭) 한자: 犬(개 견), 兔(토끼 토), 之(갈 지), 爭(다툴 쟁) 뜻: 개와 토끼의 다툼 ▶ 두 사람이 싸우다가 다른 제삼자가 이득을 보다 유래 한자로라는 빠른 개가 동곽준이라는 빠른 토끼를 뒤쫓았다. 그렇게 .. 2021. 3. 17.
[계명구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이야기 [계명구도]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이야기 계명구도란? 뜻: 닭 울음소리를 내고 개처럼 도둑질하다. 풀이: ①천한 재주로 남을 속이다. ②보잘 것 없는 재주도 필요할 때가 있다. = 계명구도지도(鷄鳴狗盜之徒) = 계명지객(鷄鳴之客) = 함곡계명(函谷鷄鳴) 계명구도 유래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맹상군》은 진나라 《소양왕》의 초청으로 진나라에 왔다가 감금되어 죽을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맹상군이 왕의 애첩에게 도움을 요청하니, 그 애첩은 살려주는 대가로 맹상군이 소왕에게 선물로 바친 '호백구'라는 가죽옷을 요구했다. 그 때, 맹상군의 식객 중에 『개 흉내를 잘내서 도둑질을 잘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개 흉내를 내면서 진나라 궁궐 창고에 잠입하여 호백구를 훔쳐서 애첩에게 건네주었고, 애첩은 약속대로 소왕에게.. 2021. 3. 12.
표사유피(호사유피) 인사유명 뜻과 유래 표사유피인사유명(호사유피인사유명) 뜻과 유래 표사유피인사유명이란? 뜻: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풀이: 사람은 죽어서 명예(이름)를 남겨야 한다 → 흔히 '호사유피인사유명'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표범(豹)과 호랑이(虎)라는 차이점만 있을 뿐 의미는 동일하다. = 호사유피인사유명(虎死留皮人死留名) = 인재명호재피(人在名虎在皮) 표사유피인사유명 유래 중국 오대십국시대, 후량의 《왕언장》은 백근이 넘는 쇠창을 들고 적장을 누벼 '왕철창'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천하에 명성을 날리던 용장이었다. 그러나 이존욱(장종)이 후당을 세우고 황제가 되어 후량에 쳐들어오자, 군사를 이끌고 맞서다가 결국 부상을 입고 사로잡히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후당의 황제는 왕언장의 무용을 아끼며 자신.. 2021.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