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고사성어 이야기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by 아기뼝아리 2019. 12. 31.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마부작침
마부작침 뜻과 유래

마부작침(磨斧作針)이란? 뜻, 한자, 해석

마부작침 한자

마(磨): 갈 마

부(斧): 도끼 부

작(作): 지을 작

침(針): 바늘 침

 

마부작침 뜻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다.

 

마부작침 풀이

어떤 힘든 일도 열심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

 

마부작침 출전

방여승람(方輿勝覽) 마침계(磨鍼溪)편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

 

 

마부작침 유래

중국 당나라 최고의 시인인 이백(李白)의 젊은 시절 때의 일이다.

 

그는 공부를 위해 미주(眉州)라는 곳에 있는 상이산(또는 상의산)에 들어갔으나 공부에 싫증이 나서 학업을 그만두고 산에서 내려오다가, 한 할머니가 냇가에서 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이백은 할머니에게 물었다.

 

- 할머니, 지금 무엇을 하고 있으십니까?

 

- 바늘을 만들고 있는 중이라네.

 

이백은 할머니의 말에 어이가 없어 자신도 모르게 웃음이 터져 나왔다. 그러자 할머니가 꾸짖으며 말했다.

 

- 얘야, 비웃을 일이 아니란다. 도중에 멈추지만 않는다면 언젠가는 이 도끼로 바늘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이백은 크게 깨달은 바가 있어 다시 산으로 돌아가 열심히 공부하여 학업을 모두 마쳤다. 나중에 이백이 중국 최고의 시인, 시의 신선이라고 불리며 추앙받게 된 것은 이 때의 경험과 깨달음이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참고. 방여승람에서 '도끼'가 아니라 '쇠 절굿공이'가 등장한다.

 

 

마부작침 원문

방여승람(方輿勝覽) 마침계(磨鍼溪) 중에서

在眉州象耳山下(재미주상이산하)

미주(眉州) 상이산(象耳山)에 있을 때

 

世傳(세전)

세상에 전하는 말에 따르면

 

李太白讀書山中(이태백독서산중)

이태백(李太白)이 산에서 글을 읽다가

 

未成棄去(미성기거)

다 이루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하고 떠났다.

 

過小溪(과시내)

작은 시냇물을 건너다가

 

逢老媼方磨鐵杵(봉로온방마철저)

노파가 쇠 절굿공이를 갈고 있는 것을 보았다.

 

問之(문지)

(무엇을 하는 지) 물었다.

 

(왈)

(노파가) 말했다.

 

欲作針(욕작침)

바늘을 만들려고 하고 있다.

太白感其意(이백감기의)

이백(太白)은 그 노파의 의지에 감동하여

 

還卒業(환졸업)

(산으로) 돌아와서 학업을 마쳤다.

 

媼自言姓武(온자언성무)

노파는 자기의 성이 무(武)씨라고 말했다.

 

今溪旁有武氏巖(금계방유무씨암)

지금도 시내 옆에는 무씨암(武氏巖)이 있다.

 

마부작침과 비슷한 사자성어(동의어, 유의어)

마부위침(磨斧爲針)

磨(갈 마), 斧(도끼 부), 爲(할 위), 針(바늘 침)

뜻: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들다.

= 마부작침(磨斧作針)

= 마부작침(磨斧作鍼)

 

마철저이성침(磨鐵杵而成針)

磨(갈 마), 鐵(쇠 철), 杵(공이 저), 而(말이을 이), 成(이룰 성), 針(바늘 침)

: 쇠 절굿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다.

= 마철저(磨鐵杵)

= 철저성침(鐵杵成針)

= 마저성침(磨杵成針)

= 마철저욕작침(磨鐵杵欲作針)

= 철저마침(鐵杵磨鍼)

= 철봉마성침(鐵棒磨成針)

 

 

수적천석(水滴穿石)

水(물 수), 滴(물방울 적), 穿(뚫을 천), 石(돌 석)

: 물방울이 바위를 뚫는다.

= 점적천석(點滴穿石)

= 산류천석(山溜穿石)

 

수적성천(水積成川)

水(물 수), 積(쌓을 적), 成(이룰 성), 川(내 천)

: 물이 모여 내를 이룬다.

= 적수성연(積水成淵)

 

적진성산(積塵成山)

積(쌓을 적), 塵(티끌 진), 成(이룰 성), 山(뫼 산)

: 티끌 모아 태산

= 진합태산(塵合泰山)

= 진적위산(塵積爲山)

= 적토성산(積土成山)

= 토적성산(土積成山)

= 적소성대(積小成大)

 

십벌지목(十伐之木)

十(열 십), 伐(칠 벌), 之(갈 지), 木(나무 목)

: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

 

 

우공이산(愚公移山)

愚(어리석을 우), 公(공평할 공), 移(옮길 이), 山(뫼 산)

: 우공이 산을 옮기다.

풀이: 한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가면 언젠가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