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역사

하여가(何如歌) 뜻과 시조 해석 (이방원)

by 아기뼝아리 2022. 4. 2.

하여가 (何如歌) 뜻과 시조 해석 (ft. 이방원)

하여가(이방원)
하여가(이방원)

 

■ 하여가(何如歌) - 이방원 -

· 시조 내용 풀이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해석: 고려왕조면 어떻고 새로운 왕조(조선)이면 또 어떠한가?

 

이방원은 고려의 충신 정몽주를 회유하고 설득하기 위해 유연한 삶의 태도를 강조한다.

 

만수산(萬壽山)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해석: 고려가 조선이 된들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고려가 망하고 새로운 왕조가 들어선다고 해서 별로 달라질 것이 없으니 굳이 조선 개국에 저항할 필요가 없음을 재차 강조한다.

 

※만수산(萬壽山): 고려의 수도 개성 북쪽에 있는 해발 488m의 송악산의 다른 이름이다. 고려 왕실의 일곱 능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드렁칡: 언덕진 곳에 얽혀 있는 칡덩굴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해석: 고려든 조선이든 그것에 연연하지 말고 우리 함께 어우러져 오랫동안 영화롭게 살아 보세.

 

조선 개국 반대파인 정몽주에게 새로운 왕조 건설에 동참하여 함께 권세를 누리자며 회유한다.

 

 

· 하여가 설명

'하여가'에서는 '어떠하리'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여유롭고 우회적인 표현을 통해 유연한 삶의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이방원은 하여가를 통해 고려의 충신이자 정적인 정몽주를 회유하려 한다.

 

· 참고. '하여가(何如歌)' 뜻

한자: 何(어찌 하), 如(같을 여), 歌(노래 가)

→ 하여(何如): 어떠한가, 어떠냐, 어떠하리

 

★'하여가(何如歌)'는 《포은집》과 《해동악부》 등에 수록된 한역시(漢譯詩) 에서 나온 말이다.

 

 

· 하여가(한역)

한역: 此亦何如(차역하여)

해석: 이런들 또 어떠하리

 

한역: 彼亦何如(피역하여)

해석: 저런들 또 어떠하리

 

한역: 城隍堂後垣(성황당후원)

해석: 성황당(城隍堂)의 뒷담이

 

한역: 頹落亦何如(퇴락역하여)

해석: 무너진들 또 어떠하리

 

한역: 我輩若此爲(아배약이위)

해석: 우리도 이같이 하여

 

한역: 不死亦何如(불사역하여)

해석: 죽지 않은들 또 어떠하리

 

단심가(丹心歌) 시조 해석 (정몽주)

 

단심가(丹心歌) 뜻과 시조 해석 (정몽주)

단심가(丹心歌) 뜻과 시조 해석 (정몽주) ■ 단심가(丹心歌) - 정몽주 - · 시조 내용 풀이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해석: 내가 비록 수백 번을 죽는다고 해도 → 첫 부분부터 '죽음'이

agibbyeongari.tistory.com

 

댓글